10G 포기전 마지막 질문...

화란   
   조회 4574   추천 0    

 

10G 포기전 마지막 질문... 한번 드려봅니다.


컴퓨터 2대간 직접 연결입니다.


컴A

 - Windows10 Pro

 - Intel X520 10G : 랜카드 한개에 포트가 2개, SFP+ 케이블 인텔것으로 2개 장착완료. 인텔제공 검사 프로그램 돌렸을때 이상없음.

 - 티밍으로 IP : 192.168.1.170 SubNetmask : 255.255.255.0 세팅완료

 - 온보드 랜카드는 192.168.0.170 으로 외부망 인터넷 웹서핑 잘됩니다. 


컴B

 - Linux, OpenMediaVault 이므로 데비안 이라고 해도될듯.

 - Intel X520 10G : 랜카드 한개에 포트가 2개, SFP+ 케이블 인텔것으로 2개 장착완료.

 - 본딩으로 IP : 192.168.1.35 SubNetmask : 255.255.255.0 세팅완료

 - 온보드 랜카드는 192.168.0.35 으로 외부망 통신 잘됩니다.



서로간 ping 날린채로 두면 간헐적으로 네트워크가 끊깁니다. 그리고 얼마있다가 다시 통신이 잘 됩니다.


네트워크가 안될때는 Destination Host Unreachable 이 뜹니다.


드라이버는 둘다 최신버전으로 깔았구요, 리눅스나 윈도우즈의 권한 문제는 아닙니다.( 네트워크가 정상일때 Samba로 파일 송수신 잘됨 )



아예 통신이 안되었으면 원인이라도 찾기 쉬울텐데... 이건 뭐... 되었다, 안되었다 하니 원인을 못찾겠네요 ㅠㅠ


안되면 아쉽지만 10G는 포기할 생각으로 마지막으로 고수분들께 질문 함 던져봅니다 ㅠㅠㅠㅠㅠㅠ







컴A 티밍세팅




컴B 본딩세팅










 




// 서명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악마라네 2020-02
굳이 Teaming 을 하는 이유가?

두개 묶는다고 컴터간 전송속도가 올라가지 않는데요?

Teaming 하지말고 일단 테스트 해보세요.
     
화랑화랑 2020-02
예, 모두 안묶고 한번 해볼께요. ---> 안묶고 대용량 파일 SMB로 송수신 중인데... 10분 넘게 에러 안나네요.
isaiah 2020-02
직결로 연결하신다면 대부분의 팀 설정이 네트워크 오류로 이어질텐데요...
 스위치의 역할을 전재한 것들이 많아서요
     
화랑화랑 2020-02
헉 그런가요 ?

팀설정이 오류를 많이 일으키나보네요 ??

티밍, 본딩 안하고 한번 테스트 해 보겠습니다. -> 컴 모두 티밍, 본딩 둘다 삭제하니 우선은 삼바를 통한 파일 송수신 잘되는것 같아요...
티밍을 하는데 직접 연결이라뇨...
티밍은 ip기반입니다 L3 스우치가 있어야 제대로 됩니다. 맥기반인가 헷갈리는데 여튼 구성 문제네요
요즘 L2 스위치에 기능 추가해서 나옵니다 자주쓰는 기능만 추가 한다고 생각하심이
     
화랑화랑 2020-02
아, 허브를 사용하지 않는 직결은 티밍이나 본딩이 원래 요렇게 불안정한가요 ??

그리고 둘중 한쪽이라도 티밍 혹은 본딩 무조건 안되는가요 ?? ㅠㅠ
          
티밍 본딩 lcap 등등 화사 os마다 비슷할걸 이름이 헷갈리게 한거구요
스위치 있어야 하고요 smb3가 아니면 의미도 없을수도 있습니다 프로토콜은 여러가지 있어서 smb3말고도 되는게 있습니자
다이렉트는 1개가 더 좋을수도 있어요
박문형 2020-02
티밍 본딩이 성립하게 하려면 포트가 여러개 있어야 하고 중간 허브가 그것들을 지원해줘야 합니다..
(허브에 지원 메뉴가 있어야 하고 메니지먼트 허브가 있어야겠죠..)

랜카드도 양쪽에서 다 지원해야 하고요..

그런데 이게 좀 허브 회사에 따라 이회사 다르고 저회사 다르고 하기에 가끔 셋팅에 성공 못하는 경우도 생깁니다..



10G 다이렉트로는 대역폭이 부족하셨나 보네요??
     
화랑화랑 2020-02
10G 정도면 혼자쓰는 장비는 충분하네요^^
술이 2020-02
FT방식으로 구성해야지 LB방식으로는 스위치가 지원안하면 안되는게 정상이죠. 정상적으로 잡혔다고 해도 핑이 자꾸 끊기고 사용하기 힘들정도로 심각하게 손실율이 옵니다.
대부분 현업에서는 LB방식을 사용안하고 FT방식으로 티밍합니다.
     
화랑화랑 2020-02
FT라 함은... 어떤걸 말하시는 건가요 ??

네트워크 분야는 많이 알지 못하여 여쭙습니다. 검색해보니 아래 7개 방식이 있던데요...


1. 라운드 로빈(balance-rr)
2. 액티브-백업
3. XOR
4. 브로드캐스트
5. IEEE 802.3ad 동적 링크 애그리게이션(802.3ad, LACP)
6. 적응형 전송 부하 분산(Adaptive transmit load balancing, balance-tlb)
7. 적응형 부하 분산(adaptive load balancing, balance-alb)
     
화랑화랑 2020-02
아, 찾아보니 FT가 아래와 같은 의미로 검색됩니다.

Broadcast : Fault-Tolerance, 모든 Slave으로 데이터전송(failover), 일반적으로는 잘 사용안함.
          
술이 2020-02
2번이죠 브로드캐스트가 아니고...
액티브 스탠바이 방식을 말하는겁니다. 브로드캐스트 방식이 일반적으로 사용안하는거지 FT방식이 잘 사용안한다고 오해 말길.
               
화랑화랑 2020-02
아, 알겠습니다.

현업에서는 2번( 액티브 백업 )으로 쓴다는 말로 이해하겠습니다.

저도 그리 한번 시도해 보겠습니다~


QnA
제목Page 3635/5723
2014-05   5233954   정은준1
2015-12   1760364   백메가
2017-09   4534   아슬레이
2007-06   4534   김태훈
2018-04   4534   김건우
2019-06   4534   Nikon
2021-02   4534   라천민
2021-04   4534   늘파란
2007-05   4534   윤호용
2014-04   4534   무좀함대
2021-09   4534   트렌드
2006-12   4534   오명수
2015-11   4534   구명서
2017-10   4534   지니컴I영진
2016-08   4534   뭐먹고살래
2017-11   4534   미담
2022-03   4534   우뭉
2018-07   4534   이준용
2015-05   4533   송주환
2016-03   4533   허리장사
2014-09   4533   한성호
2022-11   4533   남산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