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PN을 통해서 WEB / DB 서버 억세스 하면 성능이 많이 떨어질까요?

dragoune   
   조회 2746   추천 0    

VM 사업자 변경을 위해서 서버를 이전중입니다

현재 구성은 WEB과 DB가 로컬IP 를 이용해서 통신하기 때문에
암호화 뭐 그딴거 없이 사용하고 있는데요.

이제 DB 서버를 이전하려고보니 public IP로 통신을 해야 할 판입니다.


혹시나 패킷을 떠보니 DB 내용물은 다 보이고... 누가 패킷을 떠서 저걸 감시하겠냐 싶긴한데
데이터 유출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으니 무시할수도 없어서

WEB서버와 DB 서버에 openvpn 을 설치해서 통신을 시키려고 하는데
이렇게 할 경우 성능 저하가 심할런지요?

현 사업자를 버리는 이유가 meltdown 패치 이후로 성능이 1/3 정도로 떨어진데다가
멘테넌스 한다고 서버를 끄고, IPS도 끄고, 별 이상한 장애가 다 터져서인데
VPN으로 연결했다가 성능저하로 본전도 못 찾을까봐 겁이 납니다.


혹시 경험 있으신분 있으시면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송주환 2020-02
서버간 통신을 SSL로 암호화하는 것을 권합니다.
레이어가 늘어날수록 트러블슈팅이 복잡하고 까다로워집니다.
     
dragoune 2020-02
개발팀에서는 전혀 할 의지가 없어서 다른 방법을 찾다보니 그렇게 되었습니다.
개발팀도 뭐 원 개발자가 아니라 입사해보니 문서 하나 없고 맨땅에 헤딩중인 분이라 뭐라 할 처지도 못되네요 ㅠ_ㅠ
박문형 2020-02
meltdown 패치 이후로 성능저하를 해결하는 법은 더 고성능의 서버로 바꾸는 것 밖에 없다라고 생각합니다..

대략 스케일러블 급의 서버여야 한다는군요..



VPN이 어찌 보면 인터넷 라인에 터널링 하여 자기만의 데이터를 서로 주고 받는 것인지라 인터넷 라인의 대역폭이 클수록

그리고 VPN 서버의 성능이 좋을수록 좋긴 합니다..



문제는 이게 다 돈이 많이 드는 문제인지라 문제입니다..
     
dragoune 2020-02
동 성능의 CPU라도 하이퍼 바이저 따라서 성능이 천차만별이더군요
현재 사용하는 곳은 XEN 기반 인데
옮길곳은 vmware 기반입니다.

벤치마크 돌려보니 성능이 3배 이상 차이가 나는지라...

어떤 서버는 16core 16GB 환경에서 서버 load가 80까지 치솟던 서버가
옮기고 나서는 4core 8GB 인데도 load가 4를 넘지 않아서 당혹스러울 지경입니다.
송주환 2020-02
성능이 고민되신다면 WireGuard를 사용해 보세요. 최근 리눅스 커널 메인라인에 머지되었습니다.
     
dragoune 2020-02
오! 감사합니다. 뭔지 모르니까 찾아보겠습니다.
ZSNET5 2020-02
원격지 DB연결은 어지간히 회선 속도가 잘 나오더라도 로컬 네트웍과 속도차이가 상당합니다.
대용량 반환하는 쿼리 한번 때리면 머리에서 김이 납니다.. ^.^;
     
dragoune 2020-02
역시 그렇지요? ㅠ_ㅠ
날 잡아서 밤 새서 같이 옮겨야 하나... 걱정입니다. ^^;


QnA
제목Page 4603/5723
2015-12   1758120   백메가
2014-05   5231415   정은준1
2020-01   2579   JJHs
2023-01   1599   회원
2017-09   3578   Astarot
2014-04   4916   하양파도
2016-08   4502   stellar
2020-01   3232   박현문
2015-08   4748   멋진남자
2016-08   7333   편한세상
2018-12   3716   정의석
2020-01   2941   김제연
2015-08   4258   윌라멧
2017-09   3258   전승윤
2024-09   1158   무명인12
2020-02   5663   올빼미잠와
2021-05   2276   아침뱃살
2014-04   4643   하정구
2012-04   5345   klein
2020-02   3046   비비BB
2017-09   4269   박준영2
2017-09   4122   전설속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