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3, V4 제온 CPU 테스트용 메인보드

   조회 5756   추천 0    

안녕하세요, 풀로드 조성빈입니다.

야심한 시각에 거래처에 오퍼 메일 쓰다가 갑자기 문득 든 생각에 한 참 검색을 하다가 조언을 구하는 것이 낫겠다는 생각이 들어 질문글을 올립니다.

저는 워크스테이션 부품을 해외에서 매입해서 국내에서 팔다보니 CPU 작동 테스트 할 일이 많습니다. 지금까지는 외관 상태가 안 좋은 T5810 이나 Z440 으로 테스트를 진행하다가 뭔가 이상이 생기거나 소켓 핀이 휜다거나 하면 해당 베어본을 폐기하곤 했는데 어느 순간 너무 아까웠습니다. (제가 똥손인데다가 성격도 아끼면서 작업하는 스타일이 아니다 보니 소켓 핀 날려먹은 게 무지 많습니다.) 그래서 제가 고민하고 있는 부분들에 대해서 간단한 조언 해 주시면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선택의 조건

1. 소켓 핀이 휘든 전원부에 이상이 생기든 폐기해야 하니 구매 비용이 저렴해야 한다.

2. CPU쿨러 탈부착이 쉬워야 한다.

3. DDR4 메모리가 많이 꼽히면 좋으나 필수는 아니다. (메모리 테스트 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나 싶어서요.)

4. CPU 지원 TDP 가 높으면 좋다. (2679V4 등 테스트 용) 이 역시 필수는 아니다.


제가 고민 중인 안

1. Z440 또는 T5810 (C612칩셋) 의 중고메인보드와 파워를 구입하여 사용한다.

2. ZX-99EV3(7만원대), X99-TF(10만원대) 등 X99칩셋 사용 중국 저가형 제품과 파워를 사용한다.

3. ASUS, ASROCK 등의 중고메인보드와 파워를 구매하여 사용한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김제연 2020-02
테스트는 그냥 단순히 전원 온오프 인가요 ? 아니면 전원 인가 후  어떤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테스트 하시나요 ? 오랫동안 테스트 하시는것 아니시면 그냥 동(똥아님) 덩어리 하나 올리셔서 테스트 하셔도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보통 나사식인데 그거 풀고 조이고 하려면 엄청 힘드실것 같습니다... 몬스님 사무실 갔다가
굴러댕기는 동으로 된 덩어리 위와 같은 테스트 용도로 쓸려고 하나 집어왔는데 무게도 엄청 무거워서 밀착도 잘되고
위와 같은 용도로 쓸떼 좋겠다 싶어 가지고 왔습니다.
메모리 걸쇠 부분이 양쪽에 있는게 좋을것 같아요 .. 요즘은 한쪽만 걸리게 나오는것도 있는데 뺄때마다 곤혹스럽습니다.
저라면 1번이나 3번으로 할것 같습니다. 어느정도 검증도 됐고 2번으로 했을시 어떤 문제가 발생 했을시에
뭐때문에 그런지 판단하기가 애매 할 듯 싶어서입니다..
그리고 폐기 하실려면 장터에 싸게 내놓으셔도 저같은 경우 안나와서 못사지 메이커 케이스 같은거 싸게 나오면
한번 써보고 싶습니다..케이스만은 잘 안나오고 .. 케이스값이 컴퓨터 한대값이고 해서 못사서 그렇지요
다른분들도 몇분 계실듯 싶네요.

분양 해주신 4bay 얼마전 openmediavalut 깔고 서버로 잘 돌아가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잘 사용하고 계신다니 다행입니다. NAS 도 좋은 주인 만나 제 역할을 다한다고 하니 좋은 시절이네요. ^^
제가 하는 CPU 테스트 루틴은 전원인가 -> 바이오스 진입 -> 윈도우 부팅 -> 3DMARK 1회 테스트
입니다. 약 5분 정도 걸리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동 덩어리는 좋은 아이디어 인 것 같습니다. 오픈케이스에 보드와 파워 설치하고 CPU 위에 동 덩어리 그냥 올려두고 테스트 한다고 생각하니
좋네요!!!!

혹시 그런 동 덩어리 구매하려면 어떻게 검색을 해 봐야 할 까요? 네이버에 동 덩어리, 동 1KG, 동 분동 등 검색해 봐도 마땅한 게 찾아지지 않네요.
          
김제연 2020-02
제가 요즘 컴퓨터 조립을 잘 안해서 .. 어디에 박혀 있을껀데 .. 내일 한번 찾아보고 사진 찍어 드릴게요 .
사실 동인지 잘 모릅니다.. 그냥 금색? 덩어리라서 동이라고 표현했습니다.. 일단 찾게되면 사진찍어서 드릴게요.
          
찾았습니다. 구리 환봉으로 검색하면 뭔가 나오네요.. 이제 구매할 곳만 찾으면
               
김제연 2020-02
근데 제가 테스트 하던거는.. 일반 데스크탑 cpu 인데 ..
지금 쓰시려고 하시는건 TDP 높은 서버 cpu 라 어떨지 모르겠네요 .. 괜히 얘기 꺼낸것 아닌가 싶은게 ㅋ 편하긴 편하거든요 .
예전에 오성기님께 .. 이것저것 분양 하면서 .. 이거저거 막넣어서 보냈는데 .. 거기 안끼워져서 갔나 모르겠네요.
               
김제연 2020-02

아래 나온건 cpu 위에 올리면 아래쪽이랑 안다서 그냥 제거 안하고 썼으나 제거하고
사용하심 될듯 필요하시면 보내드릴게요 .. 800~1kg 정도 되는거 같습니다. 무게는
될지 안될지 모르는거 구입하시는것보다 이거 가져다 해보시는게 .. 저 위쪽에 미니 선풍기 하나
틀어주시면 잘 버티지 않을까 싶기도 합니다. 저는 요즘 테스트 같은거 안해서 없어도 상관 없습니다.
                    
박문형 2020-02
제온 800용 2U 히트 싱크네요..

오래는 못 돌립니다..

저는 테스트시 펜이 달린 쿨러를 사용합니다..

그리고 상황에 따라 CPU 구리스도 좀 바르는 편입니다..
제온프로 2020-02
과연..
E5-2679V4 를 돌릴 수 있는 보드가 있을까요..
저거 2개 돌리다가.. 파워고 보드고 다 죽을것 같은데요..
     
그래도 어딘가엔 쓸 만 한 게 있지 않을가요? ^^
박문형 2020-02
제 기준은

#1 : 리테일 CPU 최고 TDP 를 지원한다.. (아마도 160W)
#2 : 메모리 슬롯은 CPU당 4개가 최소 이므로 메모리 슬롯이 4개 혹은 8개 짜리를 사용하되 메모리는 4개만 꼽는다..
      (이것을 왜? 라라고 물어 보신다면 그 CPU의 구조에 대하여 모른다는 것입니다..)
#3 : 신뢰할 수 있는 튼튼한 파워가 있어야 한다..
#4 : 최대한 리테일 CPU만 취급한다.. (벤더에 제공된 OEM는 해당 시스템에서만 돌아갑니다.. 일반보드에서는 인식도 안할 수 있고 일반보드 나갑니다..)
#5 : 조립 보드 사용시 제조 연륜이 긴 회사 제품을 사용한다..(서버/웍만 만드는 보드 제조사들의 제조 연륜은 거의 30년이 다 되어 갑니다..)
      즉 반대로 듣보잡 보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저는 벤더사 제품 보다는 조립 제품이 편합니다..(누드 테스트를 지향합니다..)

어느 보드를 가따 주던 정상 동작하고 메뉴얼대로 재대로 움직이면 상관이 없습니다..(듣보잡 보드 제외)
소켓 나가는 것은 어쩔수 없습니다.. 이 건 그 사람의 능력에 따라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얼마나 어떻게 테스트 하냐도 문제가 되는데

저는 CPU 1개 가지고 몇일씩 풀부하 넣어 돌려볼 때도 있었습니다..(보통은 그럴 필요가 없습니다..)


http://www.2cpu.co.kr/lec/2084?&sfl=wr_name%2C1&stx=%B9%DA%B9%AE%C7%FC&sop=and

http://www.2cpu.co.kr/lec/1841?&sfl=wr_name%2C1&stx=%B9%DA%B9%AE%C7%FC&sop=and


이런 인텔이 만든 프로그램은 그나마 신뢰도가 높겠죠..

https://downloadcenter.intel.com/ko/download/19792/Intel-Processor-Diagnostic-Tool

https://prolite.tistory.com/1300
     
박문형님,
#2 저는 V3, V4 XEON CPU는 1개의 CPU가 4개의 채널로 구성되어 있고, 1채널에 2개씩 쌍으로 묶여 있으니 채널 당 1개씩 총 4개만 꽂으면 메모리컨트롤러의 이상 유무를 알 수 있고, 굳이 메모리 8개 전부 꽂아서 메모리 불량으로 인한 테스트 방해를 방지 않는 것이 좋다.

이렇게 이해하고 있습니다. 제가 잘 이해하고 있는 것이 맞죠?

그리고 매번 질문글마다 수 많은 노하우 들 알려 주셔서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저라면 이렇게 못할 것 같아서 존경합니다. (--)(__)
이라달 2020-02
중국 메인보드의 지원사례 공유드립니다
2696 v3 145w급 장착가능확인
언락사용이력이 있어서  제품상 TDP보다 파워마진이 있을것으로 추정
(Unlock + bclk 18core @ 약 3.3Ghz )
2679v4의 특고TDP 제품의 작동사례는 본적이 없음
인식은 될것으로 예상하나 풀로드테스트 사례가없으니 모험필요
소수 제품의 Ddr3의 멤컨작동확인 목적이 없다면 TF보다는 가용 DDR4 슬롯이 많은 F8제품이 있음
둘 다 가격은 비슷합니다
     
이라달님 답변 감사합니다. 말씀 해 주신 화난 X99-F8 제품 구매했습니다. CPU테스트와 메모리테스트도 같이 할 수 있을 것 같아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조언 감사드립니다.
online9 2020-02
앞으로 계속 사업을 하셔야 하니까 메인보드 수리점에서 테스트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파워는 800w짜리 좋은거 장만하시고 쿨러는 써모랩 쿨러를 나사 조이지 않고 그냥 CPU위에 얻어서 테스트하시면
될 거 같습니다.
TDP가 높아서 최근건 200w까지 될 겁니다.
필요하면 쿨러 연결하시면 됩니다.
보드는 ASUS, AsRock, SuperMicro로 누드테스트하시면 됩니다.
수리점에서는 보드밑에 두툼한 스티로폼 같은 것을 대 놓고 보드수리한 걸 테스트해주시더군요.
아수스나 슈마 보드만 사면 박스에 들어있으니 그걸 사용하시면 될 거 같습니다.
전 슈마보드 테스트하느라고 써모랩 쿨러를 CPU에 얻어서 많이 했습니다.
파워는 에너맥스하고 씨소닉을 주로 씁니다.

판매해주신 제온 CPU 잘쓰고 있습니다.
필요하시면 위에 그림에 있는 2011 1U짜리 쿨러없는 동히트씽크 두개 보내드릴 수 있습니다.
그냥 60mm 쿨러 두개 나사 체결해서 그런대로 쓸 수는 있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QnA
제목Page 3257/5723
2015-12   1760026   백메가
2014-05   5233610   정은준1
2008-09   5731   박진국
2006-03   5731   노형석
2006-04   5731   이창형
2006-04   5732   우명훈
2019-03   5732   LINKINPARK
2007-04   5732   박동섭
2006-11   5732   김한구
2019-07   5732   준바이
2015-09   5732   lovemiai
2006-04   5732   양상용
2014-08   5732   데롯
2006-03   5732   박영희
2018-11   5732   맨홀홍
2011-11   5732   인천I베리
2005-07   5732   이상현
2015-03   5732   기둥구름
2016-12   5732   AplPEC
2018-10   5732   임시현
2008-02   5732   곽순현
2008-06   5732   김현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