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92059 |
25 |
2015-12
1792059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7148 |
0 |
2014-05
5267148
1 정은준1
|
92017 |
8세대에서 12세대는 성능 차이가 많이 나겠지요? (6) |
VSPress |
2022-01 |
6803 |
0 |
2022-01
6803
1 VSPress
|
92016 |
트랜지스터... (18) |
나파이강승훈 |
2014-11 |
4620 |
0 |
2014-11
4620
1 나파이강승훈
|
92015 |
E5-2637 v3도 특성이 있나요.? (8) |
권용1 |
2020-08 |
3946 |
0 |
2020-08
3946
1 권용1
|
92014 |
HP DL380 Gen9, Gen10 파워 호환성 문제 (3) |
제온프로 |
2022-01 |
3003 |
0 |
2022-01
3003
1 제온프로
|
92013 |
네트워크 제한하기에 대해서 (2) |
가빠로구나 |
2010-06 |
7795 |
0 |
2010-06
7795
1 가빠로구나
|
92012 |
글 자꾸 올리네요... 후 죄송합니다 cpu 미치겠네요 ㅋㅋㅋ (12) |
메이 |
2017-01 |
6149 |
0 |
2017-01
6149
1 메이
|
92011 |
[살려주세요] NVidia P2000 windows XP driver 문의 (16) |
애송이 |
2018-04 |
4327 |
0 |
2018-04
4327
1 애송이
|
92010 |
공유기 브릿지 모드 문의 (6) |
나비z |
2022-01 |
3088 |
0 |
2022-01
3088
1 나비z
|
92009 |
서버 최대한 저렴하게 사양이 어떻게 되나요? (6) |
KDHNOVA |
2017-02 |
5996 |
0 |
2017-02
5996
1 KDHNOVA
|
92008 |
이 공유기 사용해 보신분 계신가요? (9) |
만전 |
2020-08 |
2493 |
0 |
2020-08
2493
1 만전
|
92007 |
TX100 버스 한 번 더 올까요? (9) |
nQ이성봉 |
2013-07 |
7719 |
0 |
2013-07
7719
1 nQ이성봉
|
92006 |
기초적인 MS CAL 등록 방법에 대한 질의 |
레반터스 |
2023-09 |
1973 |
0 |
2023-09
1973
1 레반터스
|
92005 |
FTP서버에서 자료를 받는데 이어받기가 안됩니다. (4) |
전근현 |
2010-07 |
17603 |
0 |
2010-07
17603
1 전근현
|
92004 |
tx100s3p bios에도 nvme 부팅을 추가할 수 있을까요? (3) |
김진영JK |
2023-09 |
3516 |
0 |
2023-09
3516
1 김진영JK
|
92003 |
갑자기 궁금해져서 DDR3 4G PC3-10600 * 3개 = 12G vs. DDR3 2G PC3-16000 * 3개 = 6… (3) |
곽수진 |
2010-07 |
8948 |
0 |
2010-07
8948
1 곽수진
|
92002 |
scsi 카드에 스캐너 연결할때 셋팅 관련 질문있습니다. (8) |
저편 |
2014-12 |
5939 |
0 |
2014-12
5939
1 저편
|
92001 |
eslim 26bay의 BMC ssh 아이디/암호 문의 드립니다. (2) |
통통9 |
2019-06 |
3504 |
0 |
2019-06
3504
1 통통9
|
92000 |
IBM X3500 IBM ServerRaid 8k firmware 를 다운그레이드 할수 있을까요?? |
박현수 |
2010-07 |
8722 |
0 |
2010-07
8722
1 박현수
|
91999 |
혹시 주식 프로그래밍 해보신분 계신가요? (2) |
김제연 |
2018-04 |
4835 |
0 |
2018-04
4835
1 김제연
|
91998 |
아...히타치 2TB 하드디스크 인식불가,,,, (2) |
Taek |
2020-08 |
2845 |
0 |
2020-08
2845
1 Taek
|
테스트 하시나요 ? 오랫동안 테스트 하시는것 아니시면 그냥 동(똥아님) 덩어리 하나 올리셔서 테스트 하셔도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보통 나사식인데 그거 풀고 조이고 하려면 엄청 힘드실것 같습니다... 몬스님 사무실 갔다가
굴러댕기는 동으로 된 덩어리 위와 같은 테스트 용도로 쓸려고 하나 집어왔는데 무게도 엄청 무거워서 밀착도 잘되고
위와 같은 용도로 쓸떼 좋겠다 싶어 가지고 왔습니다.
메모리 걸쇠 부분이 양쪽에 있는게 좋을것 같아요 .. 요즘은 한쪽만 걸리게 나오는것도 있는데 뺄때마다 곤혹스럽습니다.
저라면 1번이나 3번으로 할것 같습니다. 어느정도 검증도 됐고 2번으로 했을시 어떤 문제가 발생 했을시에
뭐때문에 그런지 판단하기가 애매 할 듯 싶어서입니다..
그리고 폐기 하실려면 장터에 싸게 내놓으셔도 저같은 경우 안나와서 못사지 메이커 케이스 같은거 싸게 나오면
한번 써보고 싶습니다..케이스만은 잘 안나오고 .. 케이스값이 컴퓨터 한대값이고 해서 못사서 그렇지요
다른분들도 몇분 계실듯 싶네요.
분양 해주신 4bay 얼마전 openmediavalut 깔고 서버로 잘 돌아가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제가 하는 CPU 테스트 루틴은 전원인가 -> 바이오스 진입 -> 윈도우 부팅 -> 3DMARK 1회 테스트
입니다. 약 5분 정도 걸리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동 덩어리는 좋은 아이디어 인 것 같습니다. 오픈케이스에 보드와 파워 설치하고 CPU 위에 동 덩어리 그냥 올려두고 테스트 한다고 생각하니
좋네요!!!!
혹시 그런 동 덩어리 구매하려면 어떻게 검색을 해 봐야 할 까요? 네이버에 동 덩어리, 동 1KG, 동 분동 등 검색해 봐도 마땅한 게 찾아지지 않네요.
사실 동인지 잘 모릅니다.. 그냥 금색? 덩어리라서 동이라고 표현했습니다.. 일단 찾게되면 사진찍어서 드릴게요.
지금 쓰시려고 하시는건 TDP 높은 서버 cpu 라 어떨지 모르겠네요 .. 괜히 얘기 꺼낸것 아닌가 싶은게 ㅋ 편하긴 편하거든요 .
예전에 오성기님께 .. 이것저것 분양 하면서 .. 이거저거 막넣어서 보냈는데 .. 거기 안끼워져서 갔나 모르겠네요.
아래 나온건 cpu 위에 올리면 아래쪽이랑 안다서 그냥 제거 안하고 썼으나 제거하고
사용하심 될듯 필요하시면 보내드릴게요 .. 800~1kg 정도 되는거 같습니다. 무게는
될지 안될지 모르는거 구입하시는것보다 이거 가져다 해보시는게 .. 저 위쪽에 미니 선풍기 하나
틀어주시면 잘 버티지 않을까 싶기도 합니다. 저는 요즘 테스트 같은거 안해서 없어도 상관 없습니다.
오래는 못 돌립니다..
저는 테스트시 펜이 달린 쿨러를 사용합니다..
그리고 상황에 따라 CPU 구리스도 좀 바르는 편입니다..
E5-2679V4 를 돌릴 수 있는 보드가 있을까요..
저거 2개 돌리다가.. 파워고 보드고 다 죽을것 같은데요..
#1 : 리테일 CPU 최고 TDP 를 지원한다.. (아마도 160W)
#2 : 메모리 슬롯은 CPU당 4개가 최소 이므로 메모리 슬롯이 4개 혹은 8개 짜리를 사용하되 메모리는 4개만 꼽는다..
(이것을 왜? 라라고 물어 보신다면 그 CPU의 구조에 대하여 모른다는 것입니다..)
#3 : 신뢰할 수 있는 튼튼한 파워가 있어야 한다..
#4 : 최대한 리테일 CPU만 취급한다.. (벤더에 제공된 OEM는 해당 시스템에서만 돌아갑니다.. 일반보드에서는 인식도 안할 수 있고 일반보드 나갑니다..)
#5 : 조립 보드 사용시 제조 연륜이 긴 회사 제품을 사용한다..(서버/웍만 만드는 보드 제조사들의 제조 연륜은 거의 30년이 다 되어 갑니다..)
즉 반대로 듣보잡 보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저는 벤더사 제품 보다는 조립 제품이 편합니다..(누드 테스트를 지향합니다..)
어느 보드를 가따 주던 정상 동작하고 메뉴얼대로 재대로 움직이면 상관이 없습니다..(듣보잡 보드 제외)
소켓 나가는 것은 어쩔수 없습니다.. 이 건 그 사람의 능력에 따라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얼마나 어떻게 테스트 하냐도 문제가 되는데
저는 CPU 1개 가지고 몇일씩 풀부하 넣어 돌려볼 때도 있었습니다..(보통은 그럴 필요가 없습니다..)
http://www.2cpu.co.kr/lec/2084?&sfl=wr_name%2C1&stx=%B9%DA%B9%AE%C7%FC&sop=and
http://www.2cpu.co.kr/lec/1841?&sfl=wr_name%2C1&stx=%B9%DA%B9%AE%C7%FC&sop=and
이런 인텔이 만든 프로그램은 그나마 신뢰도가 높겠죠..
https://downloadcenter.intel.com/ko/download/19792/Intel-Processor-Diagnostic-Tool
https://prolite.tistory.com/1300
#2 저는 V3, V4 XEON CPU는 1개의 CPU가 4개의 채널로 구성되어 있고, 1채널에 2개씩 쌍으로 묶여 있으니 채널 당 1개씩 총 4개만 꽂으면 메모리컨트롤러의 이상 유무를 알 수 있고, 굳이 메모리 8개 전부 꽂아서 메모리 불량으로 인한 테스트 방해를 방지 않는 것이 좋다.
이렇게 이해하고 있습니다. 제가 잘 이해하고 있는 것이 맞죠?
그리고 매번 질문글마다 수 많은 노하우 들 알려 주셔서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저라면 이렇게 못할 것 같아서 존경합니다. (--)(__)
2696 v3 145w급 장착가능확인
언락사용이력이 있어서 제품상 TDP보다 파워마진이 있을것으로 추정
(Unlock + bclk 18core @ 약 3.3Ghz )
2679v4의 특고TDP 제품의 작동사례는 본적이 없음
인식은 될것으로 예상하나 풀로드테스트 사례가없으니 모험필요
소수 제품의 Ddr3의 멤컨작동확인 목적이 없다면 TF보다는 가용 DDR4 슬롯이 많은 F8제품이 있음
둘 다 가격은 비슷합니다
조언 감사드립니다.
파워는 800w짜리 좋은거 장만하시고 쿨러는 써모랩 쿨러를 나사 조이지 않고 그냥 CPU위에 얻어서 테스트하시면
될 거 같습니다.
TDP가 높아서 최근건 200w까지 될 겁니다.
필요하면 쿨러 연결하시면 됩니다.
보드는 ASUS, AsRock, SuperMicro로 누드테스트하시면 됩니다.
수리점에서는 보드밑에 두툼한 스티로폼 같은 것을 대 놓고 보드수리한 걸 테스트해주시더군요.
아수스나 슈마 보드만 사면 박스에 들어있으니 그걸 사용하시면 될 거 같습니다.
전 슈마보드 테스트하느라고 써모랩 쿨러를 CPU에 얻어서 많이 했습니다.
파워는 에너맥스하고 씨소닉을 주로 씁니다.
판매해주신 제온 CPU 잘쓰고 있습니다.
필요하시면 위에 그림에 있는 2011 1U짜리 쿨러없는 동히트씽크 두개 보내드릴 수 있습니다.
그냥 60mm 쿨러 두개 나사 체결해서 그런대로 쓸 수는 있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