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성공하신 분이 있긴 한지.. 알고싶고,
어떤 조합으로 성공하셨는지 알려주시면 더욱 감사하겠습니다.
요 며칠간.. 부품도 지르고, 플렉스 패스도 지르고
있는 시간은 모두 짜내서 테스트에 올인하고 있네요..
뭐하는 짓인가 싶기도 합니다;;만..
좀 더 해서 마물을.. ㅜㅜ
(공부는 이렇게 한 적이 없는 것 같은데.. ;;)
918+ 최신버전을 설치해서 테스트해봤는데,
헤놀에서는 암만해도 정상적인 하드웨어 트랜스코딩이 되질 않네요.
얼마 전 글을 올렸던 J1900에서는
재생되다가 좀 끊기더라도 그나마 반응속도도 빠르고 해서
i7-4세대에 큰 기대..가 아니라.. 전혀 의심도 하지 않았죠. 당연히 될 거라고..
근데 이상하게 안되네요.
제가 파악하기엔 세가지 로더가 있는 것 같은데.
1. 오리지널 1.04b
2. 제가 J1900에 썼던 로더(타오나스 보드에도 설치가 잘 된다는 글이 있더군요.)
3. IG-88 의 수정버전..
그리고 혹시나 몰라서 구글 검색하면서 보이는 대로 받아서 테스트 해봤는데
별 차이가 없는 것 같더군요.
암튼 잘 안됩니다.
대시보드에서 (hw)라도 뜨면서 되는 것 같이 보이는 경우에도
실제로는 한참을 기다려야 재생이 시작되고 볼 수 없을 정도로 끊깁니다.
대시보드에서 (hw)가 뜰 경우
파일의 최적화 기능(오프라인 트랜스코딩?)도 일단은 하드웨어를 쓰는 것 같긴 하더군요.
(hw)가 안뜨는 경우에는 CPU 점유율이 거의 100%에 육박하는데,
(hw)가 뜨는 경우에는 50% 내외였던 것 같습니다.
구글 검색을 해봐도..
윈도우에서 플렉스를 돌리면 하드웨어 가속이 된다는 말이 있고,
그 외에 뚜렸한 성공기는 못 찾은 것 같고요..
암튼 그래서 윈도우10에 플렉스 서버를 설치해서 테스트 해보니.. 되네요!!!
일단은 끊김없이 자~~알 됩니다..
근데 점유율이 좀 높아서 두개를 트랜스코딩 하기에도 무리가 있을 것 같기도 합니다.
이건 파일에 따라서 다를 것 같긴 한데,
제가 사용한 파일이 4K이긴 해도 크기 2.2G, 전송율 3.5메가 밖에 안되는 파일인데도 그럽니다.
테스트 해보니 2개를 돌려도 감당하지 못합니다. 무려 i7-4세대가..
CPU는 1도 안빼먹고 계속 100%에 GPU는 50% 정도에서 안올라갑니다.
이러면 하드웨어 트랜스코딩이 무슨 의미가 있는지.. -_-;;;;????
그리고 혹시 몰라서 GTS450과 HD7850을 달아서도 테스트 해봤는데,
둘 다 하드웨어 가속 안됩니다.
플렉스 대시보드에서 (hw)가 뜨지도 않고,
윈도우 작업 관리자에서 봐도 놀고 있고요ㅋ
암튼 결론은 헤놀에서는 실패!
윈도우에서는 성공하긴 했지만 가동하기엔 모자란 성능..이네요.
4세대 cpu 로 그냥 4k 재생만 해도 .. 30~40% 먹을텐데요 .. 그걸 재생하면서 변환해서 .. 인코딩까지 하려니
당연히 느릴 수 밖에 없을것 같습니다...
확실치 않지만.. 6세대 이상이면 4k 가속이 되니 (10비트도 사용하시면.. 7세대 이상으로) 하시면
원하는 목적 달성하지 않으실까 싶습니다.(확실한건 아니니 좀더 알아보세요).그런데
quick sync 를 통해서 가속 하는건데 qyick sync 가 동시에 2개인가 몇개 제한이 있나 보던데요 ..
뭐 해제 하는거 있는거 같은거 본것 같거든요 .(지금보니 NVENC 인가 보네요)
NVENC가 .. 갯수 제한이 있고 quicksync 는 어떨지 모르겠네요 .
웃어야 할지 울어야할지.. ㅋㅋㅋㅋㅋ
뭘 정확히 알고 있는 게 없으니 이런 삽질을 많이 합니다.
댓글 감사합니다. ^^
h264 가 잘되면 잘 되고 있는거라고 보시면 되겠네요.
그게 제가 가진 하드웨어에서 굴리기엔 좀 쎈 파일이었나보네요...
암튼 조언 감사합니다. 테스트해보겠습니다.
엔비디아 developer matrix에서 찾아보시면 자세하게 나와있습니다. 어디까지 지원하는지...
# of
NVENC
에 1개로 나와있으면 nvenc 동시에 1개만 된다는 이야기 인가요? gtx1050 1개인데..
일반적인 유저들 입장에서는 Max # of concurrent sessions 가 제일 중요합니다.
즉, 1050은 동시에 2개의 세션만 트랜스코딩이 가능합니다.
반면 P2000처럼 쿼드로 계열은 (2000이상) 세션 수 제한이 없습니다.
그렇다고해서 가만히 있을 유저들이 아니므로
https://github.com/keylase/nvidia-patch
요걸로 세션 수 제한 해제가 가능합니다.
어여 마물해서 성공기를 올리겠습니다 ^^
https://developer.nvidia.com/video-encode-decode-gpu-support-matrix
gt1030 에는 nvenc 기능이 없네요 ㅎㄷㄷㄷㄷ
즉 튜링 아키텍쳐상에서의 nvenc를 제대로 즐기려면 최소한 1660정도는 가줘야한다는 것입니다.
1660정도 넘어가면 개인적으로 H/W transcoding 치고는 화질이 만족스럽습니다.
화질에 관한 자료도 https://devblogs.nvidia.com/turing-h264-video-encoding-speed-and-quality/
요거 보시면 제법.. 괜찮아졌음을 알 수 있습니다.
뭐 초고화질로 갈라믄 여전히 S/W로 해야겠지만요
트랜스코딩을 꼭 하셔야 하는 이유가 궁금한데요.
출퇴근길 모바일 환경에서 영화를 보시려 하시는건가요?
제 경우는 모바일로 감상을 해야 하는 경우가 극히 드물어서 가능한 트랜스코딩을 회피하고 다이렉트플레이가 되도록 설정을 하고 있습니다.
요즘은 무제한에 밖에서는 유투브만 봐도 되고 .. 거의 집에서 dlna 나 wifi 로 보니..
큰 불편함을 못느끼고 있는 중입니다...
1080p 같은거 실시간으로 480 정도로 인코딩 미리 해놓는 용도라면 꽤 쓸모 있어 보이긴 합니다.
다만 실시간으로 보는 용도는 별로라고 생각되네요.
거의 데탑에서 플렉스 미디어 플레이어로 보면 쾌적하죠 ㅎㅎ
근데.. 되는 걸 보고싶은.. 일종의 병이랄까요ㅋㅋ
1050 검색해보니 다행히 그리 비싸지 않네요 ^^
플렉스의 최적화(오프라인 트랜스코딩)가 품질&용량이 괜찮더라고요
그걸 원활하게 쓸 목적도 있습니다
된다면 파일 관리&이용이 간편해지니까요
1050보다는 조금 먹으니까요. 둘 다 중고로 산다 치면 가격이 7만원vs4~5만원 정도 일 겁니다 ^^
검색 들어갑니다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