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62003 |
25 |
2015-12
1762003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35904 |
0 |
2014-05
5235904
1 정은준1
|
92124 |
RAID구성 해제할때 그냥 다른컴에 물리고 포맷해도 RAID구성을 해제할 수 있을까요? (6) |
ParkB7 |
2021-01 |
4059 |
0 |
2021-01
4059
1 ParkB7
|
92123 |
2696v4 호환 가능 보드를 찾아보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6) |
닉네이뭐로 |
2022-08 |
3413 |
0 |
2022-08
3413
1 닉네이뭐로
|
92122 |
파이선 exe 변환후 실행시 오류. (3) |
빠끔살이 |
2024-04 |
1601 |
0 |
2024-04
1601
1 빠끔살이
|
92121 |
맥(매킨토시) 컴터가 왜 비싼가요? (21) |
김건우 |
2018-09 |
6248 |
0 |
2018-09
6248
1 김건우
|
92120 |
iMac에서 사용가능한 3D CAD s/w가 뭐 있을까요? (1) |
NiteFlite9 |
2013-12 |
3897 |
0 |
2013-12
3897
1 NiteFlite9
|
92119 |
[ 리눅스 - python 2.x & 3.x ] 동일 서버에서 사용하는 방법 문의 드립니다. (2) |
전설속의미… |
2019-11 |
2791 |
0 |
2019-11
2791
1 전설속의미…
|
92118 |
SB x-FI 카드와 로지택 5.1체널 스피커 연결 방법 문의 (5) |
명성호 |
2022-09 |
1569 |
0 |
2022-09
1569
1 명성호
|
92117 |
vm 공인 ip 질문 드려보아요 (6) |
고궈 |
2016-06 |
5368 |
0 |
2016-06
5368
1 고궈
|
92116 |
유틸 자료구합니다. (4) |
황진우 |
2014-01 |
4121 |
0 |
2014-01
4121
1 황진우
|
92115 |
이공계 쪽에서 입사지원시 (7) |
박종대 |
2018-09 |
3382 |
0 |
2018-09
3382
1 박종대
|
92114 |
아랫 질문 보강. (13) |
방o효o문 |
2014-01 |
4980 |
0 |
2014-01
4980
1 방o효o문
|
92113 |
솔텍 sfc5000a설정관련 문의 드립니다, (5) |
주말여행 |
2019-11 |
4770 |
0 |
2019-11
4770
1 주말여행
|
92112 |
2CPU 회원님의 HDD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해서 질문을 올려봅니다. (7) |
신우섭 |
2022-09 |
2443 |
0 |
2022-09
2443
1 신우섭
|
92111 |
모니터가 일그러져(?) 나옵니다. (1) |
굴다리교 |
2011-09 |
6006 |
0 |
2011-09
6006
1 굴다리교
|
92110 |
HP 마이크로서버 Gen8 Array에 관련하여 (11) |
테돌아이 |
2015-05 |
5722 |
0 |
2015-05
5722
1 테돌아이
|
92109 |
WD 외장하드 적출한 하드 접점 절연 문제에 관하여 (7) |
VSPress |
2021-02 |
4742 |
0 |
2021-02
4742
1 VSPress
|
92108 |
고해상도 노트북 질문입니다. (5) |
방o효o문 |
2011-09 |
6199 |
0 |
2011-09
6199
1 방o효o문
|
92107 |
내장그래픽과 외장그래픽을 병행사용하고싶습니다만.... (12) |
Sikieiki |
2018-09 |
4827 |
0 |
2018-09
4827
1 Sikieiki
|
92106 |
idrac6에서 TLS 1.0을 끄고 http로만 접속가능하게 하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4) |
한승재 |
2022-10 |
2574 |
0 |
2022-10
2574
1 한승재
|
92105 |
슬롯당 DDR3 4G까지 인식 하는 보드에 8G 인식이 가능한가요. (4) |
Rich |
2024-05 |
1737 |
0 |
2024-05
1737
1 Rich
|
무선 장비쪽은 DHCP가 휠씬 편하죠
저같은 경우는 층마다 VLAN으로 나누고 각 층의 상단 스위치에 할당해버립니다.
물론 라우터가 VLAN을 가정할때 이야기지만요. 만약 층마다 같은 서브넷으로 묶을 필요가 없다면
층마다 공유기를 설치하여서 나누는 것도 방법입니다.
회사에서도 특별한 이유가 없으면 굳이 고정IP를 할당하진 않습니다
아니면 각층마다 172.16.[층수].[고정아이피 레인지], 172.16.[층수].[유동아이피 레인지] 이런식으로 나누어 써도 되구요.
그런데 아이피를 어디서 지정해주느냐에 따라서의 차이가 조금 있을 수 있겠는데요. 이건 그냥 순수하게 방법론인것 뿐이지만, DHCP써버에서 특정MAC주소에 아이피를 예약해놓으면 (reserve) 모두 DHCP를 써도 고정 아이피를 쓰는것과 같아지겠습니다. 한곳에서 넷워크의 전체 IP들을 쉽게 컨트롤 하려면 이 방법도 나쁘지 않을 수 있기도 합니다.
저라면 고정아이피레인지와 유동아이피레인지를 따로 지정하여쓰고 또 와이파이 접속기기들과 유선 접속기기들의 아이피레인지를 따로 구분할것 같습니다.
제가 경험해본 사설넷워크들 중 와이파이든 유선이든 모두 MAC주소를 Network(또는 System) 어드민센터에서 등록을 하여야만 넷워크에 접속이 가능하게 해놓은것도 종종 격어보았습니다. 보안을 위한것인데 이렇게 되면 또 불편함이 따르기도 하니 전체적인 Network(또는 System) 아키텍쳐를 디자인 하는 과정에서 보안와 편리함에 대한 장단점을 늘어놓고 귀사에 필요하고 적합한 방법을 선택하는것이 좋지않을까 합니다. 또 다른 사설넷워크에서는 모든 기기에 꼭 고정아이피를 박아넣어 쓰는 경우도 보았는데 이것 또한 그조직에서의 보안규정에 따른것이라고 판단했었습니다. 물론 보안이 강화되게되면 그것에 따른 불편함도 감수해야 하는거니까 그런것들을 저울질하여 결정하셔야 하지 않나 하네요.
처음에 현재와 미래의 확장가능성을 고려한 넷워크를 잘 구성해놓지 않으면 전체적인것들을 갈아엎어야 하는 경우의 횟수가 많아지는 불상사를 막지 못하게 되어 그냥 일이 더 복잡해지고 많아지는거겠습니다요.
그런데 꼭 172.16.0.0/16 으로 안가셔도 192.168.0.0/16 을 쓰시면 256 x 256 - 2 = 65,534개의 디바이스를 넷워크에서 쓸 수 있는거 아닌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