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5) |
정은준1 |
2014-05 |
5141118 |
0 |
2014-05
5141118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675769 |
25 |
2015-12
1675769
1 백메가
|
54967 |
320-2E를 인텔 D975XBXLKR에 사용 가능한가요? (1) |
곽선호 |
2006-08 |
5327 |
25 |
2006-08
5327
1 곽선호
|
54966 |
39320A-R에서 하드디스크 인식문제 (4) |
조지연 |
2008-10 |
5327 |
18 |
2008-10
5327
1 조지연
|
54965 |
이 서버보드 파워는 어덯게 끼우는건가요?? (10) |
bigmaster |
2015-11 |
5327 |
0 |
2015-11
5327
1 bigmaster
|
54964 |
서버 랙 구입 및 설치에 관련하여 질문 올립니다. (2) |
케플레기 |
2015-11 |
5327 |
0 |
2015-11
5327
1 케플레기
|
54963 |
일본어판윈도에서작성한텍스트파일... (5) |
윤호용 |
2005-12 |
5327 |
14 |
2005-12
5327
1 윤호용
|
54962 |
서버의 수명은 과연 어디까지일까요.. (14) |
가상화공부중 |
2019-01 |
5327 |
0 |
2019-01
5327
1 가상화공부중
|
54961 |
노트북에서 USB PD 3.1 충전해보신 보신 분들에게 질문 요 (10) |
Noman |
2023-04 |
5327 |
0 |
2023-04
5327
1 Noman
|
54960 |
윈도우 시스템유틸(조각모음) 접근제한할려면? (3) |
김현호 |
2008-09 |
5327 |
22 |
2008-09
5327
1 김현호
|
54959 |
프롬프트에서 폴더을 드라이브 만들기... (3) |
강대섭 |
2007-11 |
5327 |
4 |
2007-11
5327
1 강대섭
|
54958 |
딥러닝 학습 시, 단일/2개 cpu에 따른 성능차이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7) |
김썬더 |
2020-03 |
5327 |
0 |
2020-03
5327
1 김썬더
|
54957 |
z620 ssd설치방법 좀 문의드립니다 (3) |
휘리릭12 |
2016-02 |
5327 |
0 |
2016-02
5327
1 휘리릭12
|
54956 |
LSI PCBX518-B1 U320 PCI 64-Bit MegaRaid SCSI Card 문의 (4) |
윤병훈 |
2009-01 |
5327 |
5 |
2009-01
5327
1 윤병훈
|
54955 |
[문의] 빅타워 혹은 벽난로케이스 문의드립니다. (4) |
채영진 |
2007-10 |
5327 |
14 |
2007-10
5327
1 채영진
|
54954 |
led램프 작동전압이 얼마인가요 (4) |
여해i이상복 |
2018-10 |
5327 |
0 |
2018-10
5327
1 여해i이상복
|
54953 |
ts140 핫스왑 관련 질문입니다 (15) |
오현골 |
2017-03 |
5327 |
1 |
2017-03
5327
1 오현골
|
54952 |
점점 패드를 가리게 되는 마우스 |
서정욱 |
2009-04 |
5327 |
0 |
2009-04
5327
1 서정욱
|
54951 |
그래픽 팬소리 조절문의 (14) |
FullMoon |
2016-11 |
5327 |
0 |
2016-11
5327
1 FullMoon
|
54950 |
장혁욱님 다른 커널을 사용하는게 맞는지요? (2) |
이문흠 |
2006-06 |
5327 |
49 |
2006-06
5327
1 이문흠
|
54949 |
얼마전 고장난 컴퓨터 실행시 뜨는 오류 입니다. (4) |
서동국 |
2008-06 |
5328 |
20 |
2008-06
5328
1 서동국
|
54948 |
pci 슬롯만 달려있는 메인보드(?) 가 뭔가요? (5) |
노하석 |
2008-03 |
5328 |
17 |
2008-03
5328
1 노하석
|
SAS에 대한 원리를 알면 됩니다..
4레인을 다 꼴아박아야 하니 케이블에 여유가 없는거 같더라고요
즉 CPU 의 PCIe 4x 를 nvme 스토리지에 직결한 것 입니다.
SAS dual port의 장점 그대로입니다.
12G SAS의 경우에는 dual port를 지원하는 경우 wide port로 사용하여 두배의 대역폭을 가질 수 있습니다. 2000MB/sec 이상의 대역폭을 가지므로 NVMe에 비해 크게 꿇릴 것이 없습니다. 인터페이스 대역폭보다는 SSD 자체 능력이 더 중요해지죠. NVMe의 경우 대역폭이 높아 순차 읽기 쓰기 속도가 3300MB/sec가 되는 제품도 있지만 burst 속도이고 sustained 속도는 좋은 ssd들도 대개 2000MB/sec 이하임
2. 단점
없습니다. 그냥 싱글포트로 사용해도 됩니다. 단점이라기보다 dual port 8 bay를 구동하려면 SAS adapter 16 port가 있어야 합니다. 싱글포트용 fanout cable로는 dual port 사용할 수 없고 dual port가 지원되는 케이블 혹은 백플레인을 사용해야 합니다.
dual port ssd를 누가 제일 먼저 생산했느냐는 그리 중요한 문제는 아닐 것입니다. 이미 전부터 SAS dual port가 있었고 그걸 적용하여 생산한 것 뿐이니까요. Toshiba, HGST, Seagate, Samsung 등이 앞서거니 뒷서거니 dul port 모델들을 내놓았습니다.(인텔은 SAS SSD를 직접 만들지 않고 HGST와 제휴관계로만 생산했음)
U.2 NVMe의 경우에도 dual port 지원하는 모델들이 있습니다. dual port인 것들은 PCIe x2 lane씩 2 port인 것이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