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terprise향 ssd 중에 dual port 지원( 듀얼 포트 )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조회 5488   추천 0    

안녕하세요. 형님들. 인사드립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코로나 조심하십시오.


제 질문은 크게 4가지 입니다.

1. dual port를 지원하는 server,  enterprise향 ssd의 경우 지원하지 않는 것과 다른 무슨 장점이 있을까요?

2. 그리고 반대로 trade off되는 단점들도 있으면 알고 싶습니다.

3. 추가로 dual port의 간단한 원리?, 구조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4. 마지막으로 dual port ssd의 최초 개발 회사는 어디인지도 혹시 아신다면 알수 있을까요?

dual port ssd에 대해 general하게라도 study를 하고싶어 질문 요청드립니다.

감사합니다.

Lee.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20-03
듀얼포트는 SAS의 듀얼포트 입니다..

SAS에 대한 원리를 알면 됩니다..
     
U.2도 dual port가 지원되죠?
          
임상현lsh 2020-03
u2는 아마 안될겁니다

4레인을 다 꼴아박아야 하니 케이블에 여유가 없는거 같더라고요
박문형 2020-03
U.2 /M.2 는 PCIe 의 기술이라 전혀 다른 것 입니다..

즉 CPU 의 PCIe 4x 를 nvme 스토리지에 직결한 것 입니다.
간장게장 2020-03
1. 장점
SAS dual port의 장점 그대로입니다.
12G SAS의 경우에는 dual port를 지원하는 경우 wide port로 사용하여 두배의 대역폭을 가질 수 있습니다. 2000MB/sec 이상의 대역폭을 가지므로 NVMe에 비해 크게 꿇릴 것이 없습니다. 인터페이스 대역폭보다는 SSD 자체 능력이 더 중요해지죠. NVMe의 경우 대역폭이 높아 순차 읽기 쓰기 속도가 3300MB/sec가 되는 제품도 있지만 burst 속도이고 sustained 속도는 좋은 ssd들도 대개 2000MB/sec 이하임

2. 단점
없습니다. 그냥 싱글포트로 사용해도 됩니다. 단점이라기보다 dual port 8 bay를 구동하려면 SAS adapter 16 port가 있어야 합니다. 싱글포트용 fanout cable로는 dual port 사용할 수 없고 dual port가 지원되는 케이블 혹은 백플레인을 사용해야 합니다.

dual port ssd를 누가 제일 먼저 생산했느냐는 그리 중요한 문제는 아닐 것입니다. 이미 전부터 SAS dual port가 있었고 그걸 적용하여 생산한 것 뿐이니까요. Toshiba, HGST, Seagate, Samsung 등이 앞서거니 뒷서거니 dul port 모델들을 내놓았습니다.(인텔은 SAS SSD를 직접 만들지 않고 HGST와 제휴관계로만 생산했음)

U.2 NVMe의 경우에도 dual port 지원하는 모델들이 있습니다. dual port인 것들은 PCIe x2 lane씩 2 port인 것이 많습니다.


QnA
제목Page 2960/5708
2014-05   5141281   정은준1
2015-12   1675916   백메가
2005-05   5329   권오균
2016-10   5329   Yorkie
2021-06   5329   블루모션
2017-01   5329   Sikieiki
2018-06   5329   권용1
2016-12   5329   황진우
2006-02   5329   이민영
2008-04   5329   강영식
2014-11   5329   미수맨
2008-11   5329   전근현
2007-11   5329   강대섭
2020-10   5329   허인구마틴
2006-05   5329   김양훈
2006-06   5329   강경덕
2007-06   5330   김두홍
2005-12   5330   이성준
2006-01   5330   소현준
2014-01   5330   나파이강승훈
2006-05   5330   임민규
2007-01   5330   이정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