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89717 |
25 |
2015-12
1789717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4706 |
0 |
2014-05
5264706
1 정은준1
|
92474 |
unity5 개발 멀티코어 지원되나요? (2) |
공돌이 |
2016-08 |
9079 |
0 |
2016-08
9079
1 공돌이
|
92473 |
[문의] Batch 파일에서 실행 파일의 Return 값까지 로그 남기는 방법 (11) |
흥마 |
2024-09 |
1523 |
0 |
2024-09
1523
1 흥마
|
92472 |
g31 보드에 x5460 사용중인데 혹시 사용하시는 분 온도 얼마 나오세요 ? (5) |
김기혹 |
2014-04 |
5706 |
0 |
2014-04
5706
1 김기혹
|
92471 |
윈도우 mscs 구성 테스트 수행중 질문이 있습니다. (3) |
chotws |
2024-09 |
950 |
0 |
2024-09
950
1 chotws
|
92470 |
iODD 사용에 대한 질문입니다. (3) |
정광진 |
2012-04 |
5240 |
0 |
2012-04
5240
1 정광진
|
92469 |
컴포지트기기를 컴포넌트에 연결하려면 어떤젠더를 써야하나요? (4) |
김건우 |
2014-04 |
6126 |
0 |
2014-04
6126
1 김건우
|
92468 |
cpu를 1265L v3로 교체했는데, 4코어 4쓰레드로 뜹니다. (3) |
멋진남자 |
2015-08 |
5268 |
0 |
2015-08
5268
1 멋진남자
|
92467 |
리눅스서버 모니터링툴 (7) |
두리안 |
2014-04 |
9276 |
0 |
2014-04
9276
1 두리안
|
92466 |
넷기어 제품 AS정책이 중고구매한 제품은 안된다고 하네요. (10) |
홀릭0o0 |
2020-02 |
3273 |
0 |
2020-02
3273
1 홀릭0o0
|
92465 |
[해결] 모니터불량 증상입니다. (9) |
김영기대전 |
2018-12 |
3821 |
0 |
2018-12
3821
1 김영기대전
|
92464 |
Centos7의 방화벽 - iptables & firewall-cmd (9) |
리오 |
2016-09 |
7589 |
0 |
2016-09
7589
1 리오
|
92463 |
혹시 수학문제 하나 풀어주실수 있나요? |
컴박 |
2017-09 |
3717 |
0 |
2017-09
3717
1 컴박
|
92462 |
x99보드 사설 보드 수리 하는곳 어디있을까요?? (7) |
프로시아 |
2020-02 |
4797 |
0 |
2020-02
4797
1 프로시아
|
92461 |
한국교육검정원이라는 곳에서 자격증을 주는것은???? (7) |
Rich |
2024-10 |
1000 |
0 |
2024-10
1000
1 Rich
|
92460 |
DELL PowerEdge 6600 에 대하여 문의드립니다. (1) |
이승민386 |
2009-02 |
5886 |
0 |
2009-02
5886
1 이승민386
|
92459 |
도저희 참을수 없어서 (8) |
2CPU최주희 |
2014-04 |
4069 |
0 |
2014-04
4069
1 2CPU최주희
|
92458 |
옛날 메인보드 문의드립니다. (9) |
미놀사랑 |
2009-02 |
5610 |
0 |
2009-02
5610
1 미놀사랑
|
92457 |
Z820 문제임... (3) |
황진우 |
2014-04 |
3579 |
0 |
2014-04
3579
1 황진우
|
92456 |
미크로틱(rb950)에서 VPN 연결은 되는데 공유가 안되네요. (2) |
박 |
2015-09 |
4202 |
0 |
2015-09
4202
1 박
|
92455 |
하드가 이런 상태면 (3) |
원상현 |
2021-06 |
1885 |
0 |
2021-06
1885
1 원상현
|
참고로 말씀드리자면 USB HDD에서 문제가 생기는 경우는 둘중에 하나였습니다.
A. USB 케이블 연장선 사용.
B. 전원 공급 불안정
그래서 저는 최대한 짧은선을 이용하여 I/O가 불안정한 경우 USB 포트를 다른곳에 이동하는 식으로 했습니다.
셋팅이 잘만 되면 그대로 꼽고 써도 되는데요
애초에 USB 방식 자체의 고질적인 문제가
다른 USB 장치 ( 키보드, 마우스, 기타 무언가 ) 에 영향을 받는 경우가 있어서 USB HDD는 임시로 잠깐 쓰거나
또는 전체 USB 장치 자체를 연결/재연결 할일이 없을때 ( EX. 서버 ) 만 사용하게 되더군요.
USB 전원 공급 문제는 생각지도 못했네요.
그렇다면, Y케이블을 이용하여, USB 2포트에 넣으면 괜찮으려나요?
보드에서 eSATA 지원하지 않는경우 sata to esata bracket 을 이용하여
bios 에서 핫스왑 옵션 켜시고 쓰는 방법도 있습니다.
그런데, 미리 설치해 두어야 하잖습니까..
반면 USB는 어느 컴퓨터나 다 지원하니.. 혹시 안정성이 괜찮아 졌다면, 고려해 보려고 했었지요..
고맙습니다~
'가격 좀 되는'이 어느 정도 말씀하시는 것인지요? 제가 위 글에 링크한 'WD My Passport Ultra Gen4'은 해당 사항이 있는 것인가요?
허접한 2.5인치 외장케이스에 1.5TB 넣어서 사용하기도 했지만 전원문제만 해결하면 USB도 쓸만합니다. 용량이 크면 가급적 별도의 전원이 들어가는 2.5/3.5인치
제품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WD에도 3.5인치 제품군이 있지요? 이지스토어 같은 것들요.
예전 USB 2.0때, 새로텍 등에 하도 데인 적이 많아서..
USB는 전혀 신뢰하지 않고 있었는데..
이제는 좀 괜찮아졌나 보네요.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