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테스트용 ssd 만드는 방법 질문드립니다.

반성만   
   조회 3113   추천 0    

안녕하세요 반성만입니다. 

64기가 ssd를 여러 보드에서 테스트목적으로 Window to go로 윈도우10을 설치해놨는데

잘 쓰다가 775보드에서는 부팅을 안하네요 -_-;; 아무래도 775의 문제라기보다는 윈도우가 깨진듯 해요 

검색해보니 wtg의 단점이 중간에 usb를 빼버리면 크래쉬된다는데.. 

저는 sata로 연결한거라 전원off 후에 떼고 붙이고 해서 딱히 깨질 꺼리는 딱히 없었는데.. 깨진걸 보면.. 상당히 불안한거 같네요.. 

MSDN ISO로 설치를 한게 아니라 트윅버전으로 해서 그런건지.. ;; 


보드 정상작동 상태를 보려고 하는건데 

유튜브에서 it시스템 여러 영상을 보면 테스트용 ssd를 가지고 수리후 정상여부를 판단하더라구요 

영상에서는 드라이버체크도 하고 부하테스트도 하는걸 보니 PE는 아닌거 같고.. 


뭔가 방법이 없을까 해서 여쭙습니다. 

좋은 방법 있으면 알려주세요 ^^ 

감사합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20-03
보드 스트레스 테스트 하실려면 하드든 SSD든 OS하나 깔고 거기에 맞는 버닝 프로그램을 돌려야 합니다..

버닝프로그램은 잘못 돌리면 시스템 태워먹을수도 있기에 방열 환기등에 신경 써야 합니다..

저는 대략 2~3일 논스톱으로 돌리던 때도 있었습니다..
     
반성만 2020-03
답글 감사합니다.
스트레스 테스트용은 아니구요 ㅎㅎ IT 시스템에서는 그렇게 운용을 하더라구요
저는 그냥 시스템 정상여부... 윈도우가 정상적으로 부팅이 되는지 드라이버는 잘 잡히는지만 체크하려고 합니다.
여기저기 보드셋 상태체크해야 할 일이 있는데, 매번 윈도우 설치하기가 녹록치 않아서요 ^^
          
뭄바이 2020-04
참고로 wtg면 당연히 윈10 사용자라고 생각합니다만...
테스트 용도면 wtg 쓰지 마시고 윈10 설치한 ssd만 들고 다니시면 됩니다.
정말 특이하고도 이상한 드라이버 아니면 자동으로 다 검색되고 사용 가능하십니다.
전 테스트용으로 8세대 intel 과 라이젠 2세대 드라이버 올리고 잘쓰고 있거든요.
(당연히 노트북은 기본입니다만...최신형은 아닙니다 ㅜㅜ)
도움이 될런지...
               
반성만 2020-04
와우 감사합니다 그엏게 해보겠습니다 ^^
찬이 2020-03
explorer등 추가해서 PE Usb를 만드는것도 좋습니다.
1GB 좀 넘게 쓰면 일반 윈도랑 별 다를것도 없구요.
이미지가 메모리에 올라오기 때문에 부팅이 좀 늦긴 하지만 USB 3.0에 ssd이면 빠릅니다.
파일시스템이 깨질일도 거의 없구요.
뭄바이 2020-04
win to go 가 문제보다는 775보드 문제 같습니다.
제 기억에는 g31 보드가 usb 부팅시 문제가 많았습니다.
(부팅 오래걸림, 혹은 부팅중 오류, 등등등...)

wtg보다 혹은 pe보다 박문형님 말대로 자체에 맞는 테스트가 정답입니다.


QnA
제목Page 1093/5724
2014-05   5239051   정은준1
2015-12   1764450   백메가
2020-04   5294   키가180
2020-04   3111   keros
2020-04   7591   나파이강승훈
2020-03   2979   ArtsRommel
2020-03   8411   박선호
2020-03   3932   수퍼싸이언
2020-03   3746   유호준
2020-03   3107   케이아스
2020-03   2710   김효수
2020-03   2923   무어행
2020-03   3447   권용1
2020-03   4363   행복찾기
2020-03   3494   캔위드
2020-03   2966   버지니아
2020-03   3191   GICode
2020-03   2553   화란
2020-03   2547   나파이강승훈
2020-03   3356   캔위드
2020-03   3272   진신두
2020-03   6500   머리감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