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래미가 우리도 제발 iptv 좀 보자고 그러는데....

ZEBE   
   조회 3781   추천 0    

 저희는 그냥 아파트에서 제공해주는 공중파만 보고 있습니다. 근데 6학년되는 딸이 왜 우리집은 채널이 몇개 없냐고 계속 이야기해서 한번 신청해보려고 합니다. 한달치는 자기가 내겠다며 2만원 주더군요.^^


저희는 지금 kt인터넷 100메가짜리 쓰고 있는데 kt, u+, sk 중에 어느 서비스가 제일 무난할까요. 저는 kt 인터넷을 쓰고 있어서 그냥 kt 묶어 쓸까 했는데 요즘은 u+가 컨텐츠가 좋다는 이야기를 누가 해서 더 고민이네요. 


마음 같아서는 500메가로 올리고 kt iptv로 묶고 싶은데 회원님들께서는 어떤 서비스가 괜찮으신지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keros 2020-04
최신 컨텐츠는 KT 도 잘 들어올테니 저라면 걱정없이 묶을 것 같아요 ㅎㅎ
     
ZEBE 2020-04
그러니까요 저도 크게 신경 안쓰고 그렇게하려고 했더니 지인이 막 kt는 끊겨서 엄청 바꾸고 싶다고 해서요....
gmltj 2020-04
컨텐츠는 다 거기서 거기인데요. 기본 채널로만 보면 KT 가 가장 낫습니다. 별 차이는 없는 것 같아서 중드 같은거 보여주는 채널에서 차이가.... 그런데 인터넷이 100메가 짜리라면 티비 보면서 뭐 다운은 못 받습니다. 다운 받으면 티비가 끊겨요..
     
ZEBE 2020-04
아마 지인이 그래서 끊긴다는 말을 했던 것 같습니다. 최소한 500메가로 넘어가야 되나 싶네요.....
화니류 2020-04
지역 디지털방송은 싼것도 있습니다.
저희집은 구)cj헬로비전- 현 lg일겁니다 아마.. 이거 가입할때 1셋톱박스 기준(1tv) 1달에 5900원인가 그랬던걸로 기억하는데요. 7900원인가..
비싼것도 있고..그렇습니다.
이거랑 비교했을때, 통신사것들은 좀 더 비싼걸로 압니다.
그냥 저희는 tv를 잘 안보고 유튜브나 휴대폰을 더 많이써서 싼걸로 씁니다.
     
ZEBE 2020-04
이게 선입견일 수도 있는데 예전에 이모집 살면서 티브로드 봤었는데 대응들이 너무 짜증나서 그 뒤로는 지역은 좀 거리감이 생기더라구요....
Espial 2020-04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현재 휴대폰 쓰시는 통신사와 인터넷 쓰시는 통신사 합치셔서 묶으시는게 제일 무난해보입니다.
사실 절약하라면 TV도 3사 통신사 외 기타 를 사용해도 무관하긴 합니다만, 그래도 질은 어느정도 챙기셔야 할거같아 보여서요
제 기준으로 설명드리면, KT 1Gbps + 스카이라이프 + 휴대폰 묶어서(장기혜택 포함) 32,600원에 내고있습니다
해지방어술, 장기혜택, 신규가입 혜택 잘아보셔서 가입하시길 바랍니다.
     
ZEBE 2020-04
네..저도 제일 무난하게 가고 싶은데 제 스타일상 하..그 방어술이 쉽지가 않을 것 같습니다.....
정진호군 2020-04
KT 오래 쓰셨으면 잘 네고하시면 돈 크게 차이없이 IPTV보실수 있으실 듯 합니다.
     
ZEBE 2020-04
kt를 계속 썼지만 제 명의랑 와이프 명의로 계속 왔다갔다 해서 네고가 잘될까 모르겠습니다...
캔위드 2020-04
어쩌다 보니 한빛방송 케이블TV 를 아직도 보고 있습니다.
케이블이라 TV의 모든 기능 ( 타이머신. 자동 정기 예약 등등 )을 쓸 수 있어서 편리합니다.
     
ZEBE 2020-04
위에도 댓글 달았는데 3사 이외에는 조금 조심스러워서 고민입니다........
박문형 2020-04
한 통신사로 묶어 사용하시는 것이 맞고

LG U+ 경우 돈을 더 주면 채널이 늘어나던가 할 겁니다..
     
ZEBE 2020-04
저도 그냥 무난하게 가고 싶은데 지인이 그 끊김때문에 안된다고 그래서 살짝 고민됐습니다.....
화랑화랑 2020-04
저렴한 상품을 구입하면 어느 통신사라도 채널은 비스무리...합니다.

가격 Vs. 컨텐츠(채널 갯수) 인데요,

사실 이것도 맨날 보는것만 보게되어서리...
     
ZEBE 2020-04
맞습니다. 사실 저희도 컨텐츠 크게 신경 안쓰고 애들이 정규방송이외에 다른 것들도 보고 싶다 정도인 것 같습니다.
초코송이 2020-04
휴대폰 결합이 아마도 제일 저렴할것 같네요.
참고로 저는 IPTV + 인터넷 + 휴대폰 결합으로 이용하고 있습니다만...
IPTV는 안봅니다. 지상파 SBS,KBS1,2, MBC, EBS1,2만 시청 합니다.
물론, 애들이 신청좀 하라고 하는데 실은 이미 신청했지만 IPTV선을 연결안하고 있습니다. ㅎㅎ
     
ZEBE 2020-04
저희는 알뜰폰이라 결합은 인터넷+iptv 정도 될 것 같습니다. 선을 연결안하고 계시다니 대단하시네요. 저희는 진짜 너무 졸라대서 몇년 버텼는데 이제는 좀 해야 될 것 같습니다...
          
알뜰폰 KT M  에서 스카이라이프 랑 제휴해서 보는 게 생겼더라구요.;;
전 tv를 보지 않아서  관심이 없었습니다만 한번 둘러보세요.
https://internettv.ktmmobile.com/wire/itTvList.do
일반유저 2020-04
제가 작년에 KT 100M 쓰다가 반기가(500)+iptv로 전환해서 쓰고 있습니다.

인터넷 7년 이상 장기가입자는 기가 상품전환시 추가 할인 혜택이 있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현재 3년 약정에 반기가(500)+iptv 해서 월 37,000원 정도 내고 있습니다.
(IPTV 수신기는 UHD용이고 채널수는 기본(100몇개정도)입니다.)

참고하세요.
     
ZEBE 2020-04
말씀하신데로 그 정도가 제일 무난할 것 같습니다. 사이트 들어가보니 제일 인기상품이네요.
ZEBE 2020-04
짧은 시간에 너무 많은 답변 주신 회원님들께 감사 말씀드립니다. 제일 무난한 서비스로 한번 상담받아보겠습니다.
오준호5 2020-04
kt 사용중인데 기가지니 셋톱박스가 제일 무난할것 같습니다. 예전에는 자연어 처리가 빙신 같았는데 최근에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되면서 음성인식이 매우 좋아 졌습니다. 리모컨 만지는 횟수보다 "지니야 xx 틀어줘" "지니아 오늘 날씨 어때?" 같이 말로 하는 서비스가 매우 편하다라는 것을 느꼈습니다.
     
ZEBE 2020-04
네....애들도 좋아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김석중 2020-04
KT SK 다 쓰고 있는데요. 특별히 채널 차이는 별로 못느끼겠습니다.
둘다 공중파, 종편등 나올건 비슷하게 나와요.

그리고 동네 케이블이나 딜라이브도 볼만 했습니다.

요즘은 실시간 방송보단 컨텐츠가 얼마냐 많냐가 관건이죠.
그럼 그냥 OTT 셋탑 박스 사서 넷플릭스 돌리는게 제일 좋은거 같습니다.

그리고 100메가 시절에도 IPTV는 문제 없이 잘 봤던거 같습니다. iptv 쓴다고 해서 인터넷이 느려졌다는것도 별로 못느꼈구요.
TV 신청하면 공짜로 업그레이드 시켜 준다고 할수 있으니 고객센터에 문의해 보세요.
     
ZEBE 2020-04
네......사실 비슷하다면 굳이 다른 회사 쓰는 것보다 묶는게 낫다 싶습니다....
젤 저렴한건 유선이 아닐까 싶습니다
SK는 완전 비추입니다
다운로드 좀 하년 끊겨요... 공유기도 한번에 안붙고
SK는 이래저래 엄청 불편합니다
     
ZEBE 2020-04
저도 사실상 kt, U+ 중에 고를 생각입니다. 지인도 sk에서 U+로 넘어갔다고 하더군요.....
     
구명서 2020-04
저도 SK 비추 한표입니다.특히나 기본으로 보실꺼면 더더욱...백만표쯤...일까요...
작년 하반기때...그냥 별 생각없이...공짜로(ㅠㅠ) 해준다고해서...sk 결합으로 iptv 신청해서 보는중이긴 한데..
진짜 애물단지입니다.지역케이블은 최소한 지나간거 다시보는게 어느정도는 무료인데..
요넘은 무조건 돈내야되고..채널도 구리고...
kt나 엘지쪽..아니면 지역케이블...도 어느정도 되는건 괜찮고..요런걸로 보세요.
(약정 2년 반 남았네요..쩝;;;)
이라달 2020-04
유투브 고화질랑 기타 안드로이드 기반 TV앱을 보실거라면 LG셋탑이 호환성이 좋습니다
지금은 개선됐을지 모르겠지만 제가 KT 기가지니 썼을땐 내부브라우저에 저화질 재생이었네요


QnA
제목Page 1086/5729
2015-12   1789502   백메가
2014-05   5264498   정은준1
2024-05   1601   뭐든팔아요
2018-09   3456   김건우
2022-10   2567   마스코트
2018-09   5903   성기사
2017-06   4809   늘파란
2014-01   4794   나파이강승훈
2016-07   4399   라이젠
2019-12   3507   블루영상
2011-10   5909   하우디자인
2018-10   3824   Dosh
2022-10   3125   미수맨
2011-10   8808   포우
2015-06   7783   겨울나무
2021-03   2877   삐돌이슬픔이
2016-07   9309   오티스
2015-06   8705   회원K
2018-10   5859   Nikon
2015-06   4144   조병철
2014-02   4902   김선동
2022-11   1328   jjh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