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관공사가 그렇게나 큰 공사일까요..ㅠㅠ

김영기   
   조회 8642   추천 0    

30년 된 빌라입니다.

올수리 하는 김에 (전에 살던 분은 추위 문제는 없었다고는 하시지만), 난방배관 새로 교체하고 싶었어요. 그래서 여기저기 조언을 구했습니다.


근데, 대부분의 분들이..말리는 분위기입니다. 걍 바닥재나 새로 하라고.


제가 알기로 난방배관 교체작업은 바닥을 다 까고 단열 깔고, 배관 후 미장, 마감 ...요런 코스인데. 이게 그렇게나 어마무시한 공사일까요? 소음이 있거나 진동이 있고 시일이 걸리고 작은 레미콘이 오고..이런 건 알고 있습니다.


근데 이게 전혀 일반적이지 않고, 그냥 외장이나 갈고 치우는 게 보통인가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SkySky 2020-04
리모델링중 가장큰 공사일것같은데요
층고여유가 있으면 기존 바닥위에 건식으로 설치하는경우도 본것같네요.
유민석 2020-04
바닥을 다 까고 이게 엄청난 일입니다.
배관공사 프로세스를 아시는것 같은데 녹물나오는 수준이면 배관공사 해야 하지만 가급적이면 손대지 않는게 좋습니다.

추위문제는 난방보다는 단열을 신경쓰시는게 낫지 않나 생각합니다.
18평인데 레미콘이 오나요? 우리집은 전층 다 갈아 업긴했습니다.
금액대가 얼마나 나왔기에 그러시는지?
김준연 2020-04
어마무시한 공사는 맞습니다. 보통 완전 리모델링 바로 아래 차원의 집 수리이기 때문입니다.
이선호 2020-04
스티로폼 제외하고 24평 기준 못해도 4~500은 들어가는데 작은 공사라고 보기는 어렵죠.
기본적으로는 단열작업을 제대로 하는게 훨씬 낫습니다만 주변의 다른 집들에서 보일러가 자주 터진다면 생각해볼 만 하겠지요.
김영기 2020-04
조언들 정말 고맙습니다...흑흑
김동수P 2020-04
바닥 배관 공사 기법중에 홈파기 공사 해주는데가 있습니다. 바닥 까대기 다 안하고(기존 배관 철거 안하고) 홈만 파고 미장마감하는 방식이구요.
또, 기존 바닥 위에 건식으로 바닥을 얇게 올려서 시공하는 방식도 있습니다. 이 방식은 바닥이 몇cm정도 높아진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두가지 모두 업체가 여러군데 있는거 같으니 한번 알아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공사가 크려면 크고 작게 하려면 작게도 되죠^^
조재현 2020-04
전체 다 하실거면 차라리
기존 바닥위에    엑셀깔고  경량 뭐 거품 콘크리트
부워버리세요
저도 그리했습니다
바닥까네는게 장난아닙니다
     
김준유 2020-04
어디서 그런 .. 말도 안되는 방법을 쓰는 업체를 만나셨는지..
          
조재현 2020-04
저랑 포함  동네 몇군데 다 그리 했는데 난방 잘되고
좋다는데요  잘못된건가요  흐미~
어짜피 아파트도 콘크리트 바닥에 엑셀깔고
기포콘크리트 붓는거 아닌지요
하중 때문에 그런건가요?
준유님 한수부탁드립니다~~~
               
김준유 2020-04
기포 콘은 골조위에 단열을 위해 선행하는 작업입니다... 몇가지 기능(?)을 더 갖고 있지만 .. 난방을 위한 부분입니다...

즉 콘크리트 골조 위 기포 몰탈 와이어 메쉬에 XL배관 고정 및 열전도를 위해 몰탈을 타설하고 마루, 타일, 장판등 마감재를 붙입니다...

1차적으로 기포는 강도가 낮습니다.. 충격을 주면 쉽게 부서집니다... 몰탈에 물을 섞을때 기포를 발생시키는 약품을 첨가하여 타설시 공기층을 형성하게 합니다...
여기에 엑셀배관을 깔면서 U핀이라는 자재를 써서 고정을 해줍니다.. 대단한게 아니고 그냥 단단한 U자형 철사라고 보면 됩니다. 그걸 그냥 손으로 꽂아서 고정해 주는 거죠...
그리고 평활도가 나오지 않습니다.. 미장을 할 수 있는게 아니니까요...



아마도 중간과정을  잘못 알고 계시는게 아닐까라고 믿고(?)싶습니다...  이걸 자랑스럽게 시공법이라고 이야기 하는 업체는...
                    
조재현 2020-04
아  준유님은 항상 정석을 이야기 해주시니 이해서 팍팍 와요
제가 잘못 알고 있는거 같기도 한거 같구
분명 밨는데 ㅎㅎ
암튼 야매 조심하겠습니다~
조재현 2020-04
욕심만 버리면 얼마든지 쉽게 가능합니다
그돈으로 단열에 더 신경쓰시면 됩니다
김준유 2020-04
제가 지금 하고 있는 현장에 바닥 난방이 들어갑니다..
층별 60평.. 엘리베이터 계단 빼면 55몊 정도 됩니다.. 1층부터 6층까지... 대략 300평 정도 됩니다...

바닥 철거하는데 미니 포크레인 9대, 작업기간 7일 걸렸습니다.. 화장실 타일 및 방수층까지 철거하는데 약 120톤 건축 폐기물 나왔습니다...

크다고 하면 크고 작다고 하면 작은 공사일수 있습니다...
빌라위 경우 아래층에 주민이 있다면 큰 공사 맞습니다.. 깨는 것보다 민원처리가 더 힘든 일입니다...
영화표 선물로 드리면서 하루 외출하시게끔 유도하고 합니다..
명랑 2020-04
솔직히 말씀드리면 예산이 가장 변수인 것 같습니다. 리모델링을 제대로 된 업체에 맡기면 한 업체에서 전공정이 끝나는데. 하청 주면 나중에 골치아픕니다. 개인이 보기엔 큰 공사인 것 같지만. 바닥 난방과 공구리 치는 건. 큰 공사는 아닌 것 같습니다. 옛날 공사방식으로 하면 인건비가 들어가지만 전문화된 업체는 신기하리만큼 신속하게 끝내버립니다.


QnA
제목Page 1073/5727
2015-12   1778395   백메가
2014-05   5253409   정은준1
2016-09   3919   에이핑크
2020-02   387   TRUE
2023-02   1576   검은콩
2009-02   6958   이영규
2012-05   6083   김상우AP
2021-06   2551   네이쳐
2023-02   3605   코쿠
2012-05   6202   가빠로구나
2021-06   2127   가온누리I강…
2023-02   2396   hdsniper
2009-03   5664   양해원
2014-05   3625   황진우
2023-02   2266   galaxyfamily
2020-03   3013   소주한병
2017-10   3091   김형준1
2021-07   2608   퍼싱글
2021-07   3154   무쏘뿔처럼
2016-09   5633   파커스
2015-09   4740   명성호
2017-10   7503   지나가는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