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79547 |
25 |
2015-12
1779547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54628 |
0 |
2014-05
5254628
1 정은준1
|
93219 |
톨스토이의 '전쟁과평화' 어떤 판본이 좋을까요? |
박 |
2013-10 |
6100 |
0 |
2013-10
6100
1 박
|
93218 |
구형 그래픽 카드 방열판 푸시핀을 구하고 싶습니다. (4) |
차넷컴퓨터 |
2017-03 |
4138 |
0 |
2017-03
4138
1 차넷컴퓨터
|
93217 |
Synology DS409 아답터 구매처(용산상가 인근) (2) |
수현삼촌 |
2019-08 |
2379 |
0 |
2019-08
2379
1 수현삼촌
|
93216 |
안드로이드용 micro 5핀에 꽂아서 쓰는 유선랜카드 제품 알고계신분 정보좀 부탁드립… (4) |
캡틴아메리카노 |
2016-04 |
5404 |
0 |
2016-04
5404
1 캡틴아메리카노
|
93215 |
pcmcia타입 sdram 아시는 분 있으신가요? (1) |
전직P연구원 |
2017-03 |
3694 |
0 |
2017-03
3694
1 전직P연구원
|
93214 |
모니터 신호 출력 불가 (23) |
이희주 |
2024-01 |
3437 |
0 |
2024-01
3437
1 이희주
|
93213 |
브랜드 PC나 워크스테이션/서버에 붙어 있는 윈도우 라이센스 (5) |
박철 |
2013-10 |
18803 |
0 |
2013-10
18803
1 박철
|
93212 |
현 레이저프린터의 소모품잔량을 체크했는데... 더 쓰지말고 버려야할까요? 사용할만… (4) |
김건우 |
2016-04 |
5337 |
0 |
2016-04
5337
1 김건우
|
93211 |
하드디스크 파티션 문제 (2) |
서버꿈나무 |
2024-01 |
1434 |
0 |
2024-01
1434
1 서버꿈나무
|
93210 |
벤더 제품에는 ES 시퓨가 사용이 안돼나요? (11) |
이유종 |
2013-10 |
9557 |
0 |
2013-10
9557
1 이유종
|
93209 |
사무실용 컨테이너를 구입하려고 하는데..세금 계산서 후에 입금은 크게 문제 없는 … (8) |
신은왜 |
2018-07 |
4011 |
0 |
2018-07
4011
1 신은왜
|
93208 |
아이폰 PPTP vpn 에서 send all traffic off 하면 속도가 |
투헤드 |
2013-10 |
5203 |
0 |
2013-10
5203
1 투헤드
|
93207 |
메인보드 관련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z9pe-d8 vs z9pe-d16) (5) |
optimize |
2013-10 |
6182 |
0 |
2013-10
6182
1 optimize
|
93206 |
zfs 파일시스템에 관한 궁금한것이 몇가지 있습니다. (4) |
일리케 |
2016-04 |
5976 |
0 |
2016-04
5976
1 일리케
|
93205 |
이조건에 맞는 보드추천부탁 드립니다 (15) |
취미컴 |
2019-09 |
3136 |
0 |
2019-09
3136
1 취미컴
|
93204 |
g5 파워맥 하드 고정용 나사 어디서 구해야 할까요? (9) |
Carolus |
2016-05 |
5430 |
0 |
2016-05
5430
1 Carolus
|
93203 |
일반적인 보급형 공유기로 장비대 장비 VPN 방식 설정이 가능한가요. (1) |
너의남자 |
2018-07 |
3469 |
0 |
2018-07
3469
1 너의남자
|
93202 |
딥러닝 입문용 nvidia으로 적당한 카드추천 (12) |
online9 |
2020-12 |
2954 |
0 |
2020-12
2954
1 online9
|
93201 |
맥 Automator 관련 질문입니다. (2) |
대전김형운 |
2024-02 |
1492 |
0 |
2024-02
1492
1 대전김형운
|
93200 |
거치형 내비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8) |
Jjun |
2017-04 |
4059 |
0 |
2017-04
4059
1 Jjun
|
바퀴 구경이 작아서 휙휙돌아가고 도로충격이 바로 무릎과 허리에 전달됨.
내가 다니는 길이 정말 한적하고 자전거 도로등의 포장이 잘 되어 있다면 아주 약간 고려해볼만함...
보통은 타고 다니다가 크게 다치거나 아니면 크게 다칠뻔 하거나 한뒤에 다시 파시는 분들을 많이 봐서요. . .
차가 안다니는 넓은 대학캠퍼스 같은곳이라면 추천합니다.
차가 없고, 평탄한 넓은 장소에서만 탈만합니다.
저역시...전기자전거 추천드립니다.
꼭 타시겠다면... 유튜버'포마' 추천모델 참조...정도...^^
단, 차에 싣고 다니면서 여행지나 레저용으로 사용한다면야 괜찮습니다. 이 경우 최소 10인치 이상으로 가시는걸 추천합니다.
8인치 미만은 요철을 만나면 고꾸라지기 딱 좋습니다.
개인적으로 동네 마실용이라면 자전거, 페달 밟기 귀찮다면 스쿠터가 최고입니다.
단, 번호판장착과 보험가입이 안됩니다. 속도는 빠른데 법이 준비되지 않았습니다. XPRO 할리, 고프리듀얼엑스, 스크루저(4000W)
한강가시려면 전기자전거 PAS만되는모델로 구매하시구요.
오토바이가 위험하다는건 사고가 났을 시 신체 보호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이지 그 자체의 성능 문제는 아니지요.
보험 가입도 안되어 사람 잘못 치면 집안뿌리 날라가는것 순식간일 수 있으며, 도심지 이외의 장소에서 타게 설계된 물건이 아니기에 공도라 할지라도 노면 상황이 안좋으면 굉장히 위험합니다. 브레이크부터 각종 기본 성능, 안정성 조차 50cc 스쿠터만도 훨씬 못한 제품입니다.
2kW 제품을 타도 60km/h도 안나오는 마당에 무슨 공도를 달릴 생각들을 하는지..
더군다나 타보신 분들 대부분이 얼마 못가 왜 다시 방출하시는지 생각해보시면 대충 답이 나옵니다.
급속충전이 가능한 테슬라도 불편하다는 얘기가 자주 나오는 마당에 전동제품들은 충전하기 귀찮아서 대부분이 방출합니다. 전동스쿠터 부터 전기차까지 ...(다니고, 트위지 등). 싸고 좋을거라 생각해서 구매하시는데 싼게 싼게 아닙니다.
--
두번째로 590w가 넘어가면 원동기 장치 자전거 -> 이륜차로 바뀌는데, 이륜차는 번호판 부착 및 책임보험 의무가입 대상이나 킥보드는 25km/h 이하로 세팅되어 나오기에 번호판 의무장착 대상이 아닙니다. 하지만 이걸 풀어서 사고가 나게 되면 상당히 골치아프게 되지요. 어딜가나 CCTV, 블박이 대중화된 상황이니까요.
더군다나 사고라도 나게 되면 이륜자동차, 원동기장치 특성상 피해자가 무보험상해로 처리가 가능하고 책임보험 없는 가해자는 구상권 청구에 휘말리겠지요.
답은 전동스쿠터처럼 차대번호 새기고 의무보험 가입하라고 하는것인데 이게 과연 가능할지...
지점이 없다면 비추드립니다. 펑크라도 나거나 고장나면 답이 없거든요..
윗분들과 마찬가지로.. 타다가 어깨 아작나본 사람으로써.. 말씀드리면 절대적으로 비추 드립니다.
단점 베터리가 없을때 오르막길 못올라가면 밀어야됀다는것
제주도에서 좀 타봤는데 아주 좋았어요
밧데리 하나로 30~40키로 정도만 가는게 좀 그래요 (동네 구경정도 밖에 안돼죠 좀 먼데가면 .....올때는 죽어나는거죠)
베터리 2개 있음 좋을텐데 1개라 좀 아쉽네요
밧데리가 3~4십만원 하던데...
결론 오토바이나 차가 훨씬 좋다....
생각보다 속도도 느리고 위험하고 안가벼워요;;;
헬멧 안쓰면 괜히 교통경찰한테 꼬투리 잡힐수도 있아요 그리고 타다보면 욕심이 생겨서 동네 마실용에서 전천후로 바뀌는데 이럴때는 속도가 완전 스트레스에요 뒤에서 차가 빵빵거리고 인도로 가자니 사람들 눈치에 요철에... 킥보드는 갈만한 길이 별로 없는 실정입니다 (발목이랑 무릎에 무리도 좀 갑니다)
유튭 보니 50만원대 전기스쿠터 있던데 그쪽으로 한번 알아보시는게 좋을거 같습니다
근데 제가 영상봤을땐 그 유튜버가 보험 가입하고 그러던데... 보험이랑 번호판이 윗분 말씀처럼 안되는건지 헷갈리네요 ^^;;
주변에도 전기스쿠터 사신 분들이 많지만 지금까지 타시는 분은 단 한분도 없습니다. 심지어 식당하는 지인조차 말이죠. (재피, 와코 등)
그나마 재피, 와코 저 두 모델이 내리막에서 70km/h (GPS) 나오는 모델인데 충전이 드럽게 귀찮고, 배터리 교체가격이 100~130인걸 감안하면 엔진대비 메리트가 전혀 없어요. 50cc 기준이라 보험이 조금 저렴하다 정도지요.
저는 이년전쯤부터 사용하다가 작년에 봉인중입니다
탈만한곳이 없다가 제일 큰 이유고
두번째는 차와 사고는 사망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너무 크다 입니다
두가지 이유로 인해 차라리 자전거를 추천드립니다
트위치도 괜찮습니다 ~
한달 교통비 생각하면 6개월이면 회수 가능할거같은데... 고민이네요
4~5만 km까지는 엔진 나가는 일 없고, 연비 40km/h 정도 나와주니 1년안에 손익분기점 넘을것이고, 전동킥보드/스쿠터와 달리 어디에 주차해도 도난걱정이 크게 없습니다.
월주차 끊기도 그렇고 시내 주차가 매~우 귀찮아서 차는 놓고 보통 PCX 타고 다니는데 1년 유지비가 보험료, 기름값, 소모품 해서 70~80만원정도 들어갑니다. 기름값 1400원대 기준이니 지금은 5~60이면 되려나요...
시외 돌아다니는 것까지 연 1만~1.2만km 정도 타고있고, 대물 1억 / 대인 II 무제한 포함한 종합보험입니다.
오토바이는(BMW) 성인용 장난감이라 생각하지만 스쿠터(PCX)는 이동수단으로 훌륭하더군요. 비올때가 살짝 성가셔서 그렇지...
동네 마실용으로 쓰고 있는데 나름 잘 쓰고 있습니다..
다만 너무 싸구려를 산건지 배터리가 1년도 안되서 성능이 절반정도로 떨어진거 같습니다.
odo는 대충 350키로정도 될거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