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원케이블 이중화 가능한건 APC뿐일까요?

홀릭0o0   
   조회 4837   추천 0    

 안녕하세요.

UPS 에서 입력받는 전원선이 1개 

UPS에서 출력하는 전원선이 5개 인 경우에..

입력구멍이 1개인데 입력 전원선을 벽선 1개, 또다른 UPS 직렬연결로 1개 하여 이중화 하고

출력 5개가 각 PDU에 물려서 전원을 또 분배하는데 PDU 입력 1개당 각각 벽전원 1개와 UPS 1개로 이중화를 하고 싶은데요

APC 에서 1U 로 나오는 케이블매니지먼트는 AP7721 나 4423 같은거 말고 간단하게 멀티탭(멀티콘센트) 같은 타입으로는 없을까요?

고수님들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20-05
어떻게 배선이 되는지 머리속에서 그려지지가 않습니다..
     
리얼홀릭 2020-05
어떻게 배선하고자 함은 아니고.. UPS 하드웨어적으로 수명을 다하거나 배터리 전압문제 등으로 사용불가 상태일때 일단 벽전원을 사용하고자 함입니다.
UPS가 대용량 1개가 있는데 이게 뻗으니 답이 없네요 믿고있었는데.. ㅜㅜ
          
우앙뿌앙 2020-05
UPS고장나도 심각한 고장이 아닌이상에 바이패스 될텐데요..

그리고 IDC 레벨이 아니라면 보통  한전 1ea UPS 1ea 이렇게 해서 쓰기에 UPS 고장나도 큰문제는 없지 않나요?
               
리얼홀릭 2020-05
바이패스로 전환이 되긴한데 바이패스 허용용량을 넘어서니 그냥 꺼져버리네용 근데 그 바이패스 용량보다 넘어섰다고 보기가 어려운 상황이지만 그냥 과부하 등이 있어서.. 그냥 일시적으로 전압이 올랐나? 하고 유추만 하는 상황입니다.
조용원 2020-05
그게 평상시에 ups에서 하는거 아닌가요
바이패스로 전원공급 (외부전원) 하다가 전원이상생기면
외부전원끊고 배터리 전환....
     
리얼홀릭 2020-05
배터리가 문제가 생겼을땐 답이 없더라구요. 또 배터리 용량도 오래버텨주는건 아니고 꺼질수있는 타이밍만 제공해주다보니..
전원문제로 UPS가 백업 도 중요하지만 UPS 문제로 UPS 사용불능시 건물전기 로 전환하는것도 필요해보입니다ㅜㅜ
박문형 2020-05
그래서 UPS는 정기적으로 풀테스트를 해야 합니다..

강제적으로 전원을 끊어서 UPS가 재대로 동작하는지 보고 받데리가 규정된 용량까지 방전되어도 이상이 없는지 보고

전원을 원복해서 충전및 장비가 재대로 돌아가는지 보고 UPS에서 아마 바이패스 셋팅이 가능할텐데 거기가지 이상없이 동작하는지 봐야 합니다..

받데리도 수명이 있고 하기에 채크및 테스트는 필수 입니다..
이대희 2020-05
그렇게 연결하시는 것은 어렵지 않으실 것입니다.

위의 글내용을 보면
외부(벽면) 전원으로        기기에 직접 전원 공급
외부(벽면) 전원으로  UPS를 거처 기기에 전원 공급

즉  병렬 전원 입력 으로  UPS 이상 (정전이 아닌 UPS 고장)이 있어도 정상적인 전원 공급을 받을수 있는 것을 원하시는것 같습니다.
그렇게 하면 UPS 고장시 에는 도움이 되겠지요.
 
UPS를 거처 나온 전원선 과  벽면에서 공급하는 전원선을 병열 연결 작업을 하시면 가능할것 같습니다.
**************************************************************************************
이론적으로는 가능하지만 그렇게 연결시 UPS에 어떤  이상이  생길수도 있습니다.
**************************************************************************************

UPS 입장에서 보면 출력측에 입력과 똑갇은 전압이 걸려 있으니 컨트롤이 않되지 않을까요.
UPS가 할수 있는 (전압확인, 전류확인, 노이즈 확인 등)의 고유 기능은 전혀 할수가 없을것 같습니다.

참고만 하세요.
     
ZSNET5 2020-05
말씀하시는 대로 배선하시면 큰일납니다.
ROM정해준 2020-05
2입력 1출력하는 스위치로 automatic transfer switch라고 하는게 있긴 합니다만 절체시간을 확인하고 구매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리얼홀릭 2020-05
APC 에서 판매하는 AP7723 같은 제품들 절체시간을 가진 제품으로 서버에 사용하면 문제가 생길까요?
중고 보니 30만원선에서 구매가능할듯하네요.
해외테스트 하는거보니 LED 가 짧게 깜빡 하는걸 봐서 서버에 일시적인 절체시간만 발생해도 문제가 될듯한데..
이럴경우 어떻게 해야할지 어디서 조언을 받아야할지 모르겠네요 에궁
          
ROM정해준 2020-05
10ms면 일반 UPS 트랜스퍼 타임이랑 비슷해서 별 문제는 안될 것 같습니다. 그러나, 문제는 ATS가 고장 안난다는 보장 역시 없습니다.
대부분의 서버는 파워서플라이 이중화가 되어있어서 하나가 떨어져도 정상 구동이 가능하니 하나는 AC, 하나는 UPS에 입력하시거나, 아니면 차라리 서버를 두대로 구성하셔서 서버 하나가 아예 고장나도 작동이 가능하게끔 구성하시는건 어떠실까요?
조용원 2020-05
ups 를 이중으로 설치하면 어떤가요 ?

한전  - ups 1 - ups 2 - 서버
              └──┴──┘
     
리얼홀릭 2020-05
ups1 이 문제가 생기면 ups2가 전원을 한전에서 못받고 ups1 에서 받아야하니 오랜시간 전원을 받지 못할것 같아서요.
그래서 UPS가 2대 있다해도 한전과 전원을 병렬연결 하고자 하는데 윗분들 말씀처럼 전압차이 같은것들로 문제있지 않을까 하여 여쭤본 부분이에요~
백남억 2020-05
EATON도 있고, 에머슨도 있고요.
엑티브-엑티브 바이페스 UPS 두세트로 병렬운전 하시면 될둣 합니다.
UPS 와 상용전원간에 절체는 무정전으로 이뤄집니다.
양 UPS는 서로 통신하며 용량과 장비 컨디션을 서로 체크하며 능동적으로 동작하죠.
물론 돈이 좀 들긴 합니다.


QnA
제목Page 1063/5730
2015-12   1790873   백메가
2014-05   5265904   정은준1
2018-01   4409   미수맨
2020-06   4227   엠브리오
2016-01   3608   마마무
2016-12   8511   JAYON
2021-11   3842   파리대왕
2013-03   5357   머라카는데
2016-01   4297   김상민
2016-01   4468   신우섭
2019-04   3205   길가던뉴비
2021-11   2190   죠슈아
2014-10   7978   2FluF
2016-12   4842   마통
2023-07   2657   포병
2014-10   22355   sprirea
2010-03   7873   1CPU지창훈
2014-10   4415   하루카
2016-01   8278   이문영
2018-02   3614   뒷북소년
2013-04   8323   이종송1
2014-10   3864   병맛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