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5) |
정은준1 |
2014-05 |
5139126 |
0 |
2014-05
5139126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673612 |
25 |
2015-12
1673612
1 백메가
|
49901 |
윈도 2000 서버버전을 써보려고 하는데요... (2) |
김우진 |
2006-01 |
5544 |
65 |
2006-01
5544
1 김우진
|
49900 |
Sonnet Tempo-X44 SATA라는 컨트롤러카드에 대해 여쭙니다. (3) |
강민호 |
2008-03 |
5544 |
11 |
2008-03
5544
1 강민호
|
49899 |
드라이브 문자에 해당하는 하드웨어를 알 수 있는방법이 있나요? (3) |
오상훈 |
2006-07 |
5544 |
26 |
2006-07
5544
1 오상훈
|
49898 |
네트웍 하드 설치 관련 문의 (8) |
고무다라이 |
2013-01 |
5544 |
0 |
2013-01
5544
1 고무다라이
|
49897 |
제온파이 모델 (11) |
김달호 |
2017-12 |
5544 |
0 |
2017-12
5544
1 김달호
|
49896 |
i5 2500s의 클럭을 어떻게 올리나요? (6) |
아름다운노을 |
2015-08 |
5544 |
0 |
2015-08
5544
1 아름다운노을
|
49895 |
비전공자 회로설계 질문 ( ESP32, RS485 ) (12) |
안규민 |
2019-08 |
5544 |
0 |
2019-08
5544
1 안규민
|
49894 |
개인용 시스템 문의입니다. (2) |
박성민 |
2006-01 |
5545 |
17 |
2006-01
5545
1 박성민
|
49893 |
2CPU 제공되는 메일 아웃룩에서 설정방법을 아시나요? (2) |
이정환 |
2009-02 |
5545 |
0 |
2009-02
5545
1 이정환
|
49892 |
ASUS AC1900 공유기 문의 드립니다. (16) |
Nikon |
2018-06 |
5545 |
0 |
2018-06
5545
1 Nikon
|
49891 |
혹시 xp홈에디션에서 듀얼 시피유 지원 하는지 아시는 분 있으신지 (6) |
김형필 |
2005-12 |
5545 |
22 |
2005-12
5545
1 김형필
|
49890 |
무선공유기 추천... (1) |
최재원99 |
2014-11 |
5545 |
0 |
2014-11
5545
1 최재원99
|
49889 |
Plextor DVDR PX-800A 인식을 못하네요 (5) |
박종용 |
2009-03 |
5545 |
0 |
2009-03
5545
1 박종용
|
49888 |
3ware 9650se-24m8 아마존 구입 문의 등... (4) |
연승호 |
2007-11 |
5545 |
14 |
2007-11
5545
1 연승호
|
49887 |
부팅시 VGA깨지는 현상? (6) |
김건우 |
2012-10 |
5545 |
0 |
2012-10
5545
1 김건우
|
49886 |
MP Dual 5년만에 사망!! intel 쿼드6600용 보드 추천 부탁드립니다.. (7) |
문병훈 |
2007-08 |
5545 |
15 |
2007-08
5545
1 문병훈
|
49885 |
[re] 각 증권사에서 사용하는 증권프로그램 포트번호 알 수 있을까요? (1) |
김윤술 |
2007-10 |
5545 |
18 |
2007-10
5545
1 김윤술
|
49884 |
키오스크 또는 판금 저렴한 곳 문의 (6) |
쿰척쿰척 |
2016-08 |
5545 |
1 |
2016-08
5545
1 쿰척쿰척
|
49883 |
차악을 위한 질문 |
방효문 |
2005-10 |
5545 |
20 |
2005-10
5545
1 방효문
|
49882 |
지메일 작성시 느려질때.... 방법이 없나요? (1) |
문양호 |
2015-11 |
5546 |
0 |
2015-11
5546
1 문양호
|
간단히 1가닥짜리 기계도 있고 2가닥짜리 기계도 있습니다..
그리고 그것은 인터넷 통신업체의 일입니다.. 집에서는 방마다 광케이블 깔 일이 거의 없습니다..
집안 내부는 돈들여서 큰 허브를 넣을수 있는 통신반이나 좋은 UTP 케이블 및 단자를 여러개 (방마다 4가닥씩 같은) 설치하면 좋기는 합니다..
가정용으로 이정도해두시면 굉장히 여유로울껍니다.
포설중간에 케이블은 고정하지마시구요,
사업자 마다 광케이블은 동일 하며 연결 컨넥터 타입만 다름으로 왠만하면 작업 가능하며
간혹 2코어 짜리 들어오더라도 이경우는 일반가정에서는 흠 ㅡㅡ
1코어만 있다하더라도 코어 절감기를 통해서 1코어 2코어로 변경해서 사용가능합니다 다만 신호의 세기에 따라 다르지만
구간이 짧은 구간이라 충분히 가능 할겁니다.
인테리어하시는 kt사용중이시면 각환경에 따라 통신사마다 규격이 천차만별입니다. 우선 메인의 위치와 통신구축 환경 확인이 필요하며 메인 이후단 각방마다는 Cat.5e 이상 규격의 랜선 2쌍이 포설되면 기가 이상도 사용 가능하게 되는 구조이기에 현재사용하시는 인터넷 회선 업체 a/s 배선 구조 변경 신청을 하시고 내방한 기사에게 요구사항을 설명하고 조언을 받으시는것이 제일 현명합니다. 각 집마다의 구조는 다 상이하기에 회선업처 기사의 조언이 뒷탈없이 원하시는 구축에 도움이 되실듯 합니다.
필요할때 수량만큼 입선하면 되고요
CD22가 좋으나 두껍고 CD16은 무난합니다
커넥터 통체로 넣으려면 CD28도 좋습니다
보통은 CD22에 UTP 2가닥, 동축 1가닥 포설합니다
랜선은 각 방구간에 넣는다는 이야기인거죠?
내부도 16MM 로 2가닥씩 넣어서 바닥에 넣어두면 되는데.... 문제는 난방배관과 크로스 되면 안됩니다.
크로스 되는 부분이 생기면 바닥을 파서 낮추거나 해야 하고 낮추는 부분은 단열재를 끼워서 되도록 랜선에 열이 덜 가해지게끔 해주는게 좋습니다...
미장바닥이 난방이 되는데 닿아도 무슨 차이냐 하는 사람도 있는데.... 일종의 심리적 안도감(?) 이라고 하고 넣어두면 손해 절대 안봅니다...
그리고 각 방의 바닥에서 콘센트 쪽까지는 조금 까야 겠네요...
욕보십니다...
아 참... 광케이블이 들어오는 곳은 비와 연결이 되기에 비가 안들어오게끔 최대한 조심,,, 해 주시는거 잊지 마시구요...
CD는 햇빛에 노출되면 바스러지기에 노출은 피해주시구요...(사실 뭐든 햇빛에는 장사 없긴 합니다) ... 시간의 문제일 뿐...
아웃렛 어떤거 쓸지 신경쓰시구요... 되도록이면 콘센트와 스위치 회사와 동일한 제품을 쓰는 걸 권합니다... 컴ㅅ 이런곳에서 나오는 제품보다는...
깔맞춤이...
어떤 업체가 들어올지 모르지만 대부분 나노나 저가형 쓸거에요... 내구성은 조금 떨어지나 크게 문제가 있지는 않으니...
우리 회사는 르그랑이나 신동아(파나소닉 납품업체) 제품을 주로 씁니다.. 참고하시면... 모양은 뭐 크게 ... 디자인 들어가면 금액이 ...
하자 한번이라도 덜 보러 가는게 돈 버는 거라... 몇만원 아끼려다 한번 가면 몇십만원 깨지는 지라....
그래서 그런 거로 전화는 거의 안옵니다... 몇년동안 스위치 콘센트로 인해 연락 받은 적이 없네요... 대략 8년 정도 되는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