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가인터넷은 광케이블 종류가 다를까요?

김영기   
   조회 5601   추천 0    

 

이번에 집 바닥을 다 뜯고 새로 시공할 때

모뎀에서 나오는 광케이블과 랜선을 아예 매립을 해 두려합니다.


지금 100Mbps짜리 KT를 쓰고 있습니다.

혹시 기가빗 인터넷을 나중에라도 설치한다면

광케이블의 종류가 다를까요?


만일 다르다면 미리 케이블을 요청해 매립해 두는게 맞을것 같아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페선생 2020-05
아니요
박문형 2020-05
외부에서 들어오는 광케이블은 모뎀에 따라 다르기에 안 설치하는게 낫습니다..

간단히 1가닥짜리 기계도 있고 2가닥짜리 기계도 있습니다..

그리고 그것은 인터넷 통신업체의 일입니다.. 집에서는 방마다 광케이블 깔 일이 거의 없습니다..

집안 내부는 돈들여서 큰 허브를 넣을수 있는 통신반이나 좋은 UTP 케이블 및 단자를 여러개 (방마다 4가닥씩 같은) 설치하면 좋기는 합니다..
22짜리 시디관에 CAT6케이블 두개씩 포설해두세요.
가정용으로 이정도해두시면 굉장히 여유로울껍니다.
포설중간에 케이블은 고정하지마시구요,
페선생 2020-05
광이면 일반 인터넷이면 FTTH용 주.예비 각 1코어씩 2개 넣으면 될듯합니다.
사업자 마다 광케이블은 동일 하며 연결 컨넥터 타입만 다름으로 왠만하면 작업 가능하며
간혹 2코어 짜리 들어오더라도 이경우는 일반가정에서는 흠 ㅡㅡ
1코어만 있다하더라도 코어 절감기를 통해서 1코어 2코어로 변경해서 사용가능합니다 다만 신호의 세기에 따라 다르지만
구간이 짧은 구간이라 충분히 가능 할겁니다.
MidasCustom… 2020-05
안녕하세요. 리모델링 하시나보네요.
인테리어하시는 kt사용중이시면 각환경에 따라 통신사마다 규격이 천차만별입니다. 우선 메인의 위치와 통신구축 환경 확인이 필요하며 메인 이후단 각방마다는 Cat.5e 이상 규격의 랜선 2쌍이 포설되면 기가 이상도 사용 가능하게 되는 구조이기에 현재사용하시는 인터넷 회선 업체 a/s 배선 구조 변경 신청을 하시고 내방한 기사에게 요구사항을 설명하고 조언을 받으시는것이 제일 현명합니다. 각 집마다의 구조는 다 상이하기에 회선업처 기사의 조언이 뒷탈없이 원하시는 구축에 도움이 되실듯 합니다.
김영기 2020-05
랜선을 2개를 깔면 좋다는 말씀들이시지요? @.@
위례인 2020-05
공배관만 포설하시면 될듯합니다
필요할때 수량만큼 입선하면 되고요
CD22가 좋으나 두껍고 CD16은 무난합니다
커넥터 통체로 넣으려면 CD28도 좋습니다
보통은 CD22에 UTP 2가닥, 동축 1가닥 포설합니다
김준유 2020-05
광케이블은 외부-거실 모뎀 구간
랜선은 각 방구간에 넣는다는 이야기인거죠?
     
김영기 2020-05
역시...정확합니다
          
김준유 2020-05
외부 광케이블 들어오는 곳으로 16MM CD 1개, 연락선 끼워 놓으면 좋아하구요...
내부도 16MM 로 2가닥씩 넣어서 바닥에 넣어두면 되는데.... 문제는 난방배관과 크로스 되면 안됩니다.
크로스 되는 부분이 생기면 바닥을 파서 낮추거나 해야 하고 낮추는 부분은 단열재를 끼워서 되도록 랜선에 열이 덜 가해지게끔 해주는게 좋습니다...
미장바닥이 난방이 되는데 닿아도 무슨 차이냐 하는 사람도 있는데.... 일종의 심리적 안도감(?) 이라고 하고 넣어두면 손해 절대 안봅니다...
그리고 각 방의 바닥에서 콘센트 쪽까지는 조금 까야 겠네요...
욕보십니다...

아 참... 광케이블이 들어오는 곳은 비와 연결이 되기에 비가 안들어오게끔 최대한 조심,,, 해 주시는거 잊지 마시구요...
CD는 햇빛에 노출되면 바스러지기에 노출은 피해주시구요...(사실 뭐든 햇빛에는 장사 없긴 합니다) ... 시간의 문제일 뿐...

아웃렛 어떤거 쓸지 신경쓰시구요... 되도록이면 콘센트와 스위치 회사와 동일한 제품을 쓰는 걸 권합니다... 컴ㅅ 이런곳에서 나오는 제품보다는...
깔맞춤이...
어떤 업체가 들어올지 모르지만 대부분 나노나 저가형 쓸거에요... 내구성은 조금 떨어지나 크게 문제가 있지는 않으니...
우리 회사는 르그랑이나 신동아(파나소닉 납품업체) 제품을 주로 씁니다.. 참고하시면... 모양은 뭐 크게 ... 디자인 들어가면 금액이 ...
하자 한번이라도 덜 보러 가는게 돈 버는 거라... 몇만원 아끼려다 한번 가면 몇십만원 깨지는 지라....

그래서 그런 거로 전화는 거의 안옵니다... 몇년동안 스위치 콘센트로 인해 연락 받은 적이 없네요... 대략 8년 정도 되는듯...
               
김영기 2020-05
자세한 조언 고맙습니다!!!! 통화로 더 상세히 알려주셨어요.


QnA
제목Page 3213/5708
2014-05   5139126   정은준1
2015-12   1673612   백메가
2006-01   5544   김우진
2008-03   5544   강민호
2006-07   5544   오상훈
2013-01   5544   고무다라이
2017-12   5544   김달호
2015-08   5544   아름다운노을
2019-08   5544   안규민
2006-01   5545   박성민
2009-02   5545   이정환
2018-06   5545   Nikon
2005-12   5545   김형필
2014-11   5545   최재원99
2009-03   5545   박종용
2007-11   5545   연승호
2012-10   5545   김건우
2007-08   5545   문병훈
2007-10   5545   김윤술
2016-08   5545   쿰척쿰척
2005-10   5545   방효문
2015-11   5546   문양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