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53968 |
0 |
2014-05
5253968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78923 |
25 |
2015-12
1778923
1 백메가
|
93578 |
Workstation HP Z vs Dell Precision? (5) |
cyberten |
2015-01 |
11055 |
0 |
2015-01
11055
1 cyberten
|
93577 |
ioDrive2 vs SM961 (6) |
kino0924 |
2019-07 |
3566 |
0 |
2019-07
3566
1 kino0924
|
93576 |
드디어 외부에서 내부 네트워크로 ssh, ftp, http 접속시키는데 성공했습니다 |
Estrella |
2020-09 |
2506 |
0 |
2020-09
2506
1 Estrella
|
93575 |
요거 괜찮은 걸까요? |
남성룡 |
2010-11 |
7209 |
0 |
2010-11
7209
1 남성룡
|
93574 |
[해결]윈도우10에서 시퓨 교체했는데 좀 이상합니다... (3) |
chinni00 |
2017-03 |
5372 |
0 |
2017-03
5372
1 chinni00
|
93573 |
강화유리가 깨졌어요. (8) |
행복찾기 |
2019-07 |
4147 |
0 |
2019-07
4147
1 행복찾기
|
93572 |
포토샵 사용중 전원 꺼짐 (9) |
niet38h |
2022-03 |
3761 |
0 |
2022-03
3761
1 niet38h
|
93571 |
윈도우 CMD를 터미널프로그램(SecureCRT나 putty)같은걸로 쓸수없을까요? (3) |
김건우 |
2010-11 |
16630 |
0 |
2010-11
16630
1 김건우
|
93570 |
CPU 이상 증상에 대해 조언 구합니다. (14) |
프링글스 |
2019-07 |
4904 |
0 |
2019-07
4904
1 프링글스
|
93569 |
브로드컴 칩셋의 pcie 1x 듀얼 랜카드인데...이게 시스템 특성을 타나요? (3) |
김건우 |
2016-03 |
4092 |
0 |
2016-03
4092
1 김건우
|
93568 |
UTM과 L2스위치 사이에 자작방화벽 구성중 두뇌 지능부족으로 과부하에 빠졌습니다 (11) |
치킨좋아요 |
2023-11 |
2430 |
0 |
2023-11
2430
1 치킨좋아요
|
93567 |
특정 메인보드에 램이 인식안되는경우도 있을까요 (6) |
Sikieiki |
2018-06 |
4631 |
0 |
2018-06
4631
1 Sikieiki
|
93566 |
x8dtl-i 메인보드 쿨러 추천 부탁드려요. (4) |
개왕초보 |
2015-01 |
4208 |
0 |
2015-01
4208
1 개왕초보
|
93565 |
1포트 SATA TO SATA 변환 외장 브라켓 판매하는 곳이 있는지요? (2) |
왕용필 |
2016-04 |
3852 |
0 |
2016-04
3852
1 왕용필
|
93564 |
Z440 최대메모리 (8) |
구름송아지 |
2016-04 |
4262 |
0 |
2016-04
4262
1 구름송아지
|
93563 |
듀얼 cpu 구성시 qs버전과 정식버전 같이 써도 동작 할까요? (2) |
Tu7885 |
2017-03 |
3499 |
0 |
2017-03
3499
1 Tu7885
|
93562 |
20핀 파워모듈을 만들려고 하는데 자재이름이 뭔지 알수 있을까요? 사진 있습니다 (6) |
구리구리 |
2020-10 |
3220 |
0 |
2020-10
3220
1 구리구리
|
93561 |
삼성 qlc 8tb (qvo 8tb) 쓸만하네요 (8) |
기묘한생활 |
2022-04 |
2124 |
0 |
2022-04
2124
1 기묘한생활
|
93560 |
원격데스크톱연결할때 위에 연결탭뜨는거 사이즈 줄일수 없나요? (9) |
김건우 |
2015-02 |
4708 |
0 |
2015-02
4708
1 김건우
|
93559 |
견적 카테고리에 들어 가지 못함 (4) |
한중일 |
2023-12 |
1484 |
0 |
2023-12
1484
1 한중일
|
https://namu.wiki/w/%EC%9D%B8%ED%85%94%20%ED%95%98%EC%8A%A4%EC%9B%B0%20%EB%A7%88%EC%9D%B4%ED%81%AC%EB%A1%9C%EC%95%84%ED%82%A4%ED%85%8D%EC%B2%98/%EC%82%AC%EC%9A%A9%20%EB%AA%A8%EB%8D%B8
먼저 테스트한 메인보드(H97은 제외)가 하스웰 리프레시를 지원하는 바이오스로
업데이트가 되었는지부터 확인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래서 포스팅 불가인 저 두 보드는 둘다 최신바이오스 업데이트를 마쳤습니다.
최신 바이오스들에는 물론 제온을 포함한 모든 하스웰 리스레쉬 CPU들이 지원된다고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링크된 페이지에서 있듯이 i3-4160T가 분명 CPU 지원리스트에 나와있음에도 불구하고 포스팅이 안되는 현상이 이해가 안되고 있습니다.
.http://2cpu.co.kr/QnA/748191?&sfl=wr_subject%7C%7Cwr_content&stx=asus&sop=and&page=2
참조해 보세요 같은 증상이 아닐까 합니다.
저도 엄청 고생했어요
정말 짜증나는 일이죠.. -_-;;
암튼 동일한 문제인 걸로 보입니다..
저 유틸을 사용하는 핵심은 CPU의 마이크로코드를 각 보드별 최신 BIOS에 다시 심어주는 역할이라 보면 될까요?
I3-4160T가 얼핏보니 하스웰 리프레쉬 라인업중 거의 뒤늗게 나온 CPU가 아닐까 싶은데, 두 제조사에서 잘 안쓰는 CPU라 신규 마이크로코드도 안심고 걍 대강 호환 된다고 올려둔것일까요?
제조사나 AMI에서 제공하는 BIOS 업데이트 툴은 순수 "BIOS 영역"만 업데이트 시키는 툴입니다. 실제로 권한이 거기까지만 지원하구요.
ME 영역에 대한 권한은 인텔에서 제공하는 Intel ME System Tools의 FPT(Flash Programming Tool)를 통해서만 진행시킬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제조사에서 하스웰 리프레시 업데이트 시에 별도의 툴을 제공해주는 이유가 그 때문입니다.
각 세대별 필요한 ME 펌웨어 버전입니다.
샌디브릿지 : ME 7.x
아이비브릿지 : ME 8.x
하스웰 : ME 9.0
하스웰 리프레시 : ME 9.1
HWInfo 유틸로 검사해보니 ME 버전이 9.0로 나오고 있습니다.
Intel_SA00086_Windows_DiscoveryTool_GUI 로 돌려보니 아래처럼 상세버전도 나오는데,
역시 하스웰까지 밖에 지원 못하는 ME 9.0 버젼이겐요.
https://www.win-raid.com/t596f39-Intel-Management-Engine-Drivers-Firmware-amp-System-Tools.html
포럼에서 펌웨어 다운을 하려하는데, 9.X 대에서 최신버전인 9.5를 깔아도되는지 살짝 겁이나는데요.
상위버전은 9.1 / 9.5 뿐이라서 일단 목적이 하스웰 리프레시의 동작이니 9.1 버전까지만 올려보려 합니다.
떨리는군요... 가이드 몇번씩 또읽고 또읽어보고 있습니다.^^
https://kimkind.tistory.com/38
------------------------------------------------------------------------------------
제조업체: Gigabyte Technology Co., Ltd.
모델: Z87N-WIFI
인텔(R) 관리 엔진 정보
엔진: 인텔(R) 관리 엔진
버전: 9.0.30.1482
SVN: 1
8 시리즈 칩셋의 경우 ME 9.0.3.xxxx부터 하스웰 리프레시를 지원 (위에 처음 알려드린 정보가 약간 착오가 있었네요 ^^;)
9 시리즈 칩셋의 경우 ME 9.1로 시작
만약 BIOS 업데이트 후에도 하스웰 리프레시 CPU가 인식되지 않는다면 ME 펌웨어를 9.0.3 이상으로 업데이트 권장
단, 9.0 -> 9.1의 경우 BIOS가 하스웰 리프레시 대응이면 "거의" 문제 없이 사용가능하나 [9.0은 9.0버전으로, 9.1은 9.1 사용을 권장]
9.5 버전의 경우 데스크탑용이 아닌 노트북용으로 데스크탑에 적용 불가
행여나 실패하신다거나 벽돌되신다면... CPU+메인보드 셋을 저에게 보내주시면 작업 해드리겠습니다.
기가바이트 메인보드는 판매업자분께서 최신버전인 F6 버전으로 이미 BIOS 펌업을 해주신 상태라 그리고 제가 보유한 하스웰 리스레시 CPU는 모두 대응되도록 준비가 되어 있었던 터인데, 갑자기 추가로 구매한 i3-4160T가 변수로 튀어 오른셈 였습니다.
9.5버전을 시도해야 하나 어쩌나 망설이고 있었는데, 9.1로 시도하기를 백번 잘했네요. 하나터면 벽돌될뻔...^^
GA-Z87N-WIFI ITX 보드에는 지금 업데이트 적용해서 한방에 성공했습니다. 초기 설치버전은 9.0이 설치되어 있었고
업데이트로 설치한 버전은 9.1 입니다. i3-4160T 한번에 인식하고 아주 잘 동작 됩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이제 ASUS H81I PLUS 도 진행하려 합니다. 이보드도 잘 되리라 봅니다.^^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좋은 주말 저녁 되십시요.^^
첫번째 이미지는 펌업전 VER 9.0 캡쳐고 이후 이미지는 성공후 VER 9.1 캡쳐입니다.
이제 두 보드로 메인/백업 각 헤놀들 옆그레이드 보드 교체 가능할것 같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하스웰 이전의 CPU를 사용하는 노트북에서 윈10을 설치하지 못하는 문제들도 이 INTEL ME 펌업으로 해결을 할 수 있나봅니다.
저도 1세대 CPU를 사용하는 DELL STUDIO 1558 와 2세대 CPU를 사용하는 MSI GX660 에 윈10을 설치한적이 있었는데,
전력모드와 관계된 노트북 전원 표시등에 불이꺼지지 않는다던지 대기모드로 진입 후 복귀를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이것들 모두
( 제 경우는 다시 잘 안깨어 난다든지, 대기모드 진입을 했어도 팬이 계속 돌아간다던지 하는 이상 오류현상들이 있었음)
해결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 구형 시스템 기준이 UEFI를 완전하게 지원하는 아이비브릿지 칩셋계열부터 해당됩니다.
제가 1세대, 2세대도 전부 ME 펌웨어는 최신으로 업그레이드 해서 썼는데 윈도우10에서 이슈는 그대로 였으나 3세대는 업데이트 후 해결이 되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특히나 노트북의 경우 ME 펌웨어 업데이트가 조심스러울 수 밖에 없는게... 업데이트 잘못했다가 벽돌되면 복구를 해야되는데 칩이 BIOS와 ME가 분리되어있는 구조라면 더더욱 복잡해지기 때문입니다.
역시 샌디브릿지라서 7.0 버전인 상태였구요. 전원관리가 좀 비정상 동작이 되는듯해서 7.1로 펌업을 해보려 했습니다.
겁도 없이 벽돌될지도 모르는 상황에서 걍 시도해 보려했네요. 일단 오늘은 여기서 멈춰야 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