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분투20.04 에 XEN 설치 후 재부팅 하니 이런 불상사가. 왜 그런가요?

   조회 4933   추천 0    

 

XEN 을 설치해서 사용해보려고 우분투 20.04 에 설치했습니다.


설치 후 재부팅하니

아래 로그 출력 후에 모니터가 블랙아웃되었습니다.

UEFI 에 VT-d 는 enable 되어 있고 Hyperthreading 도 enable 되어 있습니다.

Hyperthreading 을 disable 해야 하는지요?


Scrubbing Free RAM on 1 nodes using 4 CPUs ..................................done 

Initial low memory virq threshold set at 0x4000 pages. Std.

 Loglevel: Errors and warnings Guest Loglevel: 

Nothing (Rate-limited: Errors and warnings) 

******************************** 

Booted on L1TF-vulnerable hardware with SMT/Hyperthreading enabled.

 Please assess your configuration and choose an explicit 'smt=(boot)' setting. See XSA-273.

 ********************************

 Booted on MLPDS/MFBDS-vulnerable hardware with SMT/Hyperthreading enabled. 

Mitigations will not be fully effective. 

Please choose an explicit smt=(bool) setting. See XSA-297. 

******************************** 

3... 2... 1...

 Xen is relinquishing VGA console. 

이후 모니터 블랙아웃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우분투에 젠을 설치한다는 얘기가 뭔지 감이 안오고 있습니다 ㅠㅠ
     
시커먼스 2020-06
XEN 은 VMware  나 VirtualBox 같은 Hypervisor 입니다.

아래 내용 보시면 참고가 될 것입니다.
https://hiseon.me/server/xen-hypervisor-install/
          
웃어야 할지 울어야 할지 지금 이것이 무슨 상황인지 지금 내가 어디에 와있는지 헷깔리고 있기는 하거든요. 집으로 배달된 수박을 쪼개지 말아야 하는지...
지금 내 뒤통수쪽에서 들려오는 우렁찬 팬소리들 내면서 무지막지한 전기요금에 대하여 책임을 져야 하는 써버들이 액티브-액티브로 세팅이 되어있으면서 계속 디스크블럭을 씽크시키면서 안전하고 퍼포먼스가 더좋을 수 있게 xcp-ng 를 좀 야매 HA 방식인 ha-lizard를 사용하여 세팅을 해놓고 이게 내가 뭐하는 짓인가 하여 그냥 편하게 클러스터를 미니멈 3개의 동일 xcp-ng로 만들면 훨씬 더 편하지 않을 까 하는 생각을 여러번 했었는데 그것이 바로 그니까 제가 젠써버가 타입원하이퍼바이져를 100프로 이해를 못하여 위험한 상태를 만들어옪았기때문에 뭐라고 할말은 있을지 없을지 ㅠㅠ 네요.

그런데! 우분트에 그냥 vmware나 virtualbox를 설치하시지 않고 왜 젠써버도 아닌 XEN를 설치하신건지요? 그리고 거기다가 또 우분투 20.04 에다가 젠을 설치하셔가지고 라이브러리 버젼들이 좀 꼬였을 가망성도 좀 있을것 같은데요.

이걸 제가 여기서 또 언급을 해야 하는건지 아니면 vmware나 virtualbox와 같은 젠써버를 우분투에 설치하는 방법을 저한테 적어주신 링크의 내용을 보면 우분투버전넘버가 20.04는 아니던데요 그리고 설치하시려는 젠써버가 당연히 최신버전도 아니겠지만 젠써버을 설치할때 적어도 제가 설치해본 방식이랑은 많이 다른 방식으로 설치하신것 같기도 하긴 합니다. 저는 이걸 잘 모르긴 한데요 왜 OS 를 설치해놓은 상태에서 하이퍼바이져 그러니까 vmware나 virtualbox와 같은 타입투하이퍼바이져를 설치하지 않고 왜 다른 오에스를 덥어버리면 어떻게 될지 궁금하긴 하지만 그건 해보고 싶지는 않고 어차피 몇일 동안 컴퓨터를 꺼놓을것이니까 그위에 타입일하이퍼바이저를 설치하면 듀얼부팅 씨스템을 만들게 될지....  아주 눈꼽만큼 궁금하기도 하긴하지만 그렇게 세팅해서 쓰는 사람은 없지 않을까해서 다시 원글에서 성취하시려는 내용이 정확하게 말로 어떻게 되는지 좀 설명을 해주시면 맛있을것 같은 생각이 들기도합니다.
          
Xen으로 배우는 가상화 기술의 이해라는 책을 추천해 주셨는데요. 그게 많이 도움이 되나요?

그리고 혹시 그 책에서 하이퍼바이져에 대하여 설명을 좀 해주나 궁금하거든요. 저는 젠써버가 반가상화라는 내용을 진짜루 모르긴합니다.

여하튼 그니까 하이퍼바이져가 당뇨병을 타입원과 타입투로 나누듯이 나누면 젠써버는 왜 어떤 종류의 하이퍼바이져인데 그게 다른 타입의 하이퍼바이져와 무엇이 그리 다른지 가장 먼저 내용이 나오지 않을까 추측은 하긴하는데 저도 그 책을 전혀 몰라서 뭐라고 할 수 없기는 합니다.

그니까 KVM설치하는것과 비슷하게 젠을 설치하신거 같기도 하긴한데.... 정확하게 내용을 이유모르고 따라하다 보니까 저도 잘 모르겠네요.
시커먼스 2020-06
현재 우분투는 XEN 을 버리는 추세고 KVM 으로 방향을 잡은 것 같아요.
그런데도 KVM이나 VMware,  VirtualBox 를 사용하지 않은 것은 사용해 보았기 때문이고요.

XEN 은 Open source 이고 VMware등의 상용 Hypervisor 의 모태가 된 것이기 때문에
한번 취미 삼아 남는 PC 에 설치해서 XEN 의 특성이 뭔지 알고 싶어서 설치 해보았습니다.
그리고 제가 관심있는 부분은 Embedded system 에 들어가는 Hypervisor 인데 그 것을 study 하려고 합니다.

책은 저도 아직 읽지 못했습니다.  요약본 목차만 봤습니다.
도서관에 빌리러 갔다가 코로나로 인해  문을 닫았네요.

아래 간단한 Type-1,2 는 보시면 알수 있을 것 같습니다.
https://www.itopening.com/4396/
     
타입원하이퍼바이져를 타입투하이버바이져 처럼 이해하고 계시는건 아니겠죠?
          
시커먼스 2020-06
저도 XEN 이 type-1 하이퍼바이져이기떄문에  가정 먼져 설치되고 다음에 Dom0 guest 등 guest OS 를 설치하는 것으로 오해했는데
그게 아닌 모양입니다.
우분가 먼저 설치된 상황에서도 그 우분투를 Dom0 guest 로 변경시키고
그 밑에 XEN 이 위치하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https://readystory.tistory.com/108
               
무지막지하게 많은 xenserver를 설치하였지만 이렇게 설치한건 하나도 없습니다.
요즘엔 xcp-ng 를 주로 씁니다.


QnA
제목Page 2363/5725
2014-05   5245124   정은준1
2015-12   1770566   백메가
2013-12   4843   미우
2019-05   4843   이천풍
2014-01   4843   김한영
2006-06   4843   원낙연
2007-05   4843   박건웅
2016-09   4843   햇살한스푼
2017-01   4843   삐돌이슬픔이
2018-09   4843   박종대
2016-01   4843   대한민국
2015-10   4843   뮤노
2016-06   4843   하셀호프
2007-08   4843   이승준
2016-03   4843   PiPPuuP
2018-10   4843   Nikon
2016-10   4843   엔진엑스
2014-03   4843   이현석1
2015-01   4843   이니스ii
2016-11   4843   김건우
2017-10   4844   민지파파
2015-02   4844   왕용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