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시 오래된 주공아파트에 시스템 에어컨 하신 분 있으신가요?

이유종   
   조회 8861   추천 0    

 이번에 올 리모델링 하면서 시스템 에어컨 알아보고 있는데 

오래된 아파트는 천정 깊이가 얕아서 설치가 힘들다는 말이 있더군요.

동네 설치업체에서는 가능하다고는 하는데 아무래도

업자라 믿음이 가지 않아서 회원님들께 여쭤봅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수퍼싸이언 2020-06
오래된 아파트에 굳이 많은 돈을 들여서 시스템 에어컨을 할 필요가 없는 것 같습니다.
1년 전에 제주도 놀러가서 팬션에 묵었는데..
천장형 에어컨에 검은 곰팡이가 가득하더군요..
스탠드형은 청소가 비교적 용이하고 전문업자를 불러도 비용이 적을 것 같은데
천장형은 그런 면에서 많이 불리합니다.
     
수퍼싸이언 2020-06
이게 한 때는 유행처럼 설치 붐이 있었는데..
막상 설치하고 나니 설치비 유지비 등이 전혀 생각한 것과 달리 많아서..
요즘은 오히려 신축아파트라도 하지 않는다고 하더군요.. 신문기사에 나왔던 내용입니다.
황진우 2020-06
천정이 낮은 곳에서는 도출 형태로 메달기는 합니다.
gmltj 2020-06
천장에 매립하면 그거 청소도 어렵습니다.....
epowergate 2020-06
설치 업체에 물어보면 바닦에도 설치할 수 있다고 할 겁니다
못할건 없겠죠.  좋은 선택이냐가 문제죠
김동수P 2020-06
설치 가능한데 튀어나옵니다.
https://m.blog.naver.com/amkeeper/221482911042
대충 이런 느낌입니다. 보기싫으면 보기싫고 또 아니면 아니고...
이유종 2020-06
모두 감사드립니다.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좀 더 심사숙고해서 결정 하도록 해야겠네요.
     
김준유 2020-06
시스템 에어컨은 천장 속으로 180mm 가 나와야 합니다..
다만 주공아파트의 경우 천장이 없는 경우가 많아 높이에서 다소 더 손해를 봅니다.
일반 90년대 지어진 아파트는 천장위로 대략 5cm 정도의 공간이 있어서... 간접까지 12cm 정도 내려오면 크게 낮은 느낌은 안 드나
천장이 없으면 17~8cm 가 내려오면 간접 조명이 비대해 보입니다.. 그 점 감안해서 결정하시면 됩니다.

실제로 창문쪽으로 천장이 낮아지면 엄청 낮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 생각보다 낮게 안 느껴집니다..

아 그리고 발코니 쪽에 시스템 에어컨 설치하면... 슬라브에 꼭 열반사 단열재라도 붙이고 천장 치셔야 합니다... 차이가 매우 큽니다...
          
실내기는 어찌어찌 단다고 해도 드레인 양정에 문제가 많이 생기더라구요.
180mm는 저는 포기합니다. ㅠㅠ
               
김준유 2020-06
발코니 확장부라... 우수 드레인이 가까운 경우가 많아 생각보다 어렵진.않아요
DDDIE 2020-06
비추드립니다.

1. 시공 자체의 어려움...
  => 에어컨 1덩이만 가는 것이 아니라 배관이 전체적으로 천장을 타고 외부까지 이어져야 하기 떄문에, 이거 설치가 만만치 않습니다. 설치비도 어마어마하고, 하자가능성도 있고 불만 가능성(미관성)이 크기 때문에 업자가 안하려는 것입니다.

2. 추후에 곰팡이, 결로 문제 발생 가능성
  => 시스템에어컨의 경우에 냉매관이 천장을 타고 흐르는데, 이것이 단열이 잘 안되면 결로가 생기기 쉽습니다. 게다가 안보이게 해놓는다고 천장이 덮인 것을 다 뜯어야만 수리가 가능하고, 수리한다고 해서 하자 안난다는 보장도 없습니다.

3. 공사비 대비 효과 낮음
  => 시스템에어컨을 한다는 것은 1개의 실외기 큰것으로 모든 방, 거실, 안방 각각 실내기를 미관상 아름답게 설치한다는 개념입니다. 그런데, 실내기 각각 설치하는 비용이 만만치않고, 또 일반 가정에서, 그것도 기존 시스템에어컨 전용이 아닌 아파트에 설치하는 것은 가성비가 좋지 않습니다. 정말 냉각성능만 필요하다면 실외기 사이즈 큰 놈으로 하시면 문제없습니다. (열용량) 그리고 최신 에어컨이라고 해서 냉각성능에 특별하게 좋은 점이 있진 않습니다... 냉각 성능은 열용량이니 이걸 보시고, 요즘 나오는 제품이 전성비가 좋긴 하지만,,,

사실 이것이 온도가 떨어지면 실외기를 중단하는 방식으로 컨트롤 하는 경우가 많아서 거기서 거기라고 생각됩니다...


QnA
제목Page 1036/5728
2015-12   1781656   백메가
2014-05   5256703   정은준1
2015-02   3866   왕용필
2018-07   3891   Sakura24
2020-11   2946   전진
2011-03   9271   김정중
2018-07   3263   gpuLOVE
2022-05   2346   keros
2015-02   5714   만능야매
2022-05   3170   song05
2011-03   11989   엉데두
2015-02   35568   2CPU최주희
2018-07   3993   솔내음
2020-12   2883   FreeBSD
2022-06   5098   한르준
2018-07   3702   Nikon
2011-04   7813   스카이
2016-05   4571   SkyBase
2018-07   6199   회원K
2019-09   3432   포카
2016-05   5724   캡틴아메리카노
2024-02   2050   안형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