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6510 |
0 |
2014-05
5266510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91416 |
25 |
2015-12
1791416
1 백메가
|
93873 |
앤트워크라는 모니터인데 수리해주는 데가 있을까요? (6) |
만능야매 |
2015-02 |
5722 |
0 |
2015-02
5722
1 만능야매
|
93872 |
외장 NVME 케이스 어떤거 사용하시나요? (6) |
song05 |
2022-05 |
3205 |
0 |
2022-05
3205
1 song05
|
93871 |
[네트워크] 스위치 허브 - 스위치 허브 물렸더니 장비가 뻗어버리네요. (2) |
엉데두 |
2011-03 |
11995 |
0 |
2011-03
11995
1 엉데두
|
93870 |
1150 1156 1155 쿨러는 호환이 되는지요 (9) |
2CPU최주희 |
2015-02 |
35580 |
0 |
2015-02
35580
1 2CPU최주희
|
93869 |
z400 쿨링팬 소음관련 문의드립니다 (7) |
솔내음 |
2018-07 |
3998 |
0 |
2018-07
3998
1 솔내음
|
93868 |
용산에 롬칩 이식(?)해줄 만한곳 있을까요? (4) |
FreeBSD |
2020-12 |
2893 |
0 |
2020-12
2893
1 FreeBSD
|
93867 |
윈도우 진입 후 키보드 마우스 먹통 (9) |
한르준 |
2022-06 |
5145 |
0 |
2022-06
5145
1 한르준
|
93866 |
웬디 모터배선 (2) |
Nikon |
2018-07 |
3707 |
0 |
2018-07
3707
1 Nikon
|
93865 |
프라임 테스트에 관한 질문입니다. (1) |
스카이 |
2011-04 |
7825 |
0 |
2011-04
7825
1 스카이
|
93864 |
시놀러지 나스 DSM6.0 비디오스테이션 다운로드 관련 질문드립니다. |
SkyBase |
2016-05 |
4579 |
0 |
2016-05
4579
1 SkyBase
|
93863 |
서버용 라벨 프린터. 뭘 쓰시나요? (16) |
회원K |
2018-07 |
6204 |
0 |
2018-07
6204
1 회원K
|
93862 |
인텔 s2600cp보드에 e5-2687w장착 가능한가요? (4) |
포카 |
2019-09 |
3440 |
0 |
2019-09
3440
1 포카
|
93861 |
하이패스 카드 추천 부탁드립니다. (6) |
캡틴아메리카노 |
2016-05 |
5734 |
0 |
2016-05
5734
1 캡틴아메리카노
|
93860 |
이런 프로그램이 있을까요? (9) |
안형곤 |
2024-02 |
2066 |
0 |
2024-02
2066
1 안형곤
|
93859 |
제온 족보(?) 질문입니다. (4) |
오재호 |
2011-04 |
6536 |
0 |
2011-04
6536
1 오재호
|
93858 |
DELL T3600 윈도우7 ISO 이미지 가지고 계신분 있을가요. |
마일드남 |
2016-05 |
4733 |
0 |
2016-05
4733
1 마일드남
|
93857 |
핸폰 볼륨조정에서 미디어볼륨은 일괄조정이 안되네요.. (1) |
김건우 |
2017-04 |
4157 |
0 |
2017-04
4157
1 김건우
|
93856 |
XW8200과 SE7500WV2 연결건... (1) |
FullMoon |
2013-11 |
12326 |
0 |
2013-11
12326
1 FullMoon
|
93855 |
z10pe-d16 보드 풀뱅크 메모리 클럭 정상인가요? (4) |
모어쿨 |
2022-06 |
2431 |
0 |
2022-06
2431
1 모어쿨
|
93854 |
어제 졸린눈으로 백업하다가 사고 쳤습니다 (4) |
이정근 |
2011-04 |
6041 |
0 |
2011-04
6041
1 이정근
|
Windows Hyper-V를 사용한 방법입니다.
헤놀로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Hyper-V를 씁니다.
LSI나 Adaptec Card를 써서 RAID 5로 묶고 Windows를 설치하고 Hyper-V를 설치해서
헤놀로지, Linux, Windows VM 들을 만듭니다.
이렇게 1차 2차 3차 Hyper-V 시스템을 만들고 1차 시스템에 모든 자료 보관이 완료되면
2차 3차에 Hyper-V 폴더를 공유하고 VM들을 robocopy로 복제를 합니다.
이때 Hyper-V에 VM들을 중지한 상태로 둡니다.
메인 작업 컴퓨터 1,2,3차 시스템 모두 10G로 연결합니다.
현재는 10G single카드인데 듀얼이면 Windows NIC Team을 사용하면 20G까지 가능합니다.
ASR-71605에 12개를 RAID 5로 묶은뒤 VM 파일 복사 테스트를 하면 최대 1600MB/s가 나옵니다.
Infiniband 40G카드도 있는데 케이블이 짧고 스위치가 없어서 광으로 연결이 힘들어서 듀얼 10G카드로 생각중입니다.
메인 작업 컴퓨터와 1차 시스템의 Hyper-V에 설치된 헤놀 폴더를 공유해서 원하는 작업을 수행합니다.
백업을 위해 1,2,3차 시스템의 Hyper-V 폴더를 공유로 설정합니다.
powershell를 사용해서 메인 컴퓨터에서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연결하고 Hyper-V Vm들을 중지합니다.
1차 시스템에서 2차 시스템으로 Robocopy 복제를 통해 작업을 수행합니다.
1차 시스템의 Hyper-V 시스템을 실행시킵니다.
2차 시스템에서 3차 시스템으로 복제를 수행합니다.
네트워크 공유를 모두 해제합니다.
해보진 않았는데 되리라 생각하는 것으로 2차/3차 시스템을 절전모드 설정하고 WOL으로 만들면 자동으로 절전모드로
들어가고 백업 powershell을 이용해서 깨우고 특정 시간동안 대기후 켜진 것을 확인하고 백업 작업을 수행하면 되지 않을까 합니다.
그리고 히스토리 백업은 powershell로 Hyper-V checkpoint를 만들고 위의 작업을 수행하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러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Web기반의 GUI를 통해 처리할 수 있는 화면을 만들면 되지 않을까 합니다.
하지만 헤놀로지가 Hyper-V에서는 5.x까지만 지원해서 현실은 ESXI, Hyper-V를 혼용해서 쓰고 헤놀의 공유 폴더끼리 robocopy나 fastcopy를 통해
백업을 진행중입니다.
Windows Server를 사용중인데 WSL2가 Insider Preview가 아닌 정식버전에 지원되면 전체를 Hyper-V 시스템으로 이전하고
1차와 메인 작업 컴퓨터를 통합하고 2차 3차 백업 컴만 두려고 합니다.
이상 다른 방법으로 백업관리 계획이었습니다.
좋은 하루되세요.
스냅샷은 간간이 직원들이 데이터 덥어씌웠을때 유용하게 사용중이고 아크로니스는 그냥 혹시 모를 문제에 대한 2차백업용으로...증분 차등 전체 백업을 스케줄에 맞춰서 사용가능합니다. 1년사용하고 유지보수 연장안하고 그냥 그버전으로 쭉 사용중
메인에서는 휴지통 기능으로 삭제 실수를 커버하고
스냅샷 기능으로 랜섬을 커버하고.. 사용자가 복구시간을 기다려주지 못하면 이때부터 메인-1차 교체겠네요.
단순히 하드 두개 미러링 레이드로 하드뻑을 커버하고
1차 백업머신으로 메인머신다운을 커버합니다. 이때를 위해 가끔 헤놀 설정 백업을 해둡니다.
여유가 있으면 똑같이 2차, 3차 머신을 두고 싶구요. 둬야합니다.
이걸 회사에서 쓰기때문에 2차, 3차는 회사가 아닌 별도 장소에 둬야합니다.
우리집 너네집 클라우드 백두산 꼭데기 어디든 회사가 아닌 장소.
시놀로지가 우수하다고 하는데 솔직히 저는 하이퍼 백업 돌아가는걸 보고 네트워크 공유폴더 이상으로는 그닥 신뢰가 안 가게 되었습니다.
하이퍼 백업이 그들이 이야기한대로 돌아가주기만 해도 좋을 것 같은데 말이죠/.
즉시백업 (DISK/DIR 선택가능)
실시간 변경분 백업
변견분만 모아서 정해진 시간에 백업
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백업 장소는 AWS S3 입니다.
AWS S3를 선택한 이유는 VERSIONING 백업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혹시 도움이 될까해서 미리 알려드립니다.
- 사용자 자료는 BSD & ZFS 기반 samba 폴더에 저장, Windows 사용자의 경우 SyncBack 사용
- 새벽마다 ZFS snapshot incremental dump, 주말마다 full dump
- Dump 완료 후 snapshot을 외부(라고 해봐야 자택) 서버에 전송
Cron이 14일, 4주, 6개월 단위로 남기고 오래된 dump는 삭제합니다.
기본 disk 역시 zfs mirror라 복원테스트는 간단히 해봤습니다.
Free version 있으니 한번 둘러보시는건 어떨까요?
위 길게 써둔 대부분은 사실 SyncBack이 백업한 데이터를 한번 더 보호하는 과정이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