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도성 서멀 도포 문의

그모도   
   조회 3781   추천 0    

안녕하세요.


개인적으로 요새 써멀 호작질에 재미들려서 다음 써멀을 사보려고 보고 있습니다.


아니면 몇개 조합하는 수준으로 만들어 볼까도 생각중인데... (무뽑 이슈때문에 점성을 약화시켜서...)


전도성 써멀은 모바일이나 GPU같이 작은 부품에는 어찌 발라야 하는지요?


유튜브나 관련 문서 보니 그냥 X자로 바르던데 넘치면 옆에 캐피시터랑 닿으면 문제가 생기지 않을까요?


써멀 포장하다가 갑자기 생각나서 질문드려봅니다. 경험 있으시거나 아시는 분들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아, 추가로 전도성 써멀을 추천하시는지도 궁금합니다. 여기선 많이 못본것 같아서 질문 올립니다...

감사합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MinGi 2020-06
리퀴드같은건 한방울정도 짠다음에 얇게 전체적으로 펴 바르는식으로 작업하더라고요. 3~4도정도 떨어지긴하는데 위험부담이 있어서...
     
그모도 2020-06
저도 위험때문에 고민중입니다.

열 전도율이 이론적으로 5배 이상 상승하는데 이게 모바일애서 쿨링 솔루션과 효과를 잘 낼수 있을지도 의문입니다.

조만간 nuc사서 테스트를...해야 겠네요.
          
제온프로 2020-06
일반 써멀그리스에 비하면.
2~3도 더 하락하는 것 같습니다..
               
그모도 2020-06
그리 큰 차이는 아니네요.

아틱도 보고 있는데... 얻는 이득이 적은데 리스크는 엄청 커서....
wguardian 2020-06
노트북 9700K 뚜껑따고 리퀴드 펴바르고 노출된 접점부분엔 실리콘 발라서 덮어서
사용중이긴 한데....리퀴드 같은 전도성 써멀의 경우 성능은 확실하나
위험부담이 커서 권하는 지는 않는 게 일반적입니다.
권하더라도 문제생기면 당사자 책임입니다..이런 식이 대부분이구요..
     
그모도 2020-06
아 사용중이시군요. 기존보다 온도면에서 차이가 많이 나나요?
          
wguardian 2020-06
기존엔 링스 굴리면 106도찍고 ...통과도 안됐는데
일단 100도찍고 링스 통과는 됩니다..
실사용 온도도 대략 10도차 정도 내려오니 쓰로틀링은 안걸리고요..
사용하는 실내 온도는 대략 26~28도 사이이고
게임한다고 오지게 돌리면 93~95도까지도 찍힙니다...
노트북이라 어쩔 수 없는 부분이 있습니다..
               
그모도 2020-06
10도면 괜찮네요.

근데 서멀 바르는 기술이 없어서 NUC이나 다른 모바일 기기로 연마를 하고 발라봐야 겠습니다....ㅠㅠ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wguardian 2020-06
온도가 어찌되었건 절대 비추입니다..
                         
그모도 2020-06
알루미늄 관련해서 기술적으로 좋지 않은듯 하더라고요.

잘 모르겠네요...
제온프로 2020-06
위험해 보입니다.
중요한 시스템에는 사용하지 않는게 좋겠습니다..
     
그모도 2020-06
서버에는 일반적으로 안쓰지요?

전문 오버클러커가 아니면 잘 안쓰는듯 하네요.
김수현2 2020-06
전도성 서멀은 갈륨의 합금으로 되어 있습니다
갈륨이 알루미늄을 만나면 알루미늄에 침투해 알루미늄의 구조강도를 약화(사실상 파괴) 시켜서 웬만한 경우에는 다 사용하지 않습니다.(쿨러가 대부분 알미늄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바르는 방법은 한방울 작게(리퀴드 프로 유투브 참조하세요)떨어트린 다음 면봉으로 펴바릅니다. 많이 바르면 쿨러 결착시 옆으로 새서 쇼트 발생하고요
아무튼 이렇게 까다로워서야 일반적으로 쓰긴 좀 힘들고 대부분은 뚜따할때만 사용을 하죠
     
그모도 2020-06
헉... 위험하군요.

일반 데스크탑에 제한적으로 사용해야겠습니다...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임현제 2020-06
그냥 비전도성 써멀 컴파운드 쓰세요, 쿨러 베이스의 히트 스프레더 부도 따로 코팅되어있는게 아니면 장기적으론 부식됩니다.
     
그모도 2020-06
부식되는군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노말 유저라 일반 써멀 써야겠습니다. ㅎㅎ
김승현1 2020-06
뚜따 후
히트스프레더와 코어간에 접점 부분에는 바르지만
일반적으로 쿨러와 히트스프레더에는 바를 이유가 없어요

전도성 써멀로 추가적인 온도하락을 기대하느니 더 상급의 쿨링 방법을 찾는게 이로울겁니다
     
그모도 2020-06
모바일 솔루션이라 쿨링 개선 방법이 제한적이라 고민중입니다. 또 바르면 한 5년 못건들듯 하여...
이규섭 2020-06
모바일 GPU나 CPU에 바르기 전에는
코어 옆에 돌출되어 있는 저항 및 캐패시터에 전부 실리콘질을 하신 후에 바르시기 바랍니다.
혹시나 조금이라도 넘쳐서 거기 닿는순간 말안해도 아실겁니다.
     
그모도 2020-06
그게 제일 고민입니다... ㅠㅠ

모바일만 서멀 교체 예정이라 고민이 많이 됩니다.

호환 사제 쿨러가 있으면 그냥 싼 서멀에 녹투아 같은 호환 쿨러 달아주는데... 자체규격이라 참 힘드네요...ㅠㅠ
힘내자 2020-06
적당량을 짜는게 감이 안 오면 70%만 바른다 생각 하시고 짜서 바른 다음 모자라면 추가로 더 바르시는 걸로 하는게 낫습니다.
남아서 넘치면 문제가 되지만 모자라서 추가 하는건 그리 문제가 되지 않거든요.
     
그모도 2020-06
그렇군요.

적정량이 항상 어렵습니다...


QnA
제목Page 1034/5731
2015-12   1793563   백메가
2014-05   5268536   정은준1
2022-01   2733   나나나나나
2020-08   4516   공학123
2022-01   3017   나비z
2013-06   5236   comduck
2018-04   5204   수필처럼
2022-02   4050   새로운차원
2017-02   7636   sensekuh
2013-07   8264   문양호
2017-02   48112   goodsense
2018-04   3652   공돌이에요
2022-02   3021   꾸띠웍
2023-09   14856   나는나야나
2018-04   3829   미수맨
2013-07   9497   주황별
2018-04   4466   jore
2017-02   4052   퍼싱글
2023-10   4591   uuuu
2010-08   9790   나나나나나
2014-12   4342   얼룩이
2010-08   10942   뚜뚜김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