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슬릿 실험에서 근래에 이미 미시세계에선 확실히 거대한 유기물로도 성공했다고합니다.
즉 관찰대상과 다른 입자간 상호작용에 의해 파동이 물질로 또는 그반대로 변함을 확실하게 증명이 되었는데요.
예전엔 관측 행위라는게 눈으로 본다는 정도로 생각했고 그것은 개인적인 것이 아니라 물리학자들도 그렇게 주장했던것 같습니다.
즉 어떤 물체는 다른 입자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이것을 경희대 물리학 김상욱 교수는 우주의 눈이라는 표현을 쓰더군요.] 모든 가능성의 파동으로부터 한가지 가능성인 입자의 형태로 나타난다고 하는것이 최근의 양자역학의 입장인것 같은데요.
그렇다면 모든 입자는 현실에서는 파동의 형태로 되긴 극히 어려운일이 아닐까요?
왜냐하면 우주라는 공간도 완전한 진공이 아니고 극히 소량이지만 기체 형태의 원자, 분자가 존재하고 달과 지구는 서로 상호작용하고 태양과 다른 행성, 별과 별 등등 모두 서로 상호작용을 하는데 입자가 파동성을 띠는 일은 현실에서는 전혀 일어날 수 있는 상황이 아닌것 같은데요.
그렇다면 양자역학에서 논하는 입자의 파동, 입자 동시성 같은건 거의 무의미 하지않을까 하는 생각도 드는데요. 왜냐면 현실에선 상호작용을 안하는 상황이 거의 안일어날 것 같은데요. 어떻게 되나요?
그리고 이중슬릿 실험을 할 때 진공상태의 공간에서 하는데 그 공간을 이루는 박스도 원자, 분자로 되어있는데 이 입자와 관측 대상이 되는 입자 간에는 상호작용을 하지않나요.
워낙 엉뚱하고 초보적인 질문이라 이정도면 물리학 학부생들이 보는 관련 서적 정도는 보고 스스로 공부를 먼저 해보는게 좋겠지만 한번 그런책보곤 바로 덮었습니다.[첨부터 끝까지 모두 수식..]
제 전공은 전혀 다른 것이고 그래도 이런쪽에 관심이 많아서 최대한 수식이 안나오는 교양을 쌓는 의미로 접근하고 있는 수준이니 이해 바랍니다.
개인적으로 비전공자도 물리학을 이해할 수 있게 최대한 쉽게 설명해주시는 김상욱 교수님의 영상을 즐겨봅니다.
½´·¹µù°ÅÀÇ °í¾çÀÌ.....
Àú ¸ÁÇÒ ³»¿ëÀ» ´Ù½Ã º¸´Â ³¯ÀÌ ¿ÃÁÙÀ̾ß.....
ÁÖ¸£¸¤....
ÀÌÁß½½¸´ ÀÌÀü¿¡ ½´·¹µù°ÅÀÇ °í¾çÀ̺ÎÅÍ ÀÌÇظ¦ Çؾß...
±×·±µ¥....
±×·¡ºÃÀÚ ºû¿¡¼ ¶Ç ¸·Èû¿ä.....
ºÒÈ®½Ç¼º ¸Â³×,,,, ¤»¤»¤».....
°í¾çÀÌ°¡ Á×À» ¼ö,... ¾î??? !!! Å»ÃâÇß...???
°Å´ëÇÑ Áú·®À» °¡Áø ¹°Ã¼µéµµ Æĵ¿ÀÇ ¼ºÁúÀ» °®°í ÀÖÁö¸¸ ±× ÆÄÀå ÀÚü°¡ ³Ê¹« À۱⠶§¹®¿¡ Æĵ¿ÀÇ ¼ºÁú¿¡ ´ëÇÑ ¿µÇâÀ» ÆľÇÇϱⰡ ¾î·Æ´Ù°í »ý°¢ÇÕ´Ï´Ù.
Àηù°¡ ¿ì¸® ÁÖº¯¿¡ ÀϾ´Â ¿©·¯°¡Áö Çö»óµéÀ» °Å½ÃÀûÀÎ ¼¼°Â¿¡¼ ÀÌÇØÇÏ·Á°í ¿©·¯°¡Áö °Å½ÃÀûÀÎ ¹°¸®¡¤ÈÇÐÀûÀÎ Áö½ÄÀ» È°¿ëÇÏ¿© ¼³¸íÇÏ·Á°í Çß´ø °Íó·³,
ÃæºÐÇÑ ½Ã°£ÀÌ Áö³ª¸é °Å½Ã ¼¼°Â¿¡¼ ÀÔÀÚÀÇ Æĵ¿¼ºÀ» °¡Áö°í ¼³¸íÇÒ ³¯ÀÌ ¿Ã °ÍÀ̶ó°í »ý°¢ÇÕ´Ï´Ù.
ÀÇÇÐÀÌ ´Ü¼øÇÑ ÇÇ»óÀûÀÌ°í ¹Ì½ÅÀûÀÎ ºÎºÐ¿¡¼ ¹ßÀüÇØ¿À¸é¼, ÇöÀç ºÐÀÚ»ý¹°ÇÐÀûÀÎ ºÎºÐ±îÁö ¹ßÀüÇÑ °Íó·³ ÃæºÐÇÑ Áö½ÄÀÌ ½×À̸é ÇöÀç °Å½ÃÀûÀÎ ºÎºÐ¿¡¼³ª Çؼ®ÀÌ µÇ´ø ¿©·¯°¡Áö Çö»óµéÀÌ ¹Ì½ÃÀûÀÎ ºÎºÐ¿¡¼ºÎÅ͵µ ºÐ¼®µÉ °ÍÀ̶ó°í »ý°¢ÇÕ´Ï´Ù.
Àú´Â °ø¾÷ÈÇÐ(½Å¼ÒÀç°øÇÐ) ÇкΠÁ¹¾÷ÇÏ°í, 10¿© ³â °£ °íµî¡¤´ëÇлý °¡¸£Ä¡´Â »ýÈ°À» ÇؿԴµ¥, ±× ªÀº ½Ã°£(ªÀ¸¸é ª°í ±æ¸é ±ä ½Ã°£À̱â´Â ÇÏÁö¸¸ ÀÌ »ýÈ° Ãʹݿ¡´Â ÀϹÝÀûÀ¸·Î ƯÁ¤ »óȲ¿¡ ¸ÂÃß¾î »ý°¢ÇÏ´ø °æ¿ìµµ ¿äÁò¿¡´Â ´Ù¾çÇÑ ½Ã°¢À¸·Î Çؼ®ÇÏ·Á´Â ³ë·ÂÀÌ ½É½ÉÄ¡ ¾Ê°Ô º¸ÀÌ´õ¶ó±¸¿ä.) µ¿¾È ´Ù¾çÇÑ Á¢±Ù ¹æ¹ýÀ¸·Î µ¿ÀÏ Çö»óÀ» ºÐ¼®ÇÏ°í °á·ÐÀ» ³»¸®·Á´Â ½Ãµµ°¡ ÀÚÁÖ º¸ÀÔ´Ï´Ù.
¿øÀÚÇÙ ÁÖº¯ÀÇ ÀüÀÚ°¡ ´Ü¼øÈ÷ ¿øÀÚÇÙ ÁÖº¯¿¡ ¸Éµ¹´ø ÀÔÀÚ¿¡¼ºÎÅÍ ¿ÀºñÅ» °³³ä±îÁö ¹ßÀü °úÁ¤À» ºÁ¿À¸é ´Ü¼øÈ÷ ¾çÀÚ¿ªÇÐÀûÀÎ ´ë»óÀÎ 1pm~1nm ´ë»ó »Ó¸¸ÀÌ ¾Æ´Ï¶ó 1Tm~1Pm ´ë»ó±îÁö Àû¿ëµÉ °ÍÀ̶ó°í »ý°¢ÇÕ´Ï´Ù.
°íÀü¿ªÇÐÀÇ °üÁ¡¿¡¼ ¾çÀÚÀÇ ¼¼°è¸¦ ¹Ù¶óº¸¸é ´ç¿¬È÷ ³³µæÇÒ ¼ö°¡ ¾øÁö¿ä
¹Ý¸é¿¡ ¾çÀÚÀÇ ¼¼°è¿¡¼ °íÀü¿ªÇÐÀ» ¹Ù¶óº¸¸é º¹ÀâÇÑ ¼ö½ÄÀÇ Àü°³¸¦ ³Ñ¾î¼±ä ÇؾßÇÏÁö¸¸ ÀÌÇØ´Â ÇÒ ¼ö ÀÖ½À´Ï´Ù. (ÀÀ?)
ÀûÀýÇÏÁö ¾ÊÀº ºñÀ¯À̱ä ÇÏÁö¸¸ ½Ç¼ö(Real Number)ÀÇ ¼¼»ó¿¡¼´Â Çã¼ö(Imaginary Number)´Â Á¸ÀçÀÚü°¡ ºÎÁ¤µË´Ï´Ù¸¸ º¹¼Ò¼öÀÇ ¼Î»ó¿¡¼´Â Çã¼ö´Â ´ç¿¬ÇÑ Á¸ÀçÀÔ´Ï´Ù.
ÀÌ·¸°Ô óÀ½ºÎÅÍ ¾çÀÚ¿ªÇÐÀÇ °üÁ¡¿¡¼ ¼¼»óÀ» ¹Ù¶óº»´Ù¸é °íÀü¿ªÇеµ Å«(?) ¹®Á¦¾øÀÌ ÀÌÇØÇÒ ¼ö ÀÖ½À´Ï´Ù.
±×¸®°í ÀÔÀÚ°¡ Æĵ¿¼ºÀ» ¶ç´Â ÀÏÀÌ Çö½Ç¿¡¼´Â ¾ø´Â°ÍÀÌ ¾Æ´Ï¶ó Ç×/»ó/ ÀÖ½À´Ï´Ù.
´Ù¸¸ ¿©·¯ ÀÔÀÚ°¡ ¸ð¿© Á߽ðè(mesoscopic)¸¦ ³Ñ¾î °Å½Ã°è(macroscopic)·Î ³Ñ¾î°¡¸é¼ È®·üÀûÀ¸·Î ¿ì¸®°¡ Æĵ¿ÀÇ ¼ºÁúÀÇ À̶ó°í »ý°¢µÇ´Â Çö»óÀÌ ÀϾ(°üÃøµÉ) È®·üÀÌ Á¦·Î¿¡ °¡±õ°Ô ¼ö·ÅÇÒ »ÓÀÔ´Ï´Ù.
Ãß°¡·Î ÀÌÁß½½¸´ÀÇ °£¼·¹®Á¦ º¸´Ù Aharanov-Bohm Effect¸¦ °øºÎÇØ º¸½Ã¸é ´õ Àç¹ÌÀÖ½À´Ï´Ù! (ÆÜ~!)
¹«Á¶°ÇÀÔ´Ï´Ù.
ÀÚ¿¬ÀÌ ±×·¸°Ô µÅ ÀÖ½À´Ï´Ù.
»ç¶÷ÀÌ °É¾î°¡°í À־ ÆÄÀåÀº ³ª¿É´Ï´Ù.
ÇöûÅ© »ó¼ö¸¦ Àڱ⠸ö¹«°Ô¿Í °É¾î°¡´Â ¼Óµµ¸¦ °öÇÑ °ªÀ¸·Î ³ª´« °Ô ÇöÀç ±× »ç¶÷ÀÇ ÆÄÀåÀÔ´Ï´Ù.
»ç¶÷, Áï µ¢¾î¸®¿©¼ ÆÄÀåÀÌ ¹«ÀǹÌÇÏÁö¸¸ Å©±â°¡ ¾Æ¿øÀÚ ¼¼°è ÀÌÇÏ·Î Á¡Á¡ ³»·Á°¡¸é »óȲÀº ´Þ¶ó Áý´Ï´Ù.
ÀÔÀÚ ¼Ó¼º°ú Æĵ¿ÀÇ ¼Ó¼ºÀÌ ´õ¿í ¸ðÈ£ÇØÁö¸é¼ ¿Ô´Ù°¬´Ù, È¥Àç, ¹¹ ±×·±°Ì´Ï´Ù.
(ºÐ¸ðÀÎ µ¢¾î¸®ÀÇ Å©±â¿Í ¼Óµµ°¡ ¹«ÇÑÈ÷ ÀÛ¾ÆÁö±â ¶§¹®)
À̸¦ Çѹø ±ú¶ß·Á º» °Ô ÀÌÁß½½¸´ ½ÇÇèÀÔ´Ï´Ù.
°üÃøÇÏ´Â °è¼ö±â°¡ ÀÔÀÚÀÇ Æĵ¿¼ºÀ» ºØ±«½ÃÄѼ ±×·± °á°ú¸¦ ³½ °ÍÀÔ´Ï´Ù.
(±×·¸´Ù°í Æĵ¿¼ºÀÌ ¿ÏÀüÈ÷ ¼Ò°ÅµÇ´Â °ÍÀº ¾Æ´Ô, ¾çÀÚÀ̴ϱî)
°üÃøÇÏÁö ¾Ê¾ÒÀ» ¶§ °á°ú´Â È®·ü¹ÐµµÇÔ¼öÀÇ Á¤±ÔºÐÆ÷¿Í ´à¾Ò½À´Ï´Ù.
Æĵ¿ÇÔ¼ö¸¦ Á¦°öÇϸé È®·ü¹ÐµµÇÔ¼ö°¡ µË´Ï´Ù.
Á¤±ÔºÐÆ÷ < È®·ü¹ÐµµÇÔ¼ö < Æĵ¿ÇÔ¼ö < Æĵ¿ °ü°è¿¡¼ ÀÔÀÚ°¡ ¾î´À ½½¸´À» Åë°úÇß´ÂÁö´Â È®·üÀÎ °ÍÀ» ¾Ë ¼ö ÀÖ½À´Ï´Ù.
Âü°í·Î ÀÌ È®·ü¹ÐµµÇÔ¼ö°¡ Æĵ¿¹æÁ¤½ÄÀÔ´Ï´Ù.
¾ÆÁ÷Àº ¾çÀÚ¸¦ Æĵ¿À¸·Î Á¢±ÙÇϱ⿡ ÇʼöÀÎ ½ÄÀÔ´Ï´Ù.
Çѹø ÀÌÇØ´Â ÇÊ¿äÇÕ´Ï´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