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P 외부접속이 안됩니다. 도와 주세요..

   조회 6342   추천 0    

안녕하세요...


어쩌다 보니 3개의 나스를 소유하게 되었습니다. 좀 오래되었지만 그런대로 쓸만하네요.

외부에서  FTP 접속이 가능하게 공유기에서 포트포워딩을 설정하는데 아무리해도 1개만 접속이 되네요.

      외부포트       ip                    내부포트    프로토콜

A:     21           192.168.0.70             21            TCP

B:     31           192.168.0.80             31            TCP

C:     41           192.168.0.90             41            TCP

되도록 공유기와 나스 설정에서 FTP 포트 번호를 조정했습니다.

내부접속으로 < ip : 포트번호> 했을 때는 다 접속이 됩니다. 

그런데 외부에서   했을때 A 만 접속이 되고 나머지는 접속이 안되네요.

혹시 제가 잘못하거나 설정을 더 해 줘야 하는게 있을까요? ㅠㅠ

J.Y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chis 2020-06
isp에서 포트를 블럭할수도 있습니다..
근데 막는 포트들이 21,80같은 대표적인 포트들인데
21번은 되고 31번 41번이 안되는거면 조금 의아하긴합니다..
술이 2020-06
패시브포트도 설정해줘야 가능합니다.
그런데 NAT에서 패시브는 좀 까다로워서 비정규FTP포트 지원하는기능을 먼저 찾아보세요.
FTP는 데이터포트와 커맨드포트를 사용합니다. 보통 21번이 커맨드고, 20이 데이터죠.
그리고 포트 개방을 누가 하느냐에 따라서 엑티브 모드, 패시브 모드가 있는데 그것도 NAS에서 확인해보세요.
상석하대 2020-06
FTP 데이터용 포트에 대한 설정이 있어야 합니다.
FTP는 포트를 2개 사용합니다.
위는 세션, 제어용 포트만 설정했습니다.
공유기에 미리 설정에 포트포워딩으로 FTP를 열었으면 21번과 데이터 포트에 관한 것을 포함하지만 다른 포트를 사용하면 데이터 포트들도 일일히 포워딩해야 합니다.
B, C 나스는 패시브포트 범위를 지정하고 31, 41번 포트와 더불어 각각에 포트포워딩합니다.
     
독토르덴 2020-06
내부 포트를 전부 21 로 했을 때는 내부에서 <ip: 21> 로 접속했을 때는 다 접속이 됩니다. 그러나 외부에서 <ftp://ddns: 외부포트> 접속하면 여전히 접속이 안되네요.

안그래도 패시브 포트 범위를 지정해 주는게 있던데, 그냥 기존 포트 범위 사용으로 해두고 있었습니다.
시놀로지에서는 55536-56047 , 큐냅에서는 55536-56559 로 되어있던데 이것들이 겹치지 않게 조정하면 될까요?
A: 55550-55850
B: 55851-56150
C: 56151-56450 
                        정도로 바꿔 주면 괜찮을까요?
          
상석하대 2020-06
NAT, 즉 공유기 환경이므로 포트들이 겹치지 않도록 합니다.
제어용인 31, 41 포트도 나스에 설정돼 있어야 하며 역시 포워딩입니다.
김현린 2020-06
21번과 패시브  포트를 열어 주셔야 합니다.
각각 패시브 포트를 지정 하셔서 하면 될거 같은데..
굳이 ftp 서버를 3대나 돌릴 필요가 있을까요?
1번 nas에 2번, 3번 을 마운트하여 하나에서 하는건 어떨지  생각해봅니다.
     
독토르덴 2020-06
안그래도 1개 정도는 처분하려고 합니다 ㅠㅠ
13zeroize 2020-06
내부 포트를 21로 바꿔야 하는것 아닌가요?
엠브리오 2020-06
내부 포트를 31, 41로 바꿀이유가 ??
독토르덴 2020-06
오~~ 됩니다.  조언해 주신분들 다들 감사합니다. 

 < 공유기 설정 >

    외부포트      ip                    내부포트    프로토콜

A:    21          192.168.0.70            21            TCP
B:    31          192.168.0.80            21            TCP
C:    41          192.168.0.90            21            TCP

< 나스 설정 >

포트 변경없이 (21로 두고) 패시브 포트 범위를
A: 55550-55850
B: 55851-56150
C: 56151-56450
요렇게 바꾸었습니다.

다들 좋은 하루 되십시요 ^^
화정큐삼 2020-06
저도 외부에서 2대 NAS에 DDNS 로 접속을 하게 되면 앞에 접속한 NAS 로그인이 튕겨나갑니다.
아마 저도 외부 내부 포트를 동일하게 설정한것이 이유가 아닌가 싶어서 집에 돌아가 보면 응용해 봐야 겠습니다.^^

 < 공유기 포트포워딩 설정 >

    외부포트      ip                    내부포트    프로토콜
A:    5000      192.168.35.2            5000        TCP/UTP
B:    8000      192.168.35.3            8000        TCP/UTP -> 내부포트도 5000 으로 변경할 에정

이렇게 응용하면 맞겠죠? ^^
     
독토르덴 2020-06
같은 회사 나스면 그럴수도 있겠네요.

저 같은 경우 외부에서 나스로 http 접속시 화정큐삼님처럼 내부 외부 같은 접속포트로 설정되었는데도  접속이 잘 되더군요. 단지 ftp 만 접속이 안되어서 질문 드렸던 겁니다.
구래도 모르니 한번 바꿔보세요. 잘되시기를 ..^^


QnA
제목Page 1030/5729
2015-12   1789734   백메가
2014-05   5264720   정은준1
2020-06   2833   Jasper
2023-05   2697   victor1
2009-12   13513   박종용
2015-12   4065   머라카는데
2021-10   3074   Lucyed
2020-06   3309   Platinum
2021-10   2110   겨울나무
2023-06   3653   권용1
2014-09   4601   나파이강승훈
2016-01   3546   강한구
2023-06   3135   엠브리오
2010-01   27410   푸릉이
2013-02   6840   조일권
2021-11   3557   흥마
2020-06   3548   링고스타
2013-02   10975   박종익
2016-01   5650   김건우
2016-12   5652   킵고잉
2013-03   5376   김장우
2016-12   5957   김건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