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654028 |
25 |
2015-12
1654028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4) |
정은준1 |
2014-05 |
5118595 |
0 |
2014-05
5118595
1 정은준1
|
75063 |
Intel X520-DA2 어떤가요? (2) |
한효석 |
2015-09 |
4258 |
0 |
2015-09
4258
1 한효석
|
75062 |
저번에 공구한 멀티텝 말인대요. (7) |
방o효o문 |
2014-10 |
4258 |
0 |
2014-10
4258
1 방o효o문
|
75061 |
일반보드에서 서버용램 사용하면 않되는건가요? (3) |
inquisitive |
2020-10 |
4258 |
0 |
2020-10
4258
1 inquisitive
|
75060 |
멜라녹스 10기가비트 펌웨어 업글? (5) |
izegtob |
2016-03 |
4258 |
0 |
2016-03
4258
1 izegtob
|
75059 |
모니터 어댑터(외장) 질문드립니다. (6) |
캡틴아메리카노 |
2015-03 |
4258 |
0 |
2015-03
4258
1 캡틴아메리카노
|
75058 |
컨트롤러 추천 좀 부탁드려요^^ (4) |
피아로 |
2015-12 |
4258 |
0 |
2015-12
4258
1 피아로
|
75057 |
40명 정도 되는 연구소에서 쓸만한 NAS가 뭘까요? (9) |
전직P연구원 |
2014-11 |
4258 |
0 |
2014-11
4258
1 전직P연구원
|
75056 |
서울 본가에 LAN 아웃렛 월플레이트들이 모두 노후화 되어 교체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14) |
악마라네 |
2019-03 |
4259 |
0 |
2019-03
4259
1 악마라네
|
75055 |
윈도우 8은 어떻게 해야 완벽하게 관리자 로그인하나요? (1) |
윈도우10 |
2014-03 |
4259 |
0 |
2014-03
4259
1 윈도우10
|
75054 |
해놀로지 10g 쓰시는분있나요? (5) |
행복하세 |
2017-03 |
4259 |
0 |
2017-03
4259
1 행복하세
|
75053 |
이 델타 120w 어댑터 짝퉁인가요??? (4) |
호박고구마 |
2018-07 |
4259 |
0 |
2018-07
4259
1 호박고구마
|
75052 |
제온 개조 스티커 여분 있으신분 계신가요?? (6) |
효쁘 |
2015-12 |
4259 |
0 |
2015-12
4259
1 효쁘
|
75051 |
서버에 관련해서 초보의 질문입니다.(리얼서버,가상화서버) (1) |
크롱크롱 |
2014-08 |
4259 |
0 |
2014-08
4259
1 크롱크롱
|
75050 |
SSD raid 정말 어렵네요 (2) |
박 |
2014-09 |
4259 |
0 |
2014-09
4259
1 박
|
75049 |
저렴한 롬라이터 ch341a 검색하니 2가지가 나오는데 뭐가 좋은가요? (2) |
아날로그 |
2016-06 |
4259 |
0 |
2016-06
4259
1 아날로그
|
75048 |
슈퍼마이크로 보드 Rma 보내보신분 경험담을 듣고 싶습니다. ㅠㅠ (4) |
신동레트로 |
2016-02 |
4259 |
0 |
2016-02
4259
1 신동레트로
|
75047 |
혹시 개조 바이오스 구할수 있는 곳이 있을까요..? (6) |
제이게츠비 |
2015-08 |
4259 |
0 |
2015-08
4259
1 제이게츠비
|
75046 |
다시 네트워크 질문 (10) |
이성준 |
2007-03 |
4259 |
4 |
2007-03
4259
1 이성준
|
75045 |
ASRock X99 Extreme11 보드에 LSI SAS 3008 Controller 가 내장되어 있는데 IT 펌웨… |
클로이베넷 |
2016-07 |
4259 |
0 |
2016-07
4259
1 클로이베넷
|
75044 |
용산 서버수리 업체 문의 |
종이뎁 |
2016-10 |
4259 |
0 |
2016-10
4259
1 종이뎁
|
네트워크를 잘 몰라서 서브넷 /16도 구글링하러 출발합니다..ㅋㅋㅋ
내부망 아이피 할당 부분에 서브넷마스크 255.255.255.0을 255.255.0.0으로 바꿔보세요.
아이피는 192.168.1.xxx로 할당되겠지만 접속은 가능할겁니다.
하지만 192.168.0.30에서 192.168.1.x 기기를 인식하지 못하는것을 보면 ip대역의 차이이거나 해당 s/w의 한계로 느껴집니다.
서브넷을 24에서 16으로 줄이면 아이피 대역은 넓어집니다.
서브넷을 바꿔도 기기가 지원하지 않는다면 안타깝네요. 다른 방식을 찾거나 제품을 바꾸셔야 할 듯 합니다.
vpn client에서 192.168.0.x 의 IP를 할당받은게 있을겁니다.
vpn server쪽에서(만) 192.168.1.0/24 via 위IP 로 설정하심 됩니다.
안된다면 하위로 잡힌 탓에 NAT이 작동해서 안되는 걸테니..
(이런 경우 client쪽 트레픽이 다 server로 가서 매우 비효율적입니다)
site to site는 필수입니다.
Client쪽 설정은 심플하고 server에서 고급설정을 지원하네요!
특수한 경우가 아닌 이상 VPN은 L3 를 사용합니다.
동일 IP대역을 받아오려면 L2 까지 전송이 되는데 불필요한 브로드케스트까지 전달되어서 불필요한 트레픽이 발생합니다.
A공유기에서 포트 포워딩시에 소스 ip를 지정하라는데 여기서는 B공유기의 iot기기일까요?
예를들어 vpn server의 vpn peer ip가 10.0.0.1 이고 client의 peer ip가 10.0.0.2라면
vpn server측의 라우팅 설정에서
dest 192.168.1.0/24 via 10.0.0.2
vpn client측의 라우팅 설정에서
dest 192.168.0.0/24 via 10.0.0.1
으로 설정하면 됩니다.
적당한 제품 추천해주실 수 있으신가요~?
저는 직접 vpn서버를 구축해서 쓰는지라.. 따로 장비는 잘 알지 못합니다.
장비로는 포티게이트나 미크로틱등 방화벽 장비로 vpn을 주로 사용합니다.
미크로틱등은 너무 광범위하고 다뤄야할 내용이 너무 많아서 제가 잘 활용할 수 있으려나 모르겠네요..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