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5365 |
0 |
2014-05
5265365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90349 |
25 |
2015-12
1790349
1 백메가
|
94161 |
일반적인 서버 하드 연결구성 문의드립니다. (2) |
윈도우10 |
2014-01 |
4054 |
0 |
2014-01
4054
1 윈도우10
|
94160 |
용산 상가 오늘부터 정상영업하나요? (2) |
머라카는데 |
2018-09 |
3475 |
0 |
2018-09
3475
1 머라카는데
|
94159 |
CacheCade Pro 2.0 소프트웨어 (1) |
뚜뚜김대원 |
2011-09 |
6227 |
0 |
2011-09
6227
1 뚜뚜김대원
|
94158 |
UPS 제품 추천 (9) |
INMD |
2024-05 |
1802 |
0 |
2024-05
1802
1 INMD
|
94157 |
server2012 hyper-v cluster에 관하여... (3) |
몽이아범 |
2014-01 |
5022 |
0 |
2014-01
5022
1 몽이아범
|
94156 |
윈도우와 리눅스에서 파일 크기 차이?? (9) |
네이쳐 |
2019-11 |
6710 |
0 |
2019-11
6710
1 네이쳐
|
94155 |
안녕하세요 알리발 서버를 구성하려다 실패했습니다 뭐가 고장났는지 감이 안잡히네요 (28) |
hasel |
2022-10 |
5793 |
0 |
2022-10
5793
1 hasel
|
94154 |
vmplayer 에서 물리머신 부팅시 지정 가상머신을 자동실행하는 방법이 있는지 궁금합… (3) |
세가새턴 |
2014-01 |
12050 |
0 |
2014-01
12050
1 세가새턴
|
94153 |
mr10i sas하드 질문드립니다. (1) |
윈도우10 |
2014-01 |
4280 |
0 |
2014-01
4280
1 윈도우10
|
94152 |
랙 캐비넷 구입? (2) |
Sunrise |
2014-02 |
3912 |
0 |
2014-02
3912
1 Sunrise
|
94151 |
hs code 문의드립니다. (3) |
임종열 |
2024-05 |
1624 |
0 |
2024-05
1624
1 임종열
|
94150 |
초보가 RAID 5 복구 문의 드립니다. (6) |
김민철GC |
2014-02 |
4436 |
0 |
2014-02
4436
1 김민철GC
|
94149 |
NAS에 랜포트가 2개인경우 네트웍을 두 그룹으로 나눠 쓸 수 있나요? (12) |
famtory |
2021-03 |
3498 |
0 |
2021-03
3498
1 famtory
|
94148 |
시놀로지 네트워크 UPS 설정에 대하여 (해놀로지 연결) (11) |
코젠 |
2024-06 |
2291 |
0 |
2024-06
2291
1 코젠
|
94147 |
윈7 사용중인데요 윈8.1 관련문의 (9) |
김승현1 |
2015-06 |
4275 |
0 |
2015-06
4275
1 김승현1
|
94146 |
HDD Copy 장비 또는 프로그램 질문 합니다. (1) |
Doker |
2022-11 |
1295 |
0 |
2022-11
1295
1 Doker
|
94145 |
안녕하세요 신입 질문 드립니다 (7) |
이썬우 |
2014-02 |
4424 |
0 |
2014-02
4424
1 이썬우
|
94144 |
서버에 SSD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서 몇가지 문의 드립니다. (3) |
블랙 |
2015-06 |
4708 |
0 |
2015-06
4708
1 블랙
|
94143 |
중고 서버 처분 방법 문의 드립니다. (3) |
카머 |
2016-07 |
4181 |
0 |
2016-07
4181
1 카머
|
94142 |
Z-820 램 인식 한계치 관련 (6) |
주영진영아빠 |
2015-06 |
4048 |
0 |
2015-06
4048
1 주영진영아빠
|
포멧하실때 기본할당크기 (블럭크기) 를 지정하잖아요 ?
근데 그게 작을수록 기본단위가 작아지지만 클수록 속도가 올라간간말이에요 ?
기본블럭이 1k 256k 일때를 비교해보면
10k 짜리 사진을 넣으면 1k 짜리포멧은 1k1k1k1k1k1k1k1k ... 해서 10번 써서 10 k 를 기록 합니다. (매 1번지마다 )
하지만 256k 는 256k ------------------------------------------------------ 한번에 256k 를 던져놓고 가는거죠 ... 나머지 빈공간....(256번지마다 파일을 하나씩 놓는겁니다.
그러니 실제 파일이 포멧 방식의 블럭 사이즈보다 작으면 다 로스 나는거죠 .... 속도는 빠릅니다.
파티셔닝 후에 빠지는 용량은 파일 시스템이 잡아 둔 용량입니다.
파일이나 폴더의 정보를 담아두는 부분도 당연히 하드 디스크에 기록이 되고, 파티션을 나눌 때 파일 시스템에서 그런 정보를 기록하는데 필요한 용량를 미리 잡아둡니다.
윈도우의 NTFS에서는 대충 5~10%정도를 잡는데 이걸 유저에게 보여주지 않기 때문에 용량 차이가 발생합니다.
반면의 유닉스 계열에서는 inode 용량을 확인할 수 있고 할당량도 조정할 수 있죠.
파일을 클러스터 단위로 잘랐을 때 딱 차지 않으면 그만큼 손실이 크게 될거예요.
그리고, 얼마전에 발견한 증상인데, 파일의 절대경로가 아주 긴 경우 다른 서드파티 프로그램으로 확인하니 정상적으로 나오는데, 탐색기의 '속성'에서는 정확한 정보를 못가져 왔습니다.
일례로 명령창 여시고 powercfg -h off 명령을 수행하면 설치된 램의 1.5배 정도 되는 메모리 공간이 반환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