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ntos8 배우고 싶은데요 교제 추천하실만한게 있을까요?

Frinc   
   조회 6264   추천 0    

헤놀만 만지다 보니 저도 제대로된 서버구축을 해보고 싶은데

centos가 좋다고들하여 공부좀 해보려 합니다.

초보자가 보고 배울만한 책이 어떤게 있을까요?

CentOS 8 LINUX EXPRESS 이 책이 쉽다고 하는데 어떨까요?

완전 초짜용 책 추천 부탁드리겠습니다.


서명이 뭐죠?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행복하세 2020-07
우분투가 더낫지않을까요? 요즘은 분투가 더 분투하는 것같더라구요
     
Frinc 2020-07
그런가요? 전 검색해보니 센토스를 배우라고들 하길래 센토스 배우려고 했는데요
전문인이 아니니 둘중 한개만 공부해보려 하는데 고민되네요
          
제온프로 2020-07
CENTOS 가 정통입니다..
이걸 배우셔야 합니다..

그럼 바로 REDHAT 과 연결됩니다..
     
제온프로 2020-07
Ubuntu는 리눅스 입장에서 변종입니다...

CentOS
Fedora 로 배우면 오픈소스 리눅스에 접근 하는 것입니다...

그 다음에
Ubuntu / BSD / SUSE / Gentoo ... 로 파생됩니다...
          
엠브리오 2020-07
레드햇 계열인지 데비안 계열인지 분류할수는 있어도 우분투를 변종히라 부르기엔.. 쫌
어차피 동일한(?) 리눅스 커널을 쓰는거고 나머지는 제각각인게 리눅스쪽 특징인지라..
 
RT-linux 쯤 되야 변종이라 할수 있을듯 싶네요.

그리고 BSD는 리눅스가 아닙니다만..
          
하셀호프 2020-07
ibm이 redhat을 샀기 때문일까요
리눅스 전문가하면 redhat을 떠 올립니다
별 의미없다고 하지만 전문가 시험도 있구요
만일 이쪽으로 나중에 써 먹을 가능성을 생각하시면
redhat, centos, fedora 이쪽이 좋을 거 같기는 합니다
systemd도 redhat 엔지니어가 만들기 시작한 거구요
좀 익숙해지면 apt-get, rpm 뭐 이정도 차이입니다
          
BSDKernel 2020-07
우분투가 변종이라는 이야기는 처음 듣습니다.....리눅스 커널을 가져다 만든 리눅스 배포판 중에 하나입니다...
레드햇이 리눅스 커널을 가져다 배포판을 만들고 기업들을 상대로 기술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업으로 삼으면서...
기업용 서버 OS라는 인식이 강해진건 사실이지만...
다른 배포판도 서버 OS로 사용하는데 문제될게 없습니다.....다만 레드햇처럼 기술 지원 서비스가 체계적으로 제공되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BSD를 리눅스 배포판중 하나로 잘못 알고 있는 사람들이 있다는 이야기는 인터넷에서 본적이 있긴 합니다만...
BSD는 리눅스와는 커널부터 다르고 아예 시작부터 전혀 다른 OS입니다....
리눅스는 아예 커널을 새로 작성하면서 시작된 OS이지만.
FreeBSD는 당시 상용 유닉스였던 4.4BSD의 코드를 가져다가 오픈소스로 돌린겁니다....
그리고 그 이후로 OpenBSD, NetBSD등이 파생된거구요....
이제는 이런 분류법은 의미가 없지만...당시로치면....
리눅스는 System V계열 유닉스이고.....FreeBSD는 BSD계열 유닉스입니다..
박문형 2020-07
회사에서는 레드헷 때문에 센토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학교 같은 연구기관에서는 우분투 같은 것을 쓰는 경우가 많고요..
dragoune 2020-07
일본만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제가 일하는 곳도 그렇고 다른 회사도 Centos 많이들 쓰더군요
교재는... 저도 8 공부해야해서 ㅠ_ㅠ
영산회상 2020-07
둘다 유명한 OS니 사용목적에 맞게 공부하시면 되지 않을까요...
     
Frinc 2020-07
그게 사용 목적이 없습니다.
취미라서요
하셀호프 2020-07
예전에는 centos 를 서버로 많이 썻었는데
요사이는 데탑이건 서버건 그냥 분투하더군요
엠브리오 2020-07
     
Midabo 2020-07
1표 추가합니다
          
Frinc 2020-07
일딴 사겠습니다
시도니 2020-07
제가 봤을때 가장 쓸만한 책은 redhat 사의 rhce/rhcsa 교재 입니다.

최근 rhce 가 7 버젼이 끝나면서 8버젼으로 시험을 봐야하기 때문에

곧 rhce8 로 업데이트된 교재가 나올겁니다.

어짜피 내가 리눅스를 좀 한다고 하는 걸 알리려면 근본적인 것이 있어야 하므로 결국 자격증을 찾게 됩니다.

리눅스를 오래 만진 사람들도 rhce는 쉽지 않은 자격증입니다.

결국 시험을 보기 위해서는 다시 수험서를 보고 공부해야 하는 격이지요.

따라서 제가 봤을때는 그러느니 수험서를 가지고 공부를 하는 편이 낫습니다.

물론 수험서이기 때문에 세부로 자세하게 다루지는 않겠지만 거의 모든 분야에 대해서 다루기 때문에 폭넓게 알 수 있지요.

다만, 대부분의 수험서가 그렇듯.... 아주 간단하게 기술되어 있기 때문에 무척이나 인터넷을 뒤져야 할 겁니다. 그러면서 자연히 지식도 눌게 되지요.

바이블 같이 두꺼운 책은 결국 안봅니다. 그렇다고 쉽게 쓰여져 있는 책을 보면 인터넷에 올려진 블로그를 참조하는것보다 수준이 떨어지는 책들이 많습니다.
     
Frinc 2020-07
너무 어렵습니다.
일딴 시험은 안보고 취미입니다.
그리고 블로그 뒤지는 시간도 돈이기 때문에
한권정도는 있어야 할것 같습니다
          
BSDKernel 2020-07
rhce는 관련 업체에서 일하면서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취득할 이유가 없습니다..

시험 응시료도 몇백달러고 2-3년에 한번씩 시험도 보고....테스트를 거쳐야 자격이 유지됩니다...
취미로 하실 거라면, 우분투가 낫지 않을까 생각이 드네요. 어차피 비슷할텐데.. 패키지 관리 툴(APT vs YUM)이 좀더 나은 것 같습니다.
회사가 리눅스로 개발하다 보니 많이 쓰게 되긴 했는데, 같이 개발하는 사람들도 겨우 개발할 수 있는 정도만 알고 더 이상 알려고 하지 않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취미로 하시는 것 보다는 목표를 정하고 그걸 이루려고 노력하는게 더 많은 걸 배울 수 있다고 생각이 듭니다.
     
Frinc 2020-07
저도 우분투가 좀더 쉬워보이고 제가 필요한
관련자료도 많은데 다들 센토스를 추천하더라고요
그리고 설치해보니 센토스가 이뻐요 ^^
          
엠브리오 2020-07
CentOS는 서버용 OS이고 GUI 는 취급하지 않는게 보통입니다.

GUI를 제공하는 레드햇 계열을 쓰고 싶다면 "페도라"를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박경원 2020-07
책에 돈 쓰시지 마시고
https://access.redhat.com/documentation/en-us/red_hat_enterprise_linux/8/
이거 보십시오
시중의 책 내용이 더 알찬것도 아닐 뿐더러 최신 지식도 아니니 공식 문서를 보는게 좋습니다
가상화나 인피니밴드같이 지금은 만질 일 없겠다 싶은 챕터는 넘어가고
나중에 필요할 때 보시면 됩니다

글 내용과는 별개로 댓글에 리눅스를 알아가기에 좋은 배포판들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는데...
저는 우분투 아닌 아치 리눅스를 추천합니다.
어차피 여러 배포판들이라는게 동일한 리눅스 커널 위에
유저랜드 부분 패키징만 조금 다른것이기에
배울꺼면 리눅스 자체에 익숙해지는게 낫습니다
그래서 아치(혹은 젠투) 추천드리는거고 익숙해지고 나면
센토스던 우분투던 수세던 터미널만 있으면 편하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일중요한건 모르는거 있을때 구글검색하는 역량인듯 합니다
pil4 2020-07
그냥 취미시라면 archlinux, gentoo, ubuntu, debian, centos, fedora 등 설치해보시고 맘에 드는거 공부하시면 됩니다. 기본적인 작업이야 똑같습니다.


QnA
제목Page 1953/5724
2015-12   1765161   백메가
2014-05   5239697   정은준1
2005-10   6199   김낙철
2005-02   6199   나강문
2011-08   6199   방o효o문
2005-08   6199   채윤성
2012-04   6199   김건우
2018-02   6199   범범이
2005-04   6199   류경우
2011-07   6199   김건우
2008-12   6199   김현우
2009-07   6199   최시영
2011-12   6199   승후니도쿄
2018-11   6199   김건우
2005-04   6199   조정우
2013-12   6199   카프카
2016-08   6199   geniefix
2005-08   6199   현희철
2012-05   6199   백남억
2007-10   6198   손견권
2012-01   6198   김승권
2009-06   6198   서동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