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 퍼블릭 클라우드서비스 정의

   조회 3123   추천 0    

안녕하세요.

클라우드 서비스관련하여 , 공공부분에서 클라우드 서비스를 받고있는데, 민간클라우드로 서비스를 받고있다고 했을시에,

민간클라우드 기준이 어떤식으로 나눈건지를 문의 드려봅니다.

민간이 국산 클라우드인지. 아니면 국산 외산 다 포함이 되어 있는건지. 명확한 기준이 있는건지요?

퍼블릭클라우드라구하면, 외산 국산이 다포함된거라고 알고있는데(kt,ms,aws,nhn등등)


구분을 알고싶은데, 혹시 조언 부탁드립니다. 지자체의 경우 민간클라우드를 대전통합센터쪽에 정부클라우드센터에서 서비스를 받고있다하는데

현재 Full로 차있어서 정부에서는 별도구축해서 사용하라고 지시를 내렸다고하는데..도무지 이해가 안되서요.ㅠㅠ

아시는 회원님들이 있으시면 자문 부탁드립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gowork 2020-07
작년부터 네이버 클라우드를 이용해 서버 구축하라는 공문이 내려온걸로 알고 있습니다.
실제로 관공서 웹/디비 서버 등 진행도 하였습니다.
https://www.ncloud.com/

* 대전 통합센터도 올해 몇번 들어가봤는데.. 가상화서버 디스크 Full 관련된 얘기는 따로 들은건 없네요 ;;
구굴 2020-07
민간회사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중에
kisa가 인증심사하고 인증서를 발급해 준 공공용 클라우드가 별도로 있습니다.
인증받은 업체는 isms.kisa.or.kr로 가시면 확인 가능하고요..
epowergate 2020-07
대전통합센터는 중앙부처의 시스템이 들어가 있습니다.
지자체 시스템은 통합전산센처에 들어가지 않습니다.
예를들어 서울시의 경우 서울시클라우드센터 (서초동)가 있고 서울시, 산하기관, 구청 시스템등이 들어갑니다.
     
안빈낙도 2020-07
만일 그러면 지자체에서 외부망 홈페이지서비스용으로 클라우드를 구축하고싶다고하면 퍼블릭으로 제안을 해도 되는지요?
단 퍼블릭클라우드(에저,AWS.GSUITE등)를 구축시에 KISA에서 인증심사을 받는 클라우드로 필히 제안을 해야하는지도..궁금합니다.
          
epowergate 2020-07
KISA에서 인증심사을 받는 클라우드로 필히 제안 하셔야 합니다.
위 구굴님 말씀대로 하시면 됩니다.
          
구굴 2020-07
외산 클라우드에서는 공공클라우드 인증을 받은 곳은 없고요
국내 클라우드 중에 이름 있는 곳은 대부분 땄다고 보시면 됩니다.

KT, NBP, LG-CNS 등등 한 10군데 됩니다..


QnA
제목Page 1008/5730
2015-12   1791015   백메가
2014-05   5266080   정은준1
2015-07   4177   김우진
2021-04   2819   일국
2015-07   4652   레클
2014-03   3706   윈도우10
2014-03   4244   미우
2022-12   4833   영산회상
2017-08   3587   행복하세
2024-08   2003   븍띤
2015-07   6314   다롱이
2015-07   8559   가빠로구나
2012-03   8338   미수맨
2017-08   3623   에르티
2020-01   2476   그린
2012-03   6647   obawang
2014-03   4441   가빠로구나
2016-08   5306   냐옹이
2015-08   3611   김건우
2018-12   3739   행복하세
2020-01   2804   신은왜
2014-04   4064   김제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