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가의 NAS를 쓰면 네트워크 입출력 속도도 개선될까요?

김영기   
   조회 4119   추천 0    

집에 작은 홈서버를 업무용 간이 파일서버로 운용합니다.


가장 불만족스러운 점이, 로컬 컴퓨터 앞에 앉아 직접 억세스할때랑 비교하면 속도(로드 속도)가 느리다는 점인데요.


집에 시놀로지? 같은 좋은 NAS를 두고 운용하면 이 문제가 개선이 될는지 궁금합니다.


저희집은 반기가 인터넷(실제론 300이나 제대로 나올까 싶은) 회선인데, 이 회선의 대역폭을 극복하는 게 장비로 가능한가요?

(그걸론 어렵다면..개선책도 알 수 있을까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김준연 2020-07
전송 속도는 (로컬 기준) 10Gbps 또는 그 이상 기반으로 가지 않는 이상 거기서 거기이며 네트워크 전용 특성상 DAS보다는 빠릿빠릿함은 떨어집니다. 외부에서 접속 시 접속 속도가 불만이라면 차라리 인터넷 회선을 업로드가 안정적인 것으로 바꾸는게 더 나을 수도 있습니다.
gmltj 2020-07
집에서 놓고 쓰시는 거라면 속도 개선이 쉽지 않을 것 같네요.
엠브리오 2020-07
디스크는 모터가 돌아가는 기계적 장치입니다.
램처럼 뻐르게 할수 없을까 하는 환상은 버리세요.
박문형 2020-07
NAS와 실사용하는 컴퓨터 간의 구간에서 얼마만큼의 대역폭을 확보하느냐가 중요하고 그 대역폭을 얼마나 사용이 가능한가가 중요한데..

국내에서 개인이 사용하는 인터넷 대역폭으로는 여러가지 무리가 있습니다..


10G 서비스가 된다면 그것으로 바꿔서 사용해도 좋겠지만 아무래도 한달 사용료가 많이 무리가 될수 있습니다..

다른 일종의 미친(??) 짓으로는 큰 데이터 센터에 NAS를 박아두고 대용량 회선을 연결하면 집에서 사용하는 인터넷 회선보다는 확실히 좋아지겠지만

이것도 유지비가 무시무시하게 들어갑니다..


개인용 NAS로는 시놀로지가 많이 퍼져 있고 좋기는 하지만 기업용 NAS의 대명사인 넷앱(NetApp)에는 따라가지 못합니다..
보약한첩 2020-07
본문과 같은 고민을 했었고.
현재 시놀로지 4Bay로 시작해. 해를 거듭하면서 업그레이드를 하다보니 어느새.. 시놀로지 1819+ 까지 와버렸네요 .

이 시놀로지 NAS에 Intel X550-T2 10Gbit 랜카드를 달아서.
집안 내부망을 10G로 구성 했습니다.

SSD가 아니라 WD 하드  4개를 Raid 5로 구성 한것인데.. 제 PC와  NAS간 속도는
100기가 용량을 복사 하는데 6분 정도 걸리는 수준까지 나오네요
300 MB / s 정도 나옵니다.

일반적으로 내부 네트워크 환경이 Cat 5e 1G 환경이 일반적일텐데
파일 복사에 가장 잘 나오는 경우에 125 MB/s 정도가 네트워크 대역폭의 한계로 인한 최대치일겁니다.

결론은 SSD 로 NAS 구성해서. 내부망을 10G로 구성하면 응답속도 / 복사 속도가 거의 내장 하드 정도는 나올것 같네요
SSD 가 아닌 HDD로 할거면 여러개를 RAID 구성하면 속도적인 이득을 볼수는 있습니다.
VSPress 2020-07
저도 10G 랜 설치 후 이 제한을 벗어났어요
     
엠브리오 2020-07
잘 아실테지만 나머지 주변장치들이 그 속도를 감당하지 못합니다.

하드 디스크는 더더욱 심각하구요.
제온프로 2020-07
NAS를 Raid로 구성하고.... 10G Ethernet으로 땡기면 속도가 짱입니다..

전송속도 초당 : 600~800MB/Sec 이렇게 나옵니다...

최근에 10G NAS 구성하여..
작은 파일들 엄청 많은데...
1400만개 파일
용량은 7.2TB

1G로 백업 복사를 하면: (서버 운영중였음, 접속자 70명 / 파일서버로 활용중였음)
8~9일 걸립니다..

10G 로 땡기면.. 2~3일 걸립니다...

이런 경우는 어쩔 수없이 아무리 비싸도 10G를 써야죠...
허인구마틴 2020-07
대용량 서버 복사에서만 10G으로 사용합니다.
그외는 그냥 1G으로 사용합니다.

아무래도 속도가 빠르면 서버의 하드에 무리가 가는 것은 어쩔 수 없겠지요.
그냥 서버 수리를 하거나 작업때는 10 G를 쓰는것이 좋습니다.


QnA
제목Page 1009/5732
2015-12   1793983   백메가
2014-05   5268925   정은준1
2021-08   3393   버즈
2021-02   3393   덴데
2023-01   3393   키르히호프
2018-11   3393   epowergate
2020-03   3393   ArtsRommel
2018-07   3393   김건우
2019-11   3393   삐돌이슬픔이
2021-07   3393   song05
2018-10   3394   행복하세
2021-05   3394   홀릭0o0
2021-03   3394   레반터스
2022-01   3394   술이
2017-06   3394   키르아
2021-06   3394   회상2
2014-03   3394   분당김동수
2018-11   3394   봄들판에서다
2015-07   3394   izegtob
2020-06   3394   아싸조쿠나
2020-03   3394   ITES
2019-06   3394   김은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