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질문에 앞서 우문현답 감사드립니다.
정말 아무것도 모르니...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현재 상황은
0. NAS(DS918+), Dell T5610 Workstation 보유
1. NAS 에 docker를 이용하여 mysql, wordpress를 설치한 후 역방향프로시로 워드프레스 활용중.
2. 거의 대부분에는 로드가 거의 없으나, 종종 로드가 크게 치아, QoS가 좋지 않은 문제 발생.
3. 로드가 발생하는 시간대에만, T5610을 켜서 로드를 밸런싱 해야지! 하는 마음을 먹음.
구조는
외부망 - 공유기 - NAS - (T5610) T5610은 비지타임에만 동작, 모든 데이터는 NAS에 보관
로드밸런싱은 NGINX?, APACHE를 사용해야지~ 했었는데....
문제점
1. 워드프레스 특성상, 워드프레스 디렉토리에 데이터가 저장됨. 모든 데이터가 당연히? DB에 저장될 거라 생각했는데 디렉토리에 저장이 되더군요.
2. 위의 특징 때문에, NAS - T5610 간, 데이터 consistency에 대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지 않을까?
3. 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NFS로 연결을 해보는 것은 어떨까..? 아 그럼 같은 docker image를 공유한다는 생각이 바뀌는구나... (DOCKER를 포기해야하는가)
4. 그렇다면 아예 저전력 시스템 하나(A)를 더 추가해서 A, T5610을 클러스터로 만드는 것은 어떨까?
A를 항상 켜놓고, T5610을 비지타임에 켠다. --> 비지타임에 T5610에 마이그레이션 한다?
구조는
외부망 - 공유기 - NAS - A
- (T5610)
이런 고민을 하고 있는데.. 어떤게 맞는건지 모르겠습니다 ㅠㅠㅠ
NAS에 있는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비지타임에는 워크스테이션의 성능을 쓸 수 있는 솔루션이 있을까요?
우문현답 감사합니다. ㅠㅠㅠ
글, 조회수 등 의 내용은 DB에
사진 등의 내용은 디렉토리에 저장됩니다!!
DB에 디렉토리에 대한 정보가 들어간다... 라고 알고 있는데 정확하게는 잘 모르겠습니다 ㅠㅠㅠ
말씀하신것들 한번 공부해보겠습니다!!
분산처리가 목적이라면 NLB인데 NLB를 할라면 데이터 양방향 싱크로 할것인가 아니면 공유위치에 한쪽에 바라보게 할것인가를 기준으로 구성하면 됩니다.
액티브 스탠바이 방식이라면 그냥 클러스터 CSV 구성하면 그만이고.
docker에서 데이터 공유의 정답은 K8S + CSI 입니다.
NFS 그냥 사용하지 마시고 CSI 사용해서 구성하시면 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