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메인 네임서버 설정관련 질문있습니다

   조회 3851   추천 0    

안녕하세요 도메인 네임서버 설정관련하여 질문이 있습니다

현재 사용중인 도메인에 웹호스팅(사내 게시판, 회사 홈페이지등등 이용중)과 회사메일(기업메일 제공업체)을 각각 다른업체를 통하여

사용중입니다 하지만 네임서버는 웹호스팅 업체에서 제공중인 NS1번과 NS2번만 도메인에 등록되어 있습니다

이경우에 도메인 등록업체에에서 제공중인 네임서버 주소 1번과 2번을 도메인 설정페이지에서 우선순위 1번, 2번을 주고 호스팅업체의

네임서버주소 2개를 3번과 4번에 등록할경우에 별 문제가 없을까요?

사유는 수신불가 메일이 너무 많아져서 원인 파악을 하다보니 메일서비스 제공업체에서 네임서버 2번이 죽어있는 문제로 수신이 안될수

있다고 하여 호스팅업체측에 개선요구를 하였으나 1번만 살아있어도 메일수신에는 전혀 문제가 없다고 주장하는 상황이라 검증을 위하여

테스트로 도메인등록업체에서 제공하는 네임서버에 우선순위를 주고자 함이며 총 4개의 네임서버를 등록하더라도 현재 도메인에 연결되어있는

회사 홈페이지 접근이 가능해야하며 메일도 수신이 가능해야해서 그렇습니다(안그러면 업무에 차질이 생기기 때문입니다 메일 테스트하자고 회사

업무를 중지시킬수는 없으니까요....)


그냥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도메인에 등록할 1,2번 네임서버를 도메인등록업체의 네임서버로 3,4번을 현재 사용중인 웹페이지의 호스팅서버

네임서버주소로 등록 가능한지와 호스팅과 메일의 네임서버를 분리운영가능한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위에 쓴대로 네임서버를 2개업체의 것으로 등록하여도 기존에 사용하던대로 쓸수있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네임서버와 호스팅서버, 메일서버가 어떻게 연계되는지도 궁금합니다

기본적으로는 브라우저에 도메인을 입력시 도메인에 연결된 네임서버를 통해 호스팅서버의 IP주소로 연결되는것으로 알고있는데 메일서버의

경우에는 어떻게 도메인을 인식하고 움직이는지가 궁금하네요 만약 호스팅서버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면 메일서버에도 변경된 네임서버의

주소를 등록해야 할까요? 아니면 아무런 조치없이 네임서버를 추가해도 문제없이 사용이 가능할까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김황중 2020-07
1. 메일 수신 문제는 릴레이 문제로 네임서버의 일시 작동 중지와는 문제 소지가 없습니다

2. 네임서버 등록은 도메인 등록 업체에 하는것이지
서버 호스팅 업체와는 무관합니다

3. 네임서버 이중화중 한대가 죽더라도 문제 없습니다
어차피 두대의 네임서버중 첫번째 서칭은 첫번째 등록한 네임서버를 찾는것은 아니고 랜덤으로 접속하고 반응 없으면 또다른 네임서버를 찾아갑니다

4. 지금까지 홈페이지가  않열린적이 있나요?
웹서버는 살아 있었으나 사이트가 않열렸다면
네임서버 문제 맞습니다
하지만 사이트는 살아 있는데 메일이 않온것이라면
메일서버 문제입니다


즉 결론은 웹사이트가 죽은적이 있다면 도메인 등록업체를 바꾸시고
웹사이트는 살아있으나 메일이 않온것이면
메일서버 업체를 바꾸세요

저도 메일서버 운영중이긴하나
고객사에는 구글 기업메일을 추천합니다
     
파렌하잇 2020-07
답변 감사드립니다
여태까지 홈페이지가 안열린 문제는 없었는데 문제점해결을 하려다보니 업체마다 주장하는바가 상충하길래 직접 테스트해보고
문제점이 있는쪽에 다시 클레임을 요청하려고 합니다
서비스업체가 정해진지 10년이 넘어가니 이제는 뭐하나 바꾸기도 쉽지 않더라구요 구글 기업메일을 요청해보려고 하였으나 비용이
너무많이 발생하여 어쩔수없이 중소규모 업체의 서비스를 사용하는방법밖에는 없더라구요 그나마도 바꾸자니 기존에 메일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도 무시못하구요....이것도 그대로 옮겨주는 업체가 있다면 좋겠는데 아마도 없겠죠??

참고로 구글 기업메일 서비스 쓰자고 견적서를 대표님께 제출했다가 욕을 한바가지 먹었습니다 ㅎㅎ 회사원한테 메일은 가장 중요한것인데말이죠
그러면 돈안들게 개인메일 쓴다고하니 보안문제와 회사 도메인때문에 못쓰게하구요....정말 힘드네요...
          
김황중 2020-07
메일서버 마이그레이션도 쉽지 않은 판국에
구글 기업메일로 구 내용까지 옮기는것은 어렵습니다

저라면
구메일과 신메일로 하여
점진적으로 옮기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
               
파렌하잇 2020-07
일단 8월까지 개선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점진적인 교체로 가봐야할것 같습니다
          
엠브리오 2020-07
메일 서비스를 너무 쉽게 생각하는 경영자들이 많군요.
허접한 메일서비스를 이용하면 각종 스팸메일, 악성코드, 랜섬웨어, 멀웨어 등에 시달리게 됩니다.

그것도 모두 누군가가 관리해주어야 하는 것이고 돈이 들어가는건데 말입니다.
구글 계정하나당 월 6달러면 그다지 큰 금액도 아닐듯 한데요.

혹시 직원이 수백명 ~ 수천명쯤 되나요?
               
파렌하잇 2020-07
30명밖에 안됩니다 ㅜㅜ
김황중 2020-07
추가로 메일서버 연동은 네임서버의 MX값이 등록되어
이 정보로 메일서버를 찾아갑니다

네임서버 어딘가에 MX 설정값이 있을것입니다

https://www.google.com/search?q=메일서버+dns+설정&oq=메일서버+dns&aqs=chrome.1.69i57j0l4.10316j0j7&client=ms-android-samsung-ss&sourc

국내 메일은 화이트도메인 정책을 따르는 메일서버가 의외로 많습니다
발신서버의 의 문제가 있는 경우는 아래내용도 등록해야합니나
https://help.worksmobile.com/kr/administrator/service/mail/what-is-spf-record/

그런데 메일 서버 운용을 제대로 알지 못하고 하는곳이 많아
보냈다고 하는데도 않들어오는 경우는
대부분 위 spf 문제인 경우도 많습니다
     
파렌하잇 2020-07
의심되는 부분은 호스팅업체에서 제공하는 네임서버에 SPF등록부분이 제대로 안되어있을것같기도 합니다
찾다보니 도메인 설정에서 호스팅서버의 네임서버도 등록이 가능하고 메일서버의 MX와 SPF등록도 가능한것같아
한번 시도해봐야겠습니다
파렌하잇 2020-07
아직까지는 발신에 실패한적은 없었습니다 특정업체 발송메일 또는 아웃룩 사용자에게서만 문제가 발생하는것으로 확인됩니다

상세한 조언 감사드립니다
파닥파닥 2020-07
도메인에 NS 으로 등록된 IP 중 1개가 자주 죽어 있다면, 메일 발송에 100% 는 아니어도 어느정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보내는 MTA 입장에서는 받는 MX 을 자신의 recursor dns 에 Lookup 한 시점에 TTL 이 만료되어, authoriative dns 까지 query 가 전달 되었는데, 하필 죽어있는 IP 에 query 가 들어간 상황이면 일시적인 발송 오류가 발생할 수 있고, 이것이 누적된다면 충분히 발송실패가 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받는 MTA 입장에서도, SPF 레코드를 자신의 recursor dns 에 Lookup 한 시점에, authoriative dns 까지 query 가 전달되는 상황이 발생했을 때, 죽어있다면 SPF 레코드 조회가 실패하고, 깐깐한 MTA 입장에서는 해당 메일을 충분히 거부할 수 있습니다.

GSLB 처럼 능동적으로 죽어있는IP 를 빼고 Return 한다면 모를까, 단순하게 IP 만 등록되어 있는 상태면, 충분히 가능성은 있습니다.
     
파렌하잇 2020-07
어제 일단 임시로 메일서비스업체의 네임서버로 교체하여 테스트해봤는데 정상적으로 수신이 되는걸 확인했습니다
아마도 호스팅업체의 네임서버가 문제인것으로 생각되는데 이제 원인을 찾았으니 방법을 찾아봐야 할것같습니다

상세한 조언 감사드립니다 ^^
만년초보 2020-07
웹 네임서버 업체를 이용하면 편리합니다.
유료소액  디엔스에버
무료 디엔에스지
위 두군데의 웹으로 직접 관리할 수 있는 네임서버 서비스는 상당히 안정적입니다.
저는 이용자일 뿐 업체와는 아무런 연관은 없습니다.

그리고 네임서버를  서로 다른 업체로 분리하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렇게 분리하는 경우는 잘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메일 발수신이 안되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spf 등록이 복잡해지고, 
화이트 리스트 검사에서 차단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메일 흐름이 원할하지 않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현재는 메일을 오피스삼육오 에센셜을 이용하고 있는데, 만족하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한국 지사의 우리말 상담원들의 지원이 훌륭합니다.
     
파렌하잇 2020-07
어제 야근하면서 나름 테스트를 해봤는데 만년초보님 말씀대로 분리운영이 어려울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네임서버를 하나로
통합하여 운영해야할것 같습니다 일단 네임서버의 문제로 확인이 되었으니 원인과 해결방법을 찾아봐야 할것 같습니다
닉세스 2020-07
제가 메일 서비스하는 업체에서 근무중인데

네임서버 둘중 하나 죽어있는 경우 이슈되는경우 꽤 많습니다.


QnA
제목Page 994/5728
2014-05   5257331   정은준1
2015-12   1782111   백메가
2014-05   6987   이태욱
2019-01   3638   무아
2020-03   3265   박문형
2024-11   1092   냐미냐미
2009-04   6706   박현수
2012-07   6145   김건우
2017-10   3944   으라차차차
2024-11   1164   어렵다
2009-05   7102   차평석
2012-07   4640   김건욱
2023-02   2249   드슈
2016-10   5481   Lucifer
2024-12   606   EYESSHOT
2009-05   8692   권오준
2017-10   4735   신은왜
2016-10   4803   PAMA머리
2020-03   6506   공백기
2014-06   5746   metaljw
2020-03   4816   졸리다
2019-02   3978   가상화공부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