핸드폰에 사용된 접착제 종류를 알고싶습니다.

하승협   
   조회 9303   추천 0    

폰 분해를 몇 번 하다보니 기존 접착력이 없어진 것 같아 다시 도포를 하고싶습니다.

베젤과 액정사이의 접착제가 드라이기로 열을 가하면 흐물흐물 해지는데 비슷한 종류의 접착제가 어떤게 있나요?

일반 목공 본드로도 가능할까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보통 그 사이에는 양면접착테이프를 사용하는걸로 압니다.
특히, 물이 안스며들게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양면테이프가 아닌, 약간 실리콘 제질에 양면테이프랄까요? 그런느낌이던데..
     
하승협 2020-08
답변 감사합니다.
Sk800같은 양면 테이프를 쓰는데요. L523은 PET 0.1t가 들어가서 잘쓰지 않고요.
옛날에 L523많이 썼죠.
     
하승협 2020-08
감사합니다. 그런데 두께가 좀 두꺼워보이는데 얇은게 들어가야할 것 같은데요...
pilsuni 2020-08
한글로 접착 테이프
영문으로 adhesive tape 입니다.

ebay에서 검색하시면 나옵니다.... 후면부는 있는데... 전면부는 모르겠네요 ㅡㅡ;;;

본드... 요놈 제대로 붙으면 쇠붙이가 찌져저도 접착부위가 분리가 안돼는 위험한 넘 입니다
(이 경우, 반대 개념으로 재수없게 너무 잘 붙어버리면 ㅡㅡ;;)
     
하승협 2020-08
감사합니다.
핸드폰에 붙이기엔 너무 쎈거 아닌가요?
          
pilsuni 2020-08
수준은 비품 가격은 비쌉니다.
본래 있던거 보다 약한듯 하지만,,,, 기존 접착테이프 제거 후, 붙이면 깔끔합니다. ^^
(기존보다 약하면 약했지 강하지 않습니다 ^^)
ItsJaemin 2020-08
베젤과 액정 사이가 정확하 어디인지 모르겠는데

빛이 투과해야 하는 광학 특성이 필요한 경우는
업계에서는 OCA (Optically Clear Adhesive) 씁니다

3M에서도 나오고 하는데, 쇼핑몰 같은데서 구해지려나 모르겠네요..
     
하승협 2020-08
분해할려는 폰이 노트4 인데요 액정테두리 뒷면과 베젤이 양면테이프 같은걸로 접착이 되어있더라구요. 드라이어로 녹여서 분해했습니다. 검은 종이같은게 보여요. 노트4를 서브용도로 사용할려고 보니 생산때부터 베젤과 유리가 유격이 있다고 합니다. 먼지도 좀 들어가기도 하고 하단테두리부분은 빛이 새어나오구요. 근접센서도 이상하네요. 그래서 기존 본드 제거 후 밀착을 시켜볼려고요.
댕댕이 2020-08
공업용은 시중에서는 잘 팔지 않고 보통 3m꺼 300lse 씁니다.
접착력이 엄청 강해서 금속 프레임도 한번 붙으면 잘 떨어지지 않습니다.
보통 사설 수리점에서는 대부분 이거 씁니다.
     
하승협 2020-08
공짜로 얻은 폰에 뭘 구할려니 아깝네요 ^^ 걍 놔둘랍니다. 답변 감사드립니다.


QnA
제목Page 982/5727
2015-12   1777685   백메가
2014-05   5252716   정은준1
2013-04   15185   임종열
2016-02   3668   신은왜
2021-12   2510   크리보
2014-10   40517   장동건2014
2021-12   3554   찌록
2023-07   3168   똥파리이
2014-10   10165   투러브
2013-05   25676   자바라
2017-01   5924   LINKINPARK
2010-05   10237   원상현
2023-08   2602   디지유
2013-05   10368   행아범
2019-05   7083   늘파란
2010-05   8945   땡감
2013-06   8029   김건우
2018-04   5967   마케로
2020-08   2517   GPGPU
2013-06   12293   박중석
2013-06   5838   거니네
2018-04   5372   김건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