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94042 |
25 |
2015-12
1794042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8977 |
0 |
2014-05
5268977
1 정은준1
|
94944 |
Dell Ultra-Speed Drive Quad NVMe M.2 PCIe x16 Card 써보신분. (21) |
고딩샛별 |
2019-06 |
7059 |
0 |
2019-06
7059
1 고딩샛별
|
94943 |
시피유 소켓 핀 구부러짐 문제 (6) |
디지유 |
2020-09 |
2539 |
0 |
2020-09
2539
1 디지유
|
94942 |
sata3포트에 sata3하드 꽂으면 sata2보다 훨씬 빠른거 맞나요? (9) |
김건우 |
2010-09 |
13582 |
0 |
2010-09
13582
1 김건우
|
94941 |
VM Ware에 Xp를 5개 설치 하였을 때... (15) |
Win31 |
2014-12 |
6705 |
0 |
2014-12
6705
1 Win31
|
94940 |
usb2.0/3.0허브에 전원연결없이 연결할 수 있는 정도는 어디까지 인가요? (8) |
김건우 |
2017-02 |
5274 |
0 |
2017-02
5274
1 김건우
|
94939 |
회사 동료가 옆에있다 물어봐서 저도 궁금한 질문 (13) |
Nikon |
2013-08 |
9344 |
0 |
2013-08
9344
1 Nikon
|
94938 |
원드라이브 무료 용량? (4) |
박명근TN |
2016-03 |
5739 |
0 |
2016-03
5739
1 박명근TN
|
94937 |
이베이 배송로그 볼려면 어떻해야 할까요? (6) |
Sakura24 |
2018-05 |
3923 |
0 |
2018-05
3923
1 Sakura24
|
94936 |
rtc 에러라고 빕코드에는 나왔는데... (3) |
삐돌이슬픔이 |
2019-07 |
2858 |
0 |
2019-07
2858
1 삐돌이슬픔이
|
94935 |
레이저프린터 문의 (11) |
헌터D |
2020-09 |
3537 |
0 |
2020-09
3537
1 헌터D
|
94934 |
서버2003 32bit에서 인식하는 HDD 최대용량은 얼마인지요?? (2) |
블루영상 |
2010-10 |
9685 |
0 |
2010-10
9685
1 블루영상
|
94933 |
비스타 구하기 (4) |
류류류 |
2016-03 |
4104 |
0 |
2016-03
4104
1 류류류
|
94932 |
자동차 보험에 대해 궁금한 것이 생겼습니다. (7) |
더번 |
2010-10 |
6848 |
0 |
2010-10
6848
1 더번
|
94931 |
서버쪽에서 2기가 메모리를 os 영역에서 사용하는 기능이 있나요? (3) |
두cpu |
2017-02 |
4190 |
0 |
2017-02
4190
1 두cpu
|
94930 |
윈도7(32비트)인데요..도스창에서 날짜출력하는 %date%함수를 쓰는데 요일이 안나오… (6) |
김건우 |
2015-01 |
8887 |
0 |
2015-01
8887
1 김건우
|
94929 |
HP DL360P gen8 서버 쿨링팬 가격이 얼마정도나 할까요? (4) |
여수I완스 |
2018-05 |
4771 |
0 |
2018-05
4771
1 여수I완스
|
94928 |
Z620 HDD 추가장착방법은? (7) |
딸기대장 |
2016-03 |
5731 |
0 |
2016-03
5731
1 딸기대장
|
94927 |
Windows server 2016 시스템 파일 정리가 없습니다. |
iron19 |
2018-05 |
4286 |
0 |
2018-05
4286
1 iron19
|
94926 |
PC 스피커 볼륨 컨트롤러 수리에 대해 여쭤봅니다. (8) |
초심으로 |
2023-11 |
2206 |
0 |
2023-11
2206
1 초심으로
|
94925 |
당황스럽고 신기하네요 (9) |
Tori |
2015-01 |
5808 |
0 |
2015-01
5808
1 Tori
|
그리고 키크론... 좋은 선택 같습니다. 여유가 되면 한방에 좋은걸로 가는게 좋죠
적축이 키압이 가벼운 편이고 살짝 눌러도 입력이 되는 축으로 알고 있습니다.
보니까 키크론 적축 많이들 쓰시네요^^
근데 제일 좋은건 아무래도 직접 타건을 해보시는게....
대표적인 축별 특징 정리해놓은 곳입니다. 참조하세요 (체리 축 기준인듯... 이외에도 축 종류는 상당히 많습니다. 백축 녹축 은축 광축 등등...)
저는 개인적으로 시끄러워도 클릭타입을 좋아해서 청축을 선호하는 편입니다. 구분감, 경쾌한 클릭감 이런게 좋아서요 ^^
그 다음으로는 무접점의 보글거림이 좋더군요 ;; 좀 재미있는 걸 좋아하나봅니다. ;;;
소음이 싫고 키압이 가벼우면서 살짝 눌러도 입력이 되는 방식을 선호하신다면 적축, 그 와중에도 소음에 더 예민하시다면 저소음 적축이 맞는것 같습니다. 키크론 엄청 이쁘더라구요 ^^
카일 스피드축중에 은축을 써본적이있는데, 누르지도 않고 그냥 손가락을 얹어놨을뿐인데 글씨가 쳐져서 난감한 기억이 있습니다.
구름타법에 용이한 축이라고 기억합니다.
체리축들은 구름타법과 거리가 있습니다. 일단 스위치가 가볍기는 하지만,
체리축중에 저소음축말고/ 일반적축과 갈축을 써본적이 있는데 둘다 꾹꾹 눌러야 했습니다. 일반적축 갈축은 그냥 멤브레인축과 다를바가 없습니다.
키압이 낮은걸 선호하시면 저적이나 무접점 35g 짜리로 가는게 좋습니다
상호를 말씀드리기는 좀 그렇지만 구글에 쳐보면 금방 나오고 유명한 샵입니다.
해당 샵에 가서 타건만 해보고, 다른 곳에서 구매해도 뭐라 안합니다 ㅎㅎ
저도 처음에는 타건 안해보고 저소음 적축 + 무접점 + 일반 적축 등 이모델 저모델 전전하다가,
가서 타건해보고, 제 축을 정했네요 ㅋㅋㅋ
사람마다 워낙 취향이 많고, 요즘에는 종류도 더 많아져서
(광축, 스텝스컬쳐, 키 색깔, 재질, 인쇄재질, 키캡 커스텀 여부, led 등등등)
가서 직접 보시고 구매하시는 것이 제일 좋습니다.
한마디로 취향이 천차만별이라서요
그리고 제품은 검색하면 다 나오지만,
레오폴드나 토프레가 유명합니다. fc900이나 fc750 혹은 토프레 무접점... 무접점도 키압에 따라 종류가 워낙 많아요 차등 등등...
해피해킹 제품도 유명한데 이것은 키배열이 독특해서 처음에 적응이 좀 어려울 수도 있어요.
만약에 그냥 저가형 기계식 구매하실 것이면... 키감을 기대하시기보다는 디자인이나 마감을 보고 구매하는 것이 좋을 것 같네요.
원래 체리 스위치가 오리지널이고 카일 및 기타 스위치는 특허 끝난 후에 카피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제 직업이 키보드를 치는 시간이 많은 직업이다 보니 경험을 약간 말씀드린다면
지금 회사에서 사용하는 건 적축입니다. 3~4년 정도 사용한 것으로 기억하는데, 가볍고 조용하고 손가락 힘이 점점 없어지는 나이대에서는 편하고 좋군요.
그 이전은 집에서 지금 이 글을 쓰고 있는 리얼포스인데, 처음 쳤을 때 키감에 반해서 7~8년 정도 썼던 것 같습니다. 구분감도 있고, 나무랄데가 없지만, 오래 전에 산 거라서 윈도우 키등 요즘 추가된 키들이 없으니 좀 불편함을 있습니다. 그래서 신형으로 갈아탔고 회사에서 집으로 가져와서 밤시간 대에 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 이전은 체리 흑축을 7~8년 썼던 것 같군요. 그땐 젊어서 쓸 수 있었던 것 같은데 반발력이 좀 세서 오래 치면 팔뚝이 좀 뻐근합니다.
그 이전에는 키보드에 대해서 잘 몰라서 멤브레인을 주로 썼었고요.
흑축 / 적축이 리니어인데, 키를 치면 구분감 없이 쑥 들어가고 인식이 됩니다. 익숙해지지 않으면 바닥을 안 치기 힘듧니다.
청축은 소리가 있고 갈축은 소리가 없는데 둘다 구분감이 있어서 바닥을 치기 전에 손가락을 회수하기 더 좋습니다.
바닥을 치는 건 가급적 피하는게 좋은데, 나이들면 손가락 관절이 좀 많이 상하는 것 같습니다. 저는 지금 적축을 쓰긴 하지만, 갈축을 쓰시라고 권해드리고 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