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88188 |
25 |
2015-12
1788188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3243 |
0 |
2014-05
5263243
1 정은준1
|
95251 |
리눅스 df 순서 (5) |
씨형 |
2016-01 |
6288 |
0 |
2016-01
6288
1 씨형
|
95250 |
T7810 CPU업그레이드시에 램 질문 (5) |
김상혁2 |
2016-12 |
4701 |
0 |
2016-12
4701
1 김상혁2
|
95249 |
모임스톤 전화기 초기화 방법 문의 (2) |
서형호 |
2019-04 |
6207 |
0 |
2019-04
6207
1 서형호
|
95248 |
부산 여행 주말 운전 어떤가요? (15) |
무아 |
2021-11 |
2333 |
0 |
2021-11
2333
1 무아
|
95247 |
유무선 공유기 동일한 제품 2개 연결하면 문제가 없을까요? (5) |
총각 |
2014-09 |
10977 |
0 |
2014-09
10977
1 총각
|
95246 |
마모된 육각나사 더 밀어넣거나 빼내는 방법이 뭐가있을까요?? (3) |
r이승원r |
2016-01 |
6680 |
0 |
2016-01
6680
1 r이승원r
|
95245 |
윈도우서버 라이선스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14) |
wearevoice |
2021-11 |
2866 |
0 |
2021-11
2866
1 wearevoice
|
95244 |
볼륨 단축키 버튼 (4) |
호피티 |
2010-02 |
13809 |
0 |
2010-02
13809
1 호피티
|
95243 |
슈마 메인보드 질문입니다. (2) |
파렌 |
2014-10 |
4361 |
0 |
2014-10
4361
1 파렌
|
95242 |
공유기 sk관리페이지가 안들어가집니다 (6) |
subshot |
2019-04 |
4662 |
0 |
2019-04
4662
1 subshot
|
95241 |
제온 x3480 구해볼까 합니다 (2) |
김달호 |
2018-02 |
3751 |
0 |
2018-02
3751
1 김달호
|
95240 |
[급질문] 이상한 프로세스(winbluetooth.exe) 확인부탁드립니다. (4) |
일반유저 |
2013-04 |
5829 |
0 |
2013-04
5829
1 일반유저
|
95239 |
서버2016에서 10G네트워크로 SMB(파일공유)시 속도 문의 (7) |
김상혁2 |
2018-03 |
5347 |
0 |
2018-03
5347
1 김상혁2
|
95238 |
워크스테이션을 서버대용으로 사용해보고자 합니다. (6) |
BOFH |
2010-03 |
7562 |
0 |
2010-03
7562
1 BOFH
|
95237 |
T7910 esxi 문의 (16) |
푸하히 |
2016-01 |
4680 |
0 |
2016-01
4680
1 푸하히
|
95236 |
쿼드로fx4600과 쿼드로2000D 중에...문의 드립니다 (3) |
왕정수 |
2013-04 |
7632 |
0 |
2013-04
7632
1 왕정수
|
95235 |
고가의 NAS를 쓰면 네트워크 입출력 속도도 개선될까요? (9) |
김영기 |
2020-07 |
4101 |
0 |
2020-07
4101
1 김영기
|
95234 |
e5-2687w v3 듀얼과 스레드리퍼 2990wx구성하면 어느게 더 빠를까요 ? (9) |
bradpig |
2019-05 |
3627 |
0 |
2019-05
3627
1 bradpig
|
95233 |
[ vCenter ] SSH로 접속해서 VM 관리 할 수 있는 방법 문의 (2) |
전설속의미… |
2020-07 |
2889 |
0 |
2020-07
2889
1 전설속의미…
|
95232 |
openssl Poodle 취약점 패치는 하시는가요? |
허접때기 |
2014-10 |
6198 |
0 |
2014-10
6198
1 허접때기
|
관부가세 안내는 20달라 미만제품들이 문제 인걸로 알고 있네요.
다른분들말씀도 들어보는걸로
이제품을 여러개 산것도 아니고..딱 1대의 제품을 구매했고.. 2년정도 실사용한 부분이 있기 때문에... 제 개인적으로는 전파인증만 아니면 판매 가능할꺼 같은데..
인증부분은 찾아봐도 잘모르겟습니다. kc마크가 붙어있으면 괜찬다는 곳도 있고.. 안된다는 곳도 있고..
kc인증하는곳에 전화하니 자기는 인증해주는곳이지 불법이다 아니다를 확인하는곳이 아니라고 하고.. 공유기는 전파인증받고오면 kc인증 받을수 있다 라고 합니다.
전파인증해주는곳에서는.. 동일모델명으로 전파인증 되어있다 라고 하고 법적으로는 모른다고 합니다.
직구라는 말은 개인이 수입했기에 개인이 인증을 받으면 판매가 가능하겠죠..(핸드폰 수입해서 개인 인증 받는 것처럼)
그 외에는 제조사에서 인증을 받으면 누구든지 수입 판매 가능합니다..
문제는 유무선 공유기 유무선 인증비용이 장난이 아니라는 것이죠..
개인이 인증받아서 중고로 팔꺼면 그냥 버려야 할꺼 같네요;;
같은 모델의 제품이라도 수입원이 여럿이 있을수 있다는 것은 아실 것이고
각자 다 KC 인증비 내고 인증을 받습니다..
그리고 수입된 물건은 수입원에서 시리얼 넘버로 관리되어 다른데서 수입된 것들은 보통 절대로 AS같은 것 안해주죠..
즉 KC 인증을 같은 모델 제품이라도 아무데나 붙이고 인증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유무선공유기 인증비는 각 유선 포트 마다 각각의 스피드마다 각 무선 주파수마다 각각의 스피드에 따라 테스트를 하기에
돈 천만원 이상 드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인증번호는 MSIP-CMM-MSQ-RT-AC88U 이고, 중고로 판매할려고 하는 제품은 인증받은 제품은 확실하고.. 중고 판매여부 적불여부는 담당자도 모른다고 하네요.
원제조자도 ASUSTEK COMPUTER INC 이기에
누구나 수입하고 판매하는데에는 문제가 없어 보입니다..
단 국내 수입원은 제조자인 ASUSTEK으로 부터 KC인증 원 서류 사본을 가지고 있으면 더 확실합니다..
이건 ASUSTEK 과 직접 거래할 수 있는 회사나 요청이 가능하겠죠..
위 링크의 네번째 글을 보면
질문 다른 회사에서 적합성평가 받은 기자재를 저희 회사가 수입(동일기기)할 경우 해당 제품의 적합성평가를 받아야 합니까?
답변 국내 및 해외 제조자가 국내 적합성평가를 받았고 해당 기자재에 적합성평가표시를 한 경우에는 누구든지 적합성평가를 받지 않아도 수입 · 판매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국내 및 해외 제조자가 아닌 자가 적합성평가를 받은 경우에는 제품의 동일성 검증, 사후관리 책임소재 등의 사유로 수입자마다 적합성평가를 받아야 합니다.
이라고 나와있습니다.
제가 알기로는 인증번호가 MSIP-**M이면 제조사 인증, **I면 수입자 인증으로 알고있고 제조사 인증은 올리신 스크린샷처럼 상호와 제조사가 동일하게 나오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위 FAQ내용과 제가 알고있는 사실과 올려주신 적합성평가 현황을 맞춰보면 RT-AC88U라는 제품은 해외(대만) 제조사인 ASUSTEK COMPUTER INC.가 적합성평가를 받은 제품이므로 누구나 적합성평가 없이 수입 판매 가능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리고 200불이 넘어서 일반통관 된 경우에도 통관 부가세 냈기때문에 판매해도 괜찮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판매목적으로 수입신고하여 사업자로 통관해야됩니다.
주로 타겟이 블프때 사서 미개봉 신품으로 판매하는 되팔이는 경우에는 문제가 된다고 합니다. 아니면 판매를 목적으로 들어왔다는 정황이 있다면 아마 세금을 내야 할꺼 같습니다.
명백한 중고라는것을 판단은 아마도 관세청에서 하지 않을까 합니다.
항상 인보이스를 물건을 팔거나 버릴때까지 가지고 있는것도 어려울테니까요.
누가 게시물로 신고했더라구요 누군지 의심은 되는데~
kc인증이나 전파법 인증이 안되서 광주 전파인증소인가 거기서 목포까지 출장와서 사인이랑 조서하나 썻네요
첨에는 약정서 같은걸로 경고만 주고 담부터는 실제 처벌한다고하네요
서울에서도 하루에 300-400명씩 신고가 들어온다고하네요~
물론 저는 전파법이 어이가업는것같지만
병원같으데서 비인증제품쓰다가 병원장비에 문제가생길수도있고
아무튼 일반인이 미쳐 생각못할정도로도 문제가 생갈수있다고하니 그런갑다해야죠
세법과 전파법에 문제가 있지만 대부분 전파법 관련하여 문제가 됩니다.
면제 사유를 정확히 확인해야 하는데, 일반인이 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습니다.
명확히 증명하실수 없다면 중고판매시 법적 문제가 됩니다.
참고로 모델명이 동일 하더라도 내부 전자회로가 다른 제품이 많습니다. (각 나라별 제약사항외)
제조사가 KC 인증을 받았더라도,
글쓴분이 구매하신 제품과 KC 인증 받은 제품이 동일 제품임을 증명하지 못하면 (서류외)
미인증 기기 임으로 판매하시면 안됩니다.
단순히 케이스에 KC 마크 있다고 파시면 안됩니다. (케이스는 같이 쓰고 내부 다른경우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