랜카드별 풀로드시 cpu 사용률 차이가 날까요?

   조회 4247   추천 0    

랜카드별로 가격차이가 많이 나다보니..

성능차이라는게 과연 무었일까 생각이 듭니다.

1GbE랑 10GbE랑 차이는 많이 나는걸로 알고있습니다. 

근데 1GbE랜카드끼리 성능 차이는 어느정도 나는지 궁금하네요.

리얼텔 81xx 시리즈나 인텔 i210 i350 등등.. 1Gbps 지원모델끼리 비교할때..

비싼게 돈값 할까요?? 아니면 그냥 기분탓일까요?? 

제 경험산 써본걸로는 i210, i219, i350, 리얼텍 8168 8169 이렇게 5가지가 써본 기가랜카드인데.. 풀로드시 리얼텔제품이 cpu점유율이 조금 높은거 같기도 하고.. 그냥 느낌이 이런가 싶기도 하고.. 

핑값이나 이런거 보면 위 4가지 모두다 안정적으로 나왔습니다. 랜카드-스위치간 핑테스트 1만개 했을때.. 단한개의 손실도 없었구요.. 


혹시 테스트 한 자료나? 정보 있는분 있을까요?

회사에서 1gbe용 랜카드 제품별 성능 매트릭스나 스펙 테이블이 제대로 나와있는게 없어서 찾기가 어렵네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술이 2020-09
그냥 1G짜린 고만고만합니다.
박문형 2020-09
1G는 거의 차이가 없을 것입니다..

비쌌던 1G도 인텔이 만들어서 대중화가 되고 꽃게(리얼텍)가 만들어서 온보드화 되었으며

시간이 지나고 칩셋이 작아지고 저 전력화 되었습니다..

10G로 가면 iSCSI와 함께 TCP/IP offload 엔진이라는 말이 나오는데 이게 CPU 대신 랜카드 혹은 랜칩 안의 전용 프로세서가 부하를 줄여줍니다..

서버쪽에서 인텔 인텔 하는 이유는 싸구려 꽃게 칩보다는 안정성이 좋고 리눅스외 각종 OS에 대한 드라이버가 잘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부하 주어도 CPU 에 걸리는 부하도 꽃게보다는 적을 수 있습니다..


10G 영역에서는 아직은 꽃게가 재대로 제품이 없으며 곁다리로 2.5G / 5G 제품들이 나옵니다..
댕댕이 2020-09
리얼텍을 사용했을 때, CPU 점유율이 높은게 느낌이 아니고 사실입니다.
리얼텍은 하드웨어 처리가 거의 없고 CPU가 거의 처리하기 때문에 CPU 점유율이 높습니다.
근데 일반 사용자 레벨에서는 인텔이나 리얼텍이나 고만고만 한 듯 합니다.
버그가 심했으면 아무리 저렴하더라도 보드 제조사에서 내쳤을 듯...
비싼 건 돈 겂 합니다. 성능 보다는 안정성에서 돈 값 합니다
일반적인 환경에선 잘 못 느낍니다.

리얼텍을 무시하전 않지만 돈을 더 내더라도 인텔 씁니다.


QnA
제목Page 1794/5708
2014-05   5142401   정은준1
2015-12   1676607   백메가
2015-08   4150   linesis
2020-08   4151   테츠
2017-01   4151   송승화
2014-04   4151   akfalles
2018-06   4151   초보IT
2015-01   4151   하늘하늘
2016-12   4151   가람이당1
2017-01   4151   윤노리
2020-06   4151   모스월드
2015-05   4151   까만머리앤
2015-10   4151   윈도우10
2018-07   4151   과태료부과
2014-02   4151   김상민
2014-02   4151   이정근
2015-02   4151   걸인신홍철
2015-11   4151   김건우
2017-11   4151   acdum
2015-01   4151   김훈1
2019-08   4151   신은왜
2014-05   4151   정유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