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677388 |
25 |
2015-12
1677388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5) |
정은준1 |
2014-05 |
5143196 |
0 |
2014-05
5143196
1 정은준1
|
74496 |
z400 에는 pc3 16gb 서버램 장착안되나요 ??? (6) |
석호 |
2018-04 |
4353 |
0 |
2018-04
4353
1 석호
|
74495 |
멀티부팅때문에 골치가 아픕니다. 도와주세요. ㅜㅜ (11) |
탁영길 |
2020-02 |
4353 |
0 |
2020-02
4353
1 탁영길
|
74494 |
바이오스타 메인보드 블루 스크린. (6) |
송지만 |
2019-09 |
4353 |
0 |
2019-09
4353
1 송지만
|
74493 |
h61보드 고장 증상 문의드립니다. (15) |
반성만 |
2021-09 |
4353 |
0 |
2021-09
4353
1 반성만
|
74492 |
허브랙에 들어가는 컴퓨터랙케이스 (4) |
노인님 |
2018-03 |
4353 |
0 |
2018-03
4353
1 노인님
|
74491 |
엉터리 라이센스 데이터로 단속 협박하는 Autodesk 고소 가능 합니까? (6) |
카렘 |
2021-09 |
4353 |
0 |
2021-09
4353
1 카렘
|
74490 |
맥 미니에 HDMI 모니터 연결시 사운드 볼륨 조절.. (3) |
린드버그 |
2023-03 |
4353 |
0 |
2023-03
4353
1 린드버그
|
74489 |
[해결] 혹시 office 2013 리테일 파일 가지고 계신분 있으신지요; (1) |
HEUo김용민 |
2019-01 |
4353 |
0 |
2019-01
4353
1 HEUo김용민
|
74488 |
DELL T5820에서 쿼드로 P4000 카드 쿨링을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14) |
VSPress |
2022-03 |
4353 |
0 |
2022-03
4353
1 VSPress
|
74487 |
윈도우에서 로그온 ID 0x3E7의 의미 (3) |
임민규 |
2022-04 |
4353 |
0 |
2022-04
4353
1 임민규
|
74486 |
혹시 도시바 Enterprise급 HDD의 신뢰성은 어떨까요? (13) |
양창권 |
2019-12 |
4353 |
0 |
2019-12
4353
1 양창권
|
74485 |
하드디스크 깡배송 위험하지 않나요? (20) |
스마트폰 |
2022-12 |
4353 |
0 |
2022-12
4353
1 스마트폰
|
74484 |
블루레이 ODD 활용법에 대해.....질문좀... (1) |
FreeBSD |
2015-08 |
4353 |
0 |
2015-08
4353
1 FreeBSD
|
74483 |
포트가 여러개있는 랜카드의 작동방식이 궁금합니다. (6) |
김진영JK |
2016-04 |
4353 |
0 |
2016-04
4353
1 김진영JK
|
74482 |
GA-EP45T-UD3LR rev 1.0 제온 개조바이오스 부탁드립니다. (2) |
인생막장 |
2018-04 |
4354 |
0 |
2018-04
4354
1 인생막장
|
74481 |
교실 무선AP 장비 관련 문의드립니다. (5) |
백두산 |
2020-10 |
4354 |
0 |
2020-10
4354
1 백두산
|
74480 |
윈도우7과 윈도우2000과의 작업그룹이 공유되지 않는점 문의드려요 (5) |
막판대장 |
2017-07 |
4354 |
2 |
2017-07
4354
1 막판대장
|
74479 |
하드디스크 케이스 보조전원 문제 (1) |
VSPress |
2015-03 |
4354 |
0 |
2015-03
4354
1 VSPress
|
74478 |
나스 케이스 추천좀해주세요 (16) |
스피드758 |
2021-02 |
4354 |
0 |
2021-02
4354
1 스피드758
|
74477 |
wav 를 flac으로 변환 시키려는데 (9) |
쌍cpu |
2016-08 |
4354 |
0 |
2016-08
4354
1 쌍cpu
|
2005년에 설치된 옵션 에어컨이라 에어컨 자체가 정속형에 효율이 그리 좋지 않습니다.
게다가 복층이라 효율이 더 나쁘구요.
하루 8시간정도 에어컨을 틀었고,
맥 미니와 모니터 두대 하루 4시간정도 사용,
이외 TV 냉장고 정도... 이정도 사용했더니 450kw ~ 550kw 를 왔다갔다 하더라구요.
만약에 24시간 에어컨을 틀어놨다면 1000kw도 아예 불가능한 수치는 아닐 것 같습니다.
평소에 400~500이렇게 쓰다가 에어컨키면 1000은 나올수있죠...
근데 그게 아니라면 가전제품 하나하나 다 체크해봐야할거같네요..
우리집의 경우 예전에 냉장고가 오래되니까 거기서 먹는게 장난 아니더라고요..
오피스텔의 경우 에어컨 실외기를 건물 외벽에 설치할 수 없어서 벽쪽에 실외기 함이 있고 이 안에 실외기가 답답하게 들어가 있는 형태가 많던데
그런경우 실외기함의 통풍이 잘 안될 경우 에어컨을 틀어도 시원함이 별로고 계속 전기만 쳐묵쳐묵 하는 걸 당해본 적이 있어서..
실외기함의 온도를 확인해보고 문제가 있으면 그쪽에 통풍을 위한 구조를 잡아주면 효과가 좋습니다.
24시간 돌아가는 서버가 몇마리 있다면 무시 못하게 됩니다..
그 외는 혹시나 누전이 있나 하는 것도 채크해야 할 듯합니다..
요즘 오피스텔 자체가 가스레인지 대신 인덕션 들어가는 경우가 많구요.
다만 이를 감안해도 2룸 오피스텔에서 1000kWh는 엄청나군요.
누진제 개편 전인 2012년,2013년 당시 여름에 50평대 집에서 6~70만원씩 내본 경험은 있습니다만, 이때는 하이라이트 + 에어컨 + 서버 2대 + PDP TV + 냉장고 + 김치냉장고 + 냉동고 였었습니다.
1. 1차적으로 에어컨 모델을 확인하고, 전력 측정기 구매하여 에어컨 소비전력 확인
2. 누전이나 혹자가 도둑전기 사용중인지 확인
저 같은 경우 컴터 몇대에 업소용 냉동고 하나 들였더니 매달 700정도 나왔었는데, 전기 많이 먹는 것을 찾아야겠네요.
오피스텔이 층고도 높고 등도 많고 등등 체감상 전기세가 아파트보다 더 나왔던 것 같습니다.
가정용으로 시작하는 건물도 있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