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61906 |
25 |
2015-12
1761906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35692 |
0 |
2014-05
5235692
1 정은준1
|
95544 |
[ MIKROTIK ] LOGGING - firewall 출력이 터미널이 아닌 버퍼에만 출력되는 현상 (4) |
전설속의미… |
2020-09 |
3120 |
0 |
2020-09
3120
1 전설속의미…
|
95543 |
전동킥보드 배터리 질문드립니다. (4) |
반성만 |
2020-09 |
5043 |
0 |
2020-09
5043
1 반성만
|
95542 |
1r*4 메모리와 그외 메모리..무엇이 낫나요? (5) |
AMD7nm |
2020-09 |
3206 |
0 |
2020-09
3206
1 AMD7nm
|
95541 |
컴퓨터 한대에 윈도우10 두개 쓰면서 원격접속 가능할까요? (9) |
영산회상 |
2020-09 |
5124 |
0 |
2020-09
5124
1 영산회상
|
95540 |
이 제품 220v에서 사용가능할지요? (7) |
반성만 |
2020-09 |
2640 |
0 |
2020-09
2640
1 반성만
|
95539 |
CAT6/7 랜툴 문의 (6) |
송상병 |
2020-09 |
4436 |
0 |
2020-09
4436
1 송상병
|
95538 |
gpu에 들어가는 써멀패드? 문의드립니다. (2) |
Psychophysi… |
2020-09 |
3849 |
0 |
2020-09
3849
1 Psychophysi…
|
95537 |
X58보드에서 Window10 설치하면 4TB 하드 인식되는지 여쭤봐요. (10) |
twopaik |
2020-09 |
5974 |
0 |
2020-09
5974
1 twopaik
|
95536 |
다중공유기 포트포워딩 질문 드립니다 (12) |
mvwiz |
2020-09 |
3523 |
1 |
2020-09
3523
1 mvwiz
|
95535 |
노트북 배터리, 꺼 놓아도 방전되는 문제 (12) |
아마데우쓰 |
2020-09 |
12872 |
0 |
2020-09
12872
1 아마데우쓰
|
95534 |
vpn 토렌트 사용 질문... (3) |
이건희 |
2020-09 |
2725 |
0 |
2020-09
2725
1 이건희
|
95533 |
Dell T3610과 1660Ti 호환성 질문 (4) |
Ocean |
2020-09 |
3556 |
0 |
2020-09
3556
1 Ocean
|
95532 |
중고 물품 수입 판매 절차 (2) |
언젠가는 |
2020-09 |
2889 |
0 |
2020-09
2889
1 언젠가는
|
95531 |
X10drl-i 보드 불량 증상 (23) |
YunSeong |
2020-09 |
5118 |
0 |
2020-09
5118
1 YunSeong
|
95530 |
누드 ssd에 씌울 껍데기 추천하실게 있나요 (11) |
ocarina |
2020-09 |
4685 |
0 |
2020-09
4685
1 ocarina
|
95529 |
텔레그램 봇 코딩하실 줄 아시는 분 계신가요 ㅠㅠ (7) |
Elsaphaba |
2020-09 |
6572 |
0 |
2020-09
6572
1 Elsaphaba
|
95528 |
쿨링팬 전류가 서로 달라도 문제 없을까요? (5) |
Lucifer |
2020-09 |
4117 |
0 |
2020-09
4117
1 Lucifer
|
95527 |
주피터 노트북 질문 (4) |
네이쳐 |
2020-09 |
3535 |
0 |
2020-09
3535
1 네이쳐
|
95526 |
hp 2000 노트북 keyboard 구매 (3) |
김효수 |
2020-09 |
3572 |
0 |
2020-09
3572
1 김효수
|
95525 |
PC 에서 라우팅 지정을 했는데도 VPN 으로 통신하는 경우 (5) |
공백기 |
2020-09 |
6692 |
0 |
2020-09
6692
1 공백기
|
썬더볼트도 마찬가지구요
dp to hdmi 칩이 들어있어서 그럴겁니다
반대는 dp 표준화팀에서 설계부터 고려된 부분이라 별도의 칩이 필요없지만
dp to hdmi는 칩으로변환해야되서 발열과 기능(hdcp,hdr)같은 이슈가 많죠
USB-C 멀티허브(?)에서는 열이 유독 심한게 신기하긴 하더라구요.
USB-C to DP / DP to hdmi 케이블이 있으면 어떨지 한번 쯤은 테스트 해보고 싶어지네요.
usb c to hdmi 2.0케이블도 칩이 들어간 커넥터 부분은 뜨겁더군요
집에서는 맨날 구세대만 쓰다 입사해서 USB-C를 처음 써봐서 이런줄 몰랐어요
공기구멍도 없이 빼곡하게 들어차 있는데 뜨겁지 않을 이유가 더 없죠...
2.0 usb나 100M usb ethernet은 열도 안났었는데 말이죠
저도 1년 이상 쓰고 있지만 발열로 인한 문제는 아직 없다라구요
댓글처럼 짐작은 하고 있었으나.. 확실히 이해되네요
감사합니다.
예상보다 많이 높은 계속 잡고있으면 저온화상 입을 수준의 열이 나긴 하니 의아한거죠.
그것도 에어컨 나오는 실내에서 그정도니 의문을 제기하게 되네요
기존의 usb2.0 hub, usb2.0 fast ethernet 의 경우에는 발열이 느껴진적이 없었는데
3.0 으로 오면서 너무 고열이 나는게 아닌가.. 라는 걸 이야기 하고 싶은거죠. 단순하게 고 클럭/고성능이 때문에 나는 열 치고는 너무 심하게 나는거 아닌가? 라는게 제가 하고 싶은 말의 핵심이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