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장스토리지를 활용한 이중화2 (감사합니다 ㅜㅜ 상세내용)

와아오   
   조회 3145   추천 0    

 안녕하세요! 얼마전에 부서 이동을 하여 서버 업무를 맡은 병아리입니다. 문외한이라 어제 기초적인 질문을 드렸는데 답변 주셔서 너무 감사드립니다.

알려주신 내용을 토대로 보유한 장비를 좀 더 확인해보니 쓸만한 것들이었습니다.


현재 : 딥러닝용 리눅스 STAT SSD 2개를 RAID0 구성한 서버 한 대

보유 : 동일 사양 서버 1대, MSA 1050 SAN

계획

1) 현재 서버와 보유 서버를 Disk는 그대로 RAID0에서 1로 바꾼다.

2) SAN에 data영역을 옮긴다.

3) 이중화 클러스터를 추가하여 online서버가 fail 시 다른 서버로 전환하게 한다.


-----

마지막으로 질문 하나 더 드려도 괜찮을까요. n사 지식in처럼 포인트라도 주는 게 있으면 감사표시라도 하고 싶은데 ㅜ


작업 순서를 정리했는데 이게 맞는지, 유의할 건 없는지 말씀 부탁드립니다. 


1. 현재 서버를 이미지나 tar로 전체 백업 해둔다.

2. 현재 서버와 추가할 보유 서버 둘다 포맷하고 RAID0에서 1로 바꾼다.

3. 백업해둔 내용을 덮어 씌운다.

4. 서버엔 OS 영역만 남기고 DATA는 SAN에 FTP로 옮긴다. (여기서 질문! SAN에 옮기면 소스나 설정파일에 mount 경로 수정을 해야겠죠? 몇 년 전에 어떤 개발자 분이 개발하셨는데, 경로 수정해야 하면 잘 모르는 제가 다 뜯어봐야 해서... 경로 수정 안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5. 이중화클러스터를 추가하여 두 서버가 상호 전환하게 한다. 이때 SAN을 공유하는 건 클러스터 업체에 의뢰한다.


감사합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20-09
잘은 모르지만 SAN을 공유하게 하려면 추가로 SAN 스윗치와 SAN 스토리지 전용 소프트웨어를 구매하고 년마다 라이센스를 갱신해야 할 수 있습니다..

재대로 된 솔류션인지
만일 재대로 안되면 어떤 책임을 져줄수 있는지

등등 따질 것이 많아질 수 있습니다..

저지르기 전에 충분히 검토하세요..
     
김황중 2020-09
두대라 센 스위치 굳이 필요 없고
있어도 라이센스 갱신은 필요치 않습니다

클러스터 구축에 대한 책임은
작업한 구축업체에 책임 전가하면 되니 무관합니다
엠브리오 2020-09
1. 이미지로 뜨는걸 추천합니다.
tar로 묶거나 압축하는건 추천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많아지면 푸는데도 시간이 오래 걸리고 에러가 나면 망합니다.
     
와아오 2020-09
감사합니다!! Acronis for Linux 를 알아봐야겠습니다.
          
김황중 2020-09
서버버전 의외로 비싸요...ㅋ
김황중 2020-09
초보자의 눈에 맞춰 정리해 봅니다

0. 현재 사용중인 OS가 클러스터 지원되는점과 사용할 HBA카드의 드라이번 있는것 맞죠?

1. 서버와 HBA 카드를 사용하여 연결한다
(1:1 연결의 경우 보통 2대까진 스위치를 사용하지 않아도 됩니다)

2. 공유할 SAN 스토리지의 필요한 용량 만큼의 볼륨 생성후
해당 볼륨이 보이도록 조닝해준다
(조닝 과정이 조금 어렵긴 합니다)

3. 해당 SAN 볼륨에 연결한 서버의 DATA 영역을 옮겨주고 메인 폴더는 놔두고 옮긴 DATA는 과감히 하단폴더들과 파일을 지워줍니다

4. 두번째 서버도 위의 1, 3 과정을 거쳐 첫번째 서버에서 만든동일 폴더에 DATA  영역을 옮기고 메인 폴더는 놔두고 과감히 지웁니다

5. 두 서버모두 클러스터 서비스 구축후 테스트합니다
이때 기존에 지운 데이타가 있던 폴더로
옮긴 SAN 공유 폴륨의 폴더를 마운트 해주시면 됩니다


주의사항
클러스터 서버 구축시 리눅스 엔지니언 아니라 모르겠는데
윈도서버의 경우는 OS 버전과 업데이트까지 모두 동일하도록 셋팅해야만 추후 사용시 에러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한번만 해보시면 어렵지 않아요...^^
김황중 2020-09
SAN은 FTP로 데이타를 옮길수 없습니다
FTP로 옮기시려면 게이트웨이 서버를 또다시 만들어줘야 하기에
사용할 서버의 연결된 볼륨에 바로 로컬 디스크처럼 복사해주시면 간단합니다

기존에 한대에서 클러스터화를 위한 두대 구축인 경우는
이미지로 작업하면 장치 id 값등이 충돌날수 있으므로
이점 충분히 테스트 하시거나
새로 OS 설치 셋팅하세요
     
와아오 2020-09
와... 알기 쉽게 정리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볼륨 잡고 data copy 후 mount만 잘해주면 되는군요.

설명을 잘해주셔서 말로는 쉽게 정리 됐는데
실제로 해보면서 좀 더 배울 수 있는 기회가 될 것 같습니다.

OS 세팅은 클러스터 업체에 확인 후 유의해서 진행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김황중 2020-09
아뇨 볼륨잡고 마운트 시키고(조닝) 이후 카피 입니다...^^;;


QnA
제목Page 944/5732
2014-05   5269122   정은준1
2015-12   1794207   백메가
2019-11   3493   푸른하늘아래
2018-10   3974   패킷스트림
2021-02   4423   가빠로구나
2011-10   4835   차평석
2018-10   6934   정은준1
2011-10   8833   삽질매니아
2015-06   4483   미담
2022-10   2460   구차니
2019-12   3459   박문형
2024-06   2538   핸즈
2011-11   7179   정헌
2016-07   4618   하늘하늘
2014-02   4354   씨디공장
2021-03   3780   경박한시민
2016-07   3981   초보IT
2018-10   3986   반성만
2019-12   2592   뛰어올라고고
2021-03   5546   guest1
2022-11   1517   명랑
2011-12   4960   이지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