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S hdd 를 일반 desktop에서 사용하기 위한 조언 부탁드립니다.

   조회 5941   추천 0    

십수년간 서버 하드웨어랑 담쌓고 살다가 최근들어 코로나의 영향으로 쓸때없는 잉여력이 생긴 덕분인지 

문득 SAS DISK를 써 보고 싶어졌습니다.

근데 예전 SCSI 쓸땐 ide에 비해 특별히 어려운게 없었던것 같은데 SAS는 뭔가 좀 공부가 필요한것 같아 보여서요..

관련해서 몇가지만 질문 드리겠습니다.


1. LSI 9300-i8 계열은 일반 데스크 탑에서 사용에 별다른 문제가 없는지요? 예전 글들을 보면 몇몇 호스트카드들이 일반 데탑에 문제가 있는것 같아서요..

  RAID를 쓰지 않고 그냥 하나하나 일반 하드처럼 쓰려는데 특별한 문제가 있는지요?

  hdd는 1~2개만 장착할 생각입니다. (가격때문에... 아무래도 하나만 쓸 듯 합니다..)

  호스트 카드 케이블등은 그냥 중국 알리발 짝퉁 생각중입니다.


2. 현재 쓰는 보드에서 남는 PCIex16  lane slot 에 실제 동작하는것은 4 lane 뿐입니다.

   이경우 LSI 9300-i8 계열은 4 lame 사용시 어떻게 동작하나요?

   AMD B550 보드인데 인텔보드 아닌데 써도 되려나..


3. 하드 한두개 쓸거라 사실 8포트 짜리가 필요 없는데 아마존에서 보면 왜 9300-i4 모델이 더 비싼건지 모르겠어서
   9300-i4 모델에만 HBA 란 말이 써있는데 이것 때문인듯 한데.. 이건 무슨 기능인지요?


4. 혹시 저의 사용목적에 적합한 host controller 등이 있으면 추천 부탁드리겠습니다.


끝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고수님들의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제온프로 2020-10
SAS 하드를 PC에서 사용하는 것을 권장하는 편입니다..
SAS 하드의 안정성과 내구성 높습니다.. PC에서도 SAS 하드 퀄리티를
구현하려면.. SATA Enterprise 하드를 사용해야 하는데 가격이 많이 비싸죠..

1. SAS Raid controller는 Firmware Rom이 좀 큽니다.... 일반보드에서 않될 수 있어요..
    PC용 보드도 좀 좋은 보드는 잘 됩니다...
    LSI 나 아답텍 이런 써드파티 제품들이 잘 됩니다.. HP용 델용은 자신들의 좀 다른
    Firmware를 가지고 있어 않되는 확률이 높습니다..

2. PCI 3.0 x4 에서도 잘 됩니다... 하드드라이브의 전송 대역폭은 PCI-e에 비하여 작죠 .
    AMD보드 / 인텔보드 서로 다르지 않습니다..
    구지 다르다면.. 저가형보드과 고급보드들이 하드웨어 지원이
    차이가 좀 있겠죠...

3. 가격의 상인마다 상황마다 다릅니다... 상식적으로는 4port가 좀 저렴하죠..
    케이블 규격이 다양해서 처음은 너무 헷갈리죠...

4. LSI 9300  씨리즈는 12G 컨트롤러로서 적은 수량의 SAS/SATA 하드를 쓰실 거라면..
    6G 컨트롤러로도 충분하고도 남습니다..
    Dell H310이 저렴하고 하드웨어 호환성이 좋습니다... 하드를 추가 하면 Virtual Drive로 잡아줘야..
    인식하는 귀찮음이 있죠.. Firmware를 IT-Mode 로 바꿔어 주면.. 하드를 꽂는데로 그냥 인식합니다...

SAS/Raid 컨트롤러의 가장 큰 목적은
  데이터 보호, 유지에 있습니다... 이 목적이 가장 근몬 목적이고.. 또한 하드드라이브의 성능을 증가시킬수 있습니다..
  중대성 서버에서는 가장 중요한 존재가 되지요..
  Raid 5, Raid 6 / Raid 50 / Raid 60 등.... 하드드라이브의 고성능 퍼포먼스를 만들고.. 톨러런스를 허용하여..
  데이터의 안정성를 배가시켜..  서버의 무중단 서비스를 추구합니다..
     
생겼으면 2020-10
좋은 정보 정리 감사드립니다.
H310은 쓰신것 처럼 뭔가 좀 귀찮은 부분이 있는것 같아서 LSI 것을 알아 보고 있었습니다.
박문형 2020-10
3. SAS HBA 혹은 SAS RAID카드는 8CH 이 표준입니다.. 많이 생산하죠..

  그에 비해  4CH는 적게 생산하기에 때에 따라서 심하면 4CH 이 더 비쌀수도 있습니다..

  8CH과 4CH의 가격 차이가 적은 경우가 보통입니다..

( 새 제품에서 8CH 카드가  4CH 카드 가격의 두배이다 가 아니고 그 정도로 가격 차이가 나지 않는다..)


좀 편하게 구축하시려면 돈 들여서라도 핫스왑베이 케이스를 구하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RAID 시스템은 무중단 서비스를 위해 만들어 진 것이다라고 볼수 있기에 파워의 이중화  /  핫스왑 디스크 시스템등이 들어갑니다..

파워나 하드가 고장나도 장비를 끄지 않고 문제된 부품을 교환할 수 있게 합니다..


RAID CARD 나 SAS HDD는 서버용 부품이라 열이 많이 나기에 냉각 기능을 강화해야 합니다..(FAN 달기)

SAS HDD는 시끄럽기까지 하지요..
     
생겼으면 2020-10
역시 생산가 차이였군요.
그리고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허인구마틴 2020-10
간단합니다 ㅎ
레이드 카드 달고
케이블 꼿으면 됩니다
     
생겼으면 2020-10
네. 그래도 돌다리도 두드려 보는게 나아서 돈도 많이들어가는 지라..
향촌 2020-10
레이드카드 저렴한것 중에 IT모드 지원되는 카드로 구하셔서 SAS 연결 하시면 됩니다.
다만 SAS 연결 케이블이 하드에 꼽히는 부분이 약간 다르므로 전용 케이블로 연결해서 사용하면 되구요.
일반 SATA 하드 사용하는것과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제 작업용 PC가 SAS 하드 두개 달아서 사용중입니다.
     
생겼으면 2020-10
IT 모드가 non RAID로 쓰는 것인가 보군요.
정보 감사드립니다
the촌놈 2020-10
레이드카드 필요없고요. 장터에 말도 안되게 저렴하게 올라오는 모스월드님의 9212-4i가 딱이죠. 아무 보드나 다 붙습니다.
어댑터에 있는 포트가 SATA 이므로 SATA to SAS 케이블을 필요한 갯수만큼 구입하면 됩니다. 2.5인치 SAS HDD를 사용할 것이라면 벨로시랩터에 붙어 있는 아이스팩만 구해서(아니면 중고 벨로시랩터 가장 저렴한 걸 사서 분해) 장착해주면 일반 SATA HDD와 똑같이 SATA케이블과 SATA파워로 사용할 수 있고요. 제가 이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데 일단 2.5인치 SAS HDD가 고성능이기도 하고 저전력에 더 조용합니다. 거기다 신호건 파워건 SATA 케이블링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서 따로 SAS케이블을 준비할 필요가 없습니다. 덕분에 다른 SAS HBA들이 놀고 있는....

근데 15k 쓰실 것 아니면.... 벨로시랩터 1TB나 500GB 쓰세요. 그 이상의 용량을 쓰실 것이라면 SAS뿐이지만 1TB 이하에서 벨로시랩터보다 나은 SAS HDD는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1TB는 구하기가 좀 어려울 수 있지만 500GB는 어렵지 않을겁니다.
     
생겼으면 2020-10
아 이런 제품도 있군요. 참고하겠습니다.
정보 감사드립니다.
죠슈아 2020-10
SAS 디스크는 SATA에 비해서 디스크 내에 있는
컨트롤러가 커멘드 처리를 SATA에 비해서 많이 빨리 처리하는 구조로 돠어 있기때문에 선호되었고 기업용으로 생간되어서 SATA에 비해서 신뢰성이 좋다고 할 수 있습니다 구래서 당연히 가격도 비싸죠.

하지만 대스크탑에서 개인용 피시에서는 SAS HDD의
이러한 장점이 별 의미가 없습니다
소음 발열이 SATA에 비해서 크고
속도는 15000rpm SAS HDD라고 해도 일반 7200rpm SATA HDD를 사용하는 것에 비교해서 체감속도 차이는 미미합니다

SSD를 고려하시는 것이 더 나은 선택 입니다
nvme ssd 와 pcie convertor 보드에 장착 하시면
SAS HDD 보다 더 나은 결과를 기대 하실수 있습니다
     
생겼으면 2020-10
네 저도 성능을 타겟으로 한건 아니고
그냥 개인적 호기심과 나중에 NAS쪽에 써먹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정도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사실 그정도로 시작하기엔 좀 과한것 같기도 해서 ... 좀 왔다갔다 하네요..
좋은 의견 감사드립니다.
          
죠슈아 2020-10
SAS HDD에 대한 추억 과 미련. 이시군요. ㅎㅎ
민사장 2020-10
시끄럽고 열나고 가정에서는 비추입니다.
특히 HDD는 고열이 지속되면 뻑날 확률이 매우 높아집니다. 이건 제가 고열로 HDD 몇개 보내보고 알았습니다.
가정에선 HGST SATA HDD로 RAID 1 걸고 쓰는게 가성비 & 가심비 면에서 가장 좋습니다.
     
the촌놈 2020-10
요즘 SAS HDD는 예전의 그 시끄럽고 열나던 SCSI HDD와는 완전히 다릅니다. 성능으로 보면 SSD가 갑이지만.... SAS도 쓸만해요. 오히려 가정에선 RAID가 별로 의미 없죠.


QnA
제목Page 3538/5706
2015-12   1666537   백메가
2014-05   5131797   정은준1
2005-10   5821   노하석
2005-09   5821   김낙철
2008-04   5821   한동훈
2014-12   5821   ittutti
2006-02   5821   안창준
2006-08   5821   임익현
2007-10   5821   유사용
2017-02   5821   질문학생
2005-08   5821   이승민
2013-05   5821   서울I김동수
2005-07   5821   배정한
2005-10   5821   우승엽
2015-06   5821   호이호이호
2019-06   5821   스무프
2005-08   5821   홍현철
2005-06   5821   임민규
2005-12   5821   소현준
2007-08   5821   윤호용
2008-01   5821   방효문
2005-06   5821   양국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