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90395 |
25 |
2015-12
1790395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5417 |
0 |
2014-05
5265417
1 정은준1
|
96021 |
ESXI 6.5 설치시 레이드 인식문제 (3) |
전진 |
2020-10 |
4683 |
0 |
2020-10
4683
1 전진
|
96020 |
[해결-7.2K] 7K 회전율은 사실일까요? (5) |
김황중 |
2020-10 |
4125 |
0 |
2020-10
4125
1 김황중
|
96019 |
[ 집 앞 마당(야외) 설치용 스피커 추천 문의 ] 방한/방열/방수등 가능한 모델 (2) |
전설속의미… |
2020-10 |
2506 |
0 |
2020-10
2506
1 전설속의미…
|
96018 |
은퇴후 노후자금은 얼마나 ? (8) |
화란 |
2020-10 |
3265 |
0 |
2020-10
3265
1 화란
|
96017 |
3647같은 경우는... (7) |
GPGPU |
2020-10 |
4556 |
0 |
2020-10
4556
1 GPGPU
|
96016 |
HDD carrier 가 무엇인가요? (2) |
fiento |
2020-10 |
2637 |
0 |
2020-10
2637
1 fiento
|
96015 |
HPE HDD Disk Carrier 종류 정리 (3) |
김황중 |
2020-10 |
3668 |
1 |
2020-10
3668
1 김황중
|
96014 |
밑에 델 C1100질문 올렸는데 추가 질문입니다... (2) |
jack33 |
2020-10 |
2729 |
0 |
2020-10
2729
1 jack33
|
96013 |
안녕하세요, Smart Array P420 Controller 호환성 여부 질문드려요 (2) |
컴맹주니 |
2020-10 |
2673 |
0 |
2020-10
2673
1 컴맹주니
|
96012 |
2cpu 메인보드에 수냉쿨러 하나로 두개 연결 할 수 있나요 ? (7) |
잇킁 |
2020-10 |
6148 |
0 |
2020-10
6148
1 잇킁
|
96011 |
c1100 하드 인식 질문드립니다. |
jack33 |
2020-10 |
2745 |
0 |
2020-10
2745
1 jack33
|
96010 |
윈도우 폴더에 debug파일이 몇개가 생겼습니다. (2) |
pibang |
2020-10 |
3925 |
0 |
2020-10
3925
1 pibang
|
96009 |
프린터에 따라서 문서에서의 표 테두리가 다르게 출력 (5) |
pibang |
2020-10 |
2453 |
0 |
2020-10
2453
1 pibang
|
96008 |
administrator 계정 로그인시 블랙스크린 (5) |
프랑 |
2020-10 |
3385 |
0 |
2020-10
3385
1 프랑
|
96007 |
SATA to SAS 어댑터 질문좀..... (5) |
FreeBSD |
2020-10 |
3400 |
0 |
2020-10
3400
1 FreeBSD
|
96006 |
adobe audition 프로그램 사용해보신 분 계시나요? 녹음에 대한 문의 (4) |
허인구마틴 |
2020-10 |
3788 |
0 |
2020-10
3788
1 허인구마틴
|
96005 |
방음랙은 어떤가요.... (26) |
코더74 |
2020-10 |
4651 |
0 |
2020-10
4651
1 코더74
|
96004 |
[질문] One more Step 보안설정화면,클라우드플레어.... (3) |
RIGIDBODY |
2020-10 |
5408 |
0 |
2020-10
5408
1 RIGIDBODY
|
96003 |
SD카드 복구 프로그램 가장 유명한게 뭔가요? (10) |
어훕 |
2020-10 |
3658 |
0 |
2020-10
3658
1 어훕
|
96002 |
엔비디아 단속법? (7) |
GPGPU |
2020-10 |
5586 |
0 |
2020-10
5586
1 GPGPU
|
한쪽으로 치우쳐질 경우(즉 건물내에서 수신할 경우) GPS 정확도가 떨어지게 됩니다.
여러 번 측정해서 칼만 필터로 한 번 보정해보시고
그 다음엔 지도를 이용해서
(지금 장치가 건물 내에 있다면)
가장 가까운 건물로 위치를 특정하거나...
하는 수 밖에 없습니다
검색해보니 몇몇글들이 보이고 다양한 기술들이 존재하는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정답을 알고 있는데 부정확한 계산을 할 필요가...
그리고, 대형건물의 유리창은 금속성분으로 코팅된 경우가 종종 있어서 신호를 잘 잡지 못합니다.
일반적으로 민간이 사용하는 C/A코드는 오차 30m 수준으로 보시면 되고, 몇가지 기술을 더 붙이면(대부분의 GPS수신기가 지원) 50cm 이하의 정밀도 구현은 쉽게 하실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요즘 스마트폰이야 GPS, GLONASS, 베이더우, QZSS의 신호를 다 받을 수 있는 것들이 많아서 정확도가 높기는 하죠.
예전에 GPS신호만 받던 단말기를 사용한 적이 있는데, 걷기만 해도 확실히 길 따라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일단 테스트겸 하나 달고 달려봐야겠습니다 허허허
위성의 세슘시계에서 동기된 시간정보가 날아오는거라 거라 비교적(?) 정확할거라는 생각이 드네요.
전파가 대기를 뚫고 들어오는 뒤틀림+의도된 잡음에 의한 오차와 설비의 운용 환경 한정때문에 30M 정도의 오차가 발생한다고 하지만,
이게 위성 고도와 현 위치의 표고차에서 C코드 기준 +\- 30미터의 흔들림이라 생각하면 그다지 차이가 난다고 볼수는 없겠습니다.
뭐~시계로 쓰려고 하는거니까 더더욱이요.
서베이스테이션같은 수센티미터 수준의 정확도를 지니는 GPS 수신기도 고정된 상태에서 운용하는 설비인지라,
주변의 측지 참조점 확인하셔서 정확한 위치를 알고 계시면 정확한 시간을 뽑아낼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차라리..... GPS, GNSS, 갈릴레오, 베이더우 이렇게 중복해서 시간정보를 받으시고, 촤대값과 최소값을 실시간으로 비교해서 안정된 값을 찾는다면 절대시계 비슷하게 써먹을수 있지않겠나 싶은데요?
다만 부정확한 위치 정보때문에 그렇습니다. 보정 가능한 방법을 찾고도 있고 배터리 달아서 하늘이 잘보이는 야외에서 한번 달려볼 생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