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기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조회 6668   추천 0    

안녕하세요.
이번에 독립하면서 공유기를 사려고 합니다.
인터넷은 500M(기가라이트)이며, 본가에 있는 ASUS RT-AC68U 공유기로 WIFI 범위 테스트를 해보았습니다.
모든방에서 최소2개이상 떠서 만족하고 있습니다.

제가 고민하고 있는 부분은 ASUS RT-AC68U가 현재 19만원정도인데, 2014년에 나온 모델로 확인이 되더라고요.
이왕이면 같은 WIFI 범위 이상되는 신형으로 구매하고 싶은데, 도통 WIFI5, 6차이를 봐도 뭔지 이해가 안됩니다.
그래서 2cpu 회원님들께서 비슷한 가격이이거나 조금 더 줘도 상관없으니, WIFI 범위가 비슷하거나 이상인 모델로 추천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남은 주말 잘 보내십시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the촌놈 2020-11
단일 기기 WIFI 커버리지는 AC68U를 능가하기 어렵습니다. 어차피 국내법상 출력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이죠. 커버리지를 넓히려면 메쉬로 가야 합니다. 아니면 각 방에 AP를 설치하든지요.
     
라일라이 2020-11
답변 감사합니다, AC68U가 나온지 오래됬는데도 WIFI 커버리지가 탑급인가 보네요 ㅎㄷㄷ
          
서완호 2020-11
장확히 말하면 그 이상급의 기기르 가도 범위는 거의 동일합니다
우리나라 출력이 10mw 로 알고있는데 이걸 아무리 비싼것을 사신들 지금 쓰시는 AC68U(국내법으로 10mw 로 제한이 걸린) 이상으로 늘어나지 않을겁니다
               
라일라이 2020-11
그러면 혹시 가격이 비슷하거나 조금 높아도 되니 비슷한 WIFI 커버리지를 가진 최근 상품으로 추천 좀 해주실수 있을까요?
                    
박문형 2020-11
wifi 출력은 환경에 따라 다 다릅니다..

집에 철근이 많이 들어가거나 콘크리트 벽이 두껍거나 철문이 많거나 하면 전파가 통과해도 많이 약해지기에

실제 재대로 wifi 공사하는 곳은 wifi 측정 장비로 곳곳의 음영지역을 다 채크 합니다..

그리고 안테나의 종류에 따라 틀려지기도 하고요..

가정에서는 사실 그런 것까지 따질 필요는 없습니다..
               
엠브리오 2020-11
                    
서완호 2020-11
대강 두르뭉슬 하게 알고있었는데 상향이되었군요.....
박문형 2020-11
최신 wifi 장비도 좋지만 그렇게 되면 현재 사용하고 있는 다른 무선 디바이스(노트북 헨드폰) 들도 같은 급의 wifi로 올려 주어야 합니다..

즉 통째로 다 바꾸어야 한다는 이야기도 되는데 그렇게 바꾸고 나서 무선의 품질은 더 안 좋아질 수도 있습니다..

신형 wifi 장비에서 거론되는 것은 AC가 지원되냐 하는 것이며 AC가 지원되면 무선 공유기 (라우터)의 총 wifi 대역폭이 기가 를 넘어

기가 단위로 표시하게 됩니다..


ASUS 공유기를 좋아하신다면 ASUS 최신형 공유기 스팩들도 확인해보세요..
     
라일라이 2020-11
컴알못이라서 질문드립니다.
제가 어떤 공유기의 스펙을 확인해보면,,

유무선 / 기가비트 / AX5400(Wi-Fi 6) / 최고무선속도: 4804Mbps / 라우터형 / 전원플러그형 / 트리플 코어 / 1.5 GHz / RAM: 512MB / FLASH: 256MB / WAN: 1포트(기가비트) / LAN: 4포트(기가비트) / USB 3.0: 1개 / 듀얼 밴드 / 안테나: 4개 / Mesh / MU-MIMO / IPv6 / IPTV 지원 / DDNS / DLNA / 모바일 관리 어플 / VPN / QoS / 빔포밍 / 멀티 SSID / 모바일 UI / LED 라이트 / OFDMA / 자녀보호기능 / 컨트롤러 / 무선 에이전트 / 유선 에이전트

이런식으로 나타나는데, 여기서 WIFI 커버리지는 어떤것 인가요?
     
박문형 2020-11
https://quasarzone.com/bbs/qc_user/views/52241?group_id=info&keyword=m.2

일종의 리뷰이긴 합니다만 참조하세요..
박문형 2020-11
WIFI 커버리지에 대한 데이터는 없다라고 생각합니다..

커버리지라고 함은 어떤 장비를 놓고 다른 장비로 데이터 통신을 했을때 이상없이 통신 될때의 거리를 말하는 것으로 생각합니다..

이때 테스트 하는 장비의 입출력 크기 그것을 수신하는 장비에서도 입출력의 크기 데이터 통신이 이상없이 통신했을때의 정의

이런 것들이 다 정의 되고 해야 합니다만

그런 표준적인 것은 없을 것입니다..

그리고 그런  데이터가 있다고 해도 위에서 말씀 드린 것과 같은 이유로 집에 갔다 놓아도 잘 동작한다고 해도 실제로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위의 스팩을 가진 공유기를 구해서 설치했을때 저런 스팩의 데이터를 재대로 입출력이 가능한 디바이스들은 있으신가요??

즉 예를 들어 노트북을 무선으로 사용하실때 그 노트북이 AC를 지원하는가요??

http://prod.danawa.com/info/popup/termDicPopup.php?&searchText=802.11%20n%2Fac%20%EB%AC%B4%EC%84%A0%EB%9E%9C

다나와에서 찾은 무선 스팩자료입니다..

창을 작게 하고 끝까지 내려봐야 전체적인게 다 나옵니다..



무선통신시 양쪽이 다 지원해야 그 속도로 동작합니다..

한쪽의 스팩이 낮으면 양쪽이 같은 재일 낮은 스팩으로 동작합니다.


즉 재대로 다 최신의 무선 통신을 구축하려면 사용 디바이스까지 다 바꾸어야 하냐는 생각도 해봐야 합니다..

보통은 그렇게까지는 안하지요..
박문형 2020-11
https://www.cisco.com/c/ko_kr/products/collateral/wireless/catalyst-9100ax-access-points/datasheet-c78-741988.html

Wifi 의 표준 이라고 볼수 있는 시스코 장비의 스팩입니다..

밑에 보면 안테나 출력에 대해 나와 있는데  저런 식으로 표시가 되어야 커버리지를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저런 자료를 오픈할 수 있다는 것은 그만큼 자신감이 있다는 것을 뜻합니다..

그러나 새장비 가격은 개인이 구하기에는 그리고 셋팅을 재대로 하기는 넘사벽입니다..
훔냥 2020-11
가정용 공유기 수준에서는 다 고만고만합니다. ac1900p gt5300 ac88u 등 써봤지만 커버리지가 극적으로 좋아지진 않아요. 서완호님께서 말씀하셨듯 전파법 때문에 그렇구요.

아수스 쓰고 계시니 메쉬로 넘어가시는게 나을 겁니다. ap만큼은 아니더라도 그럭저럭 쓸만합니다.
박문형 2020-11
이번 댓글에서 저는 전파법 이야기는 안했고요..

어기면 그리고 걸리면 벌금이 셉니다.. (몇백 만원 수준으로 압니다..)

저는 개인적으로는 인터넷회사들의 기본대여 되는 유무선 공유기를 추천합니다..

이것들은 우선은 그 회사 인터넷선과 인증된 장비들인지라 그리 쉽게 죽거나 약하거나 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셋팅이 많으신 분들은 비추천입니다..

그 외 국내 공유기 시장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IPTIME 정도면 무난하리라고 생각합니다..


매니아 급으로 가시게 되면 그리고 투자에 대한 문제가 없다면 기업용 장비를 쓰는 것도 좋습니다..
     
훔냥 2020-11
죄송합니다. 낙네임을 잘못봤네요. 수정하겠습니다~
     
라일라이 2020-11
여러 답변 감사합니다
제가 공부를 많이 해야겠네요ㅎ
남은 주말 잘 보내십시요~ :)
임상현lsh 2020-11
대한민국 법에 저촉되지 않는 모델이라면... 복불복입니다.

어차피 그모델 고급모델이라 지금 쓰셔도 딱히 처지는것도 없을테니 그냥 쓰시던거 같은 모델로 추가 구매하는게 나을겁니다.
     
라일라이 2020-11
답변 감사드립니다.
하이넥스 2020-11
WIFI5 에서 WIFI6 지원  공유기로 변경 해서 사용중 입니다 이전 입타임 2004NS에서 샤오미 AX3600인가로
교체 했습니다 안방 화장실에서 WIFI6 지원하는 노트 10기준 2.4는 두칸 정도 나오나 느려고 5G는 아예 연결 불가 였는데 5G가 두세칸 뜨고
벤치미로 속도 체크시 50-60메가 나옵니다
공유기 바로  옆에선 480메가 풀 스피드 급으로 나옵니다 KT500메가 광 사용 기준 입니다
그리고 집이 5층 인데 주차장 에서도 공유기 잡힙니다
     
라일라이 2020-11
참고하겠습니다!
RIGIDBODY 2020-11
음영없이 하시려면 공유기 1대로는 안되요, 여러대, 즉 메쉬나 AP로밍이나 둘중 하나인데 비용이 문제죠. 고급 공유기면 그만큼 안정적이고 접속장비가 많아도 뻗는 일이 적겠죠. 예산이 넉넉하고 공유기 장애등으로 재부팅등이 번거롭다면 기업용 AP를 방마다 설치하는게 답일겁니다.  하지만 AP컨트롤러도 설치 해야하고 장비 셋팅 난이도가 높은게 흠이죠. 물론 가격대도 높고요.
     
라일라이 2020-11
AC68로 테스트 해봤는데, 40평대집인데도 거실에 두니 잘터지더라고요ㅎ
서완호 2020-11
결론
공유기 1대만가지고는 국내전파법에 의해 한계가 있다
커버리지는 주변환경에 따라 다르다 (아무것도없는 공터랑 집안이랑 범위가 크게 차이가 나듯)
와이파이 5 6 는 버전인데 사용 주파수에 따라 통달거리나 관통성능은 다 다르다(어떻게 하나라고 딱 집어 말할 수 없다)

저는 이 두가지 상황으로 봤을때는 IPTIME 벽부 콘센트 형 매쉬 이더넷이 차라리 편하실겁니다
     
라일라이 2020-11
예전에 IPTIME 기본모델 사용했을 때, 콘센트형 사용했었는데 ASUS로 충분하여 한대로 사용해야겠네요ㅎ
김승현1 2020-11
댓글들이 심층적으로 나갔는데
본문에 대한 답변을 심플하게 해보자면,

1. 정말 단순하게 와이파이5, 6는 최대속도 규격의 차이

2. 랜카드나 휴대폰이 6를 지원한다면 바꿔도 좋음

3. 랜카드 류를 6지원류로 바꾸실 생각이 있다면 바꿔도 좋음

4. 2,3번 전부 해당 없으시면 그냥 쓰던거 쓰십시오
지금 환경에서도 충분해 보입니다
     
라일라이 2020-11
그냥 사용하는 방안으로 해야겠네요.
저는 단순히 AC68이 WIFI5이고, WIFI6이 최근에 나와서 새로운 모델들이 많길래 커버리지만 비슷하다면 WIFI6을 쓰려고 했던 것이 주 목적이었네요ㅎ
덕분에 여러가지 의견들도 많이 들었네요ㅎ
박문형 2020-11
외산 공유기들은 한국화된 전용 펌웨어를 사용하거나 셋팅 메뉴 안에 사용 국가를 지정 합니다..

사용 국가를 바꿈으로써 입출력의 세기와 사용 주파수를 정의합니다..

현재 사용하는 공유기의 국가가 메뉴가 있다면 한국인지 확인해보세요
     
라일라이 2020-11
안그래도 ac68 현재 미국으로 바꿔서 사용하고 있습니다ㅎ
그러니 확실히 와이파이가 세게 나오더라고요ㅎ


QnA
제목Page 903/5725
2015-12   1771557   백메가
2014-05   5246220   정은준1
2011-02   8853   병맛폰
2004-06   8853   민경섭
2004-02   8853   차평석
2003-09   8853   강경모
2003-07   8853   이영식
2003-12   8852   박용선
2003-09   8852   강영호
2010-11   8852   코뿔사냥
2015-09   8852   프리다이버
2017-03   8852   무아
2011-05   8852   2CPU최주희
2004-06   8851   오상훈
2003-07   8851   박규현
2016-09   8850   은서아빠
2011-05   8850   임승권0
2004-01   8850   박찬일
2016-05   8850   김건우
2011-06   8850   데이비드
2003-10   8849   장현모
2004-03   8849   장승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