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71557 |
25 |
2015-12
1771557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46220 |
0 |
2014-05
5246220
1 정은준1
|
96459 |
IBM Intellistation Z Pro 6223 케이스에 메인보드 업그레이드 가능할까요??? (2) |
병맛폰 |
2011-02 |
8853 |
0 |
2011-02
8853
1 병맛폰
|
96458 |
ATI 비디오 카드 관련 질문입니다. (7) |
민경섭 |
2004-06 |
8853 |
7 |
2004-06
8853
1 민경섭
|
96457 |
[re] ip로 컴퓨터 검색이 안될 때 |
차평석 |
2004-02 |
8853 |
76 |
2004-02
8853
1 차평석
|
96456 |
모니터에 관한 질문인데요.. (2) |
강경모 |
2003-09 |
8853 |
24 |
2003-09
8853
1 강경모
|
96455 |
GIGABYTE GA-7DPXDW-P (2) |
이영식 |
2003-07 |
8853 |
13 |
2003-07
8853
1 이영식
|
96454 |
라데온 8500에 대해서 질문합니다 (5) |
박용선 |
2003-12 |
8852 |
38 |
2003-12
8852
1 박용선
|
96453 |
비교적 조용한 스카시 하드는 어떤게 있는지?? (4) |
강영호 |
2003-09 |
8852 |
11 |
2003-09
8852
1 강영호
|
96452 |
PCOIP HOST PCIE 카드 (1) |
코뿔사냥 |
2010-11 |
8852 |
0 |
2010-11
8852
1 코뿔사냥
|
96451 |
인텔 랜카드 PCIE 1x 의 최고봉은 어떤 건가요...? (11) |
프리다이버 |
2015-09 |
8852 |
0 |
2015-09
8852
1 프리다이버
|
96450 |
[완료] LG X Power 스마트폰 먹통 (4) |
무아 |
2017-03 |
8852 |
0 |
2017-03
8852
1 무아
|
96449 |
SD 메모리도 부팅영역 만들수 있는지요 (5) |
2CPU최주희 |
2011-05 |
8852 |
0 |
2011-05
8852
1 2CPU최주희
|
96448 |
메인보드 미세저항 떨어졌을때 수리하는 곳? (6) |
오상훈 |
2004-06 |
8851 |
3 |
2004-06
8851
1 오상훈
|
96447 |
[질문]DNS 구성에 대해 궁금한점 (5) |
박규현 |
2003-07 |
8851 |
37 |
2003-07
8851
1 박규현
|
96446 |
FTP 파일 전송 하는대 속도 제한이 걸리는거 같은대요.. 고객서버 관리자는 제한 건… (7) |
은서아빠 |
2016-09 |
8850 |
0 |
2016-09
8850
1 은서아빠
|
96445 |
HP 마이크로서버 PUS 150W 버전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1) |
임승권0 |
2011-05 |
8850 |
0 |
2011-05
8850
1 임승권0
|
96444 |
3M에서 나온 열전도 테잎 따로 구할 방법이 없을까요? (3) |
박찬일 |
2004-01 |
8850 |
19 |
2004-01
8850
1 박찬일
|
96443 |
윈도우계열은 리눅스처럼 sshpass 같은거써서 원격서버에 자동접속 및 원격서버의 … (3) |
김건우 |
2016-05 |
8850 |
0 |
2016-05
8850
1 김건우
|
96442 |
서버 백업용하드 추천 (7) |
데이비드 |
2011-06 |
8850 |
0 |
2011-06
8850
1 데이비드
|
96441 |
[질문] 2466n-4m사용시 파워서플라이는 어떤것을.??? (8) |
장현모 |
2003-10 |
8849 |
7 |
2003-10
8849
1 장현모
|
96440 |
스카시 하드로 os를 설치하려면 어떡해야 하나요?(꼭 도와주세요) (8) |
장승현 |
2004-03 |
8849 |
9 |
2004-03
8849
1 장승현
|
우리나라 출력이 10mw 로 알고있는데 이걸 아무리 비싼것을 사신들 지금 쓰시는 AC68U(국내법으로 10mw 로 제한이 걸린) 이상으로 늘어나지 않을겁니다
집에 철근이 많이 들어가거나 콘크리트 벽이 두껍거나 철문이 많거나 하면 전파가 통과해도 많이 약해지기에
실제 재대로 wifi 공사하는 곳은 wifi 측정 장비로 곳곳의 음영지역을 다 채크 합니다..
그리고 안테나의 종류에 따라 틀려지기도 하고요..
가정에서는 사실 그런 것까지 따질 필요는 없습니다..
http://iptime.com/iptime/?page_id=174&nType=UFFscUh5dURlaTNsU1BwZGlNV2czcWpRb3B1QldXK2daZ3I0bjBZdlB0TkhIQTZ2eTV0dUR5cFhTemloZHA2QUlmS0VNcjhNTUtRdlhUUEd4c2FhV2VXWTQrYXF0MVZkYVNOVlVVRmIwVHFUdlU4UUlVdnQzZnhxbWViSk1KM1dyVUN2UEhmbzk2RTZvaDIwU2l0bVhER09Iekk2SlkyTldzbHQ2dFNvYWd3MjNpRVExWG89
즉 통째로 다 바꾸어야 한다는 이야기도 되는데 그렇게 바꾸고 나서 무선의 품질은 더 안 좋아질 수도 있습니다..
신형 wifi 장비에서 거론되는 것은 AC가 지원되냐 하는 것이며 AC가 지원되면 무선 공유기 (라우터)의 총 wifi 대역폭이 기가 를 넘어
기가 단위로 표시하게 됩니다..
ASUS 공유기를 좋아하신다면 ASUS 최신형 공유기 스팩들도 확인해보세요..
제가 어떤 공유기의 스펙을 확인해보면,,
유무선 / 기가비트 / AX5400(Wi-Fi 6) / 최고무선속도: 4804Mbps / 라우터형 / 전원플러그형 / 트리플 코어 / 1.5 GHz / RAM: 512MB / FLASH: 256MB / WAN: 1포트(기가비트) / LAN: 4포트(기가비트) / USB 3.0: 1개 / 듀얼 밴드 / 안테나: 4개 / Mesh / MU-MIMO / IPv6 / IPTV 지원 / DDNS / DLNA / 모바일 관리 어플 / VPN / QoS / 빔포밍 / 멀티 SSID / 모바일 UI / LED 라이트 / OFDMA / 자녀보호기능 / 컨트롤러 / 무선 에이전트 / 유선 에이전트
이런식으로 나타나는데, 여기서 WIFI 커버리지는 어떤것 인가요?
일종의 리뷰이긴 합니다만 참조하세요..
커버리지라고 함은 어떤 장비를 놓고 다른 장비로 데이터 통신을 했을때 이상없이 통신 될때의 거리를 말하는 것으로 생각합니다..
이때 테스트 하는 장비의 입출력 크기 그것을 수신하는 장비에서도 입출력의 크기 데이터 통신이 이상없이 통신했을때의 정의
이런 것들이 다 정의 되고 해야 합니다만
그런 표준적인 것은 없을 것입니다..
그리고 그런 데이터가 있다고 해도 위에서 말씀 드린 것과 같은 이유로 집에 갔다 놓아도 잘 동작한다고 해도 실제로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위의 스팩을 가진 공유기를 구해서 설치했을때 저런 스팩의 데이터를 재대로 입출력이 가능한 디바이스들은 있으신가요??
즉 예를 들어 노트북을 무선으로 사용하실때 그 노트북이 AC를 지원하는가요??
http://prod.danawa.com/info/popup/termDicPopup.php?&searchText=802.11%20n%2Fac%20%EB%AC%B4%EC%84%A0%EB%9E%9C
다나와에서 찾은 무선 스팩자료입니다..
창을 작게 하고 끝까지 내려봐야 전체적인게 다 나옵니다..
무선통신시 양쪽이 다 지원해야 그 속도로 동작합니다..
한쪽의 스팩이 낮으면 양쪽이 같은 재일 낮은 스팩으로 동작합니다.
즉 재대로 다 최신의 무선 통신을 구축하려면 사용 디바이스까지 다 바꾸어야 하냐는 생각도 해봐야 합니다..
보통은 그렇게까지는 안하지요..
Wifi 의 표준 이라고 볼수 있는 시스코 장비의 스팩입니다..
밑에 보면 안테나 출력에 대해 나와 있는데 저런 식으로 표시가 되어야 커버리지를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저런 자료를 오픈할 수 있다는 것은 그만큼 자신감이 있다는 것을 뜻합니다..
그러나 새장비 가격은 개인이 구하기에는 그리고 셋팅을 재대로 하기는 넘사벽입니다..
아수스 쓰고 계시니 메쉬로 넘어가시는게 나을 겁니다. ap만큼은 아니더라도 그럭저럭 쓸만합니다.
어기면 그리고 걸리면 벌금이 셉니다.. (몇백 만원 수준으로 압니다..)
저는 개인적으로는 인터넷회사들의 기본대여 되는 유무선 공유기를 추천합니다..
이것들은 우선은 그 회사 인터넷선과 인증된 장비들인지라 그리 쉽게 죽거나 약하거나 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셋팅이 많으신 분들은 비추천입니다..
그 외 국내 공유기 시장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IPTIME 정도면 무난하리라고 생각합니다..
매니아 급으로 가시게 되면 그리고 투자에 대한 문제가 없다면 기업용 장비를 쓰는 것도 좋습니다..
제가 공부를 많이 해야겠네요ㅎ
남은 주말 잘 보내십시요~ :)
어차피 그모델 고급모델이라 지금 쓰셔도 딱히 처지는것도 없을테니 그냥 쓰시던거 같은 모델로 추가 구매하는게 나을겁니다.
교체 했습니다 안방 화장실에서 WIFI6 지원하는 노트 10기준 2.4는 두칸 정도 나오나 느려고 5G는 아예 연결 불가 였는데 5G가 두세칸 뜨고
벤치미로 속도 체크시 50-60메가 나옵니다
공유기 바로 옆에선 480메가 풀 스피드 급으로 나옵니다 KT500메가 광 사용 기준 입니다
그리고 집이 5층 인데 주차장 에서도 공유기 잡힙니다
공유기 1대만가지고는 국내전파법에 의해 한계가 있다
커버리지는 주변환경에 따라 다르다 (아무것도없는 공터랑 집안이랑 범위가 크게 차이가 나듯)
와이파이 5 6 는 버전인데 사용 주파수에 따라 통달거리나 관통성능은 다 다르다(어떻게 하나라고 딱 집어 말할 수 없다)
저는 이 두가지 상황으로 봤을때는 IPTIME 벽부 콘센트 형 매쉬 이더넷이 차라리 편하실겁니다
본문에 대한 답변을 심플하게 해보자면,
1. 정말 단순하게 와이파이5, 6는 최대속도 규격의 차이
2. 랜카드나 휴대폰이 6를 지원한다면 바꿔도 좋음
3. 랜카드 류를 6지원류로 바꾸실 생각이 있다면 바꿔도 좋음
4. 2,3번 전부 해당 없으시면 그냥 쓰던거 쓰십시오
지금 환경에서도 충분해 보입니다
저는 단순히 AC68이 WIFI5이고, WIFI6이 최근에 나와서 새로운 모델들이 많길래 커버리지만 비슷하다면 WIFI6을 쓰려고 했던 것이 주 목적이었네요ㅎ
덕분에 여러가지 의견들도 많이 들었네요ㅎ
사용 국가를 바꿈으로써 입출력의 세기와 사용 주파수를 정의합니다..
현재 사용하는 공유기의 국가가 메뉴가 있다면 한국인지 확인해보세요
그러니 확실히 와이파이가 세게 나오더라고요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