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PC 견적 조언 부탁드립니다.

Linu   
   조회 5442   추천 0    

 

저기에 RTX 3080 추가해서 약 + 100만원 해야 할 것 같습니다.



주 사용 목적은 대용량 파일 관리, 가상화, 게이밍 이며 듀얼 또는 트리플 4k 환경을 염두에 두고 구성하였습니다.(게이밍시 서라운드 디스플레이 기능은 이용하지 않으며 4K또는 FHD 설정으로 이용합니다.) 그 외에는 주로 흔한 쉘 터미널이나 미디어 컨텐츠 즐기는 정도...

보드쪽을 B470이나 H470으로 보려했지만 추후 10G네트워크 구성시 PCIe 레인수 부족 또는 슬롯 부족으로 Z490으로 선택하였습니다.

오버클럭은 램을 포함해 하지않고 바닐라 셋팅에서 이용합니다.

AMD계열 시스템 구성은 현제 파츠들의 시장가격 안정화가 안된 상태로 보여 일단 배제하였습니다.

쿨러는 시스템 쿨러 교체용입니다.

디스크는 이미 파츠 보유하고 있는게 있습니다.(SN750 1TB x 2)


현재 해당구성이 적합한지, 다른 선택지가 있을지 의견을 여쭙고 싶습니다.
다른 커뮤니티에서는 너무 가성비를 추구하거나 워크스테이션을 주로 다루지 않아 2cpu에 올리게되었습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병철 2020-11
"퍼포먼스 저하나 오류"
암빠 총출동 예상..
     
Linu 2020-11
아... 서버에서 겪은건데도 좀 그럴려나요 ㅠ... 일단 수정했습니다
          
병철 2020-11
암빠가 생각보다 많아서 특정 발언 했다간 괜히 뜯길 수 있습니다.
박문형 2020-11
그냥 고만 고만한

전제적으로는 중급 이상의 품질의

PC 견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저거 구매시 가끔 품절인 부품들도 있으니 잘 구매하시기 바랍니다..
병철 2020-11
일단 CPU는 좀 더 투자 하셔서 10700K로 가시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고.. 10700F 사용 하신다고 하시면 CPU 쿨러를 살짝 낮은 급으로 가도 될거 같습니다.
요새 이 제품 추천을 좀 봐서 이 제품으로 추천 드려 봅니다. Thermalright FROST SPIRIT 140 / http://prod.danawa.com/info/?pcode=12361271

메인보드는 어짜피 Z490을 쓰던 뭘 쓰던 일반 PC 컴포넌트 시장에선 레인 구성이 개판 입니다. X299까지 레인 개판인 경우가 많아서 레인을 보고 잘 고르세요.
제가 봐오면서 그동안 좀 괜찮았다고 느낀 보드들 중 ASUS는 이미 고르셨으니 타사 보드 몇개 추천 드립니다.
오버클럭은 안 한다고 하셨지만 오버클럭 잠재력이 좋은 보드들 입니다. (바닐라 상태에서 안정성도 좋지 않을까 생각 됩니다.)

GIGABYTE Z490 AORUS ELITE / http://prod.danawa.com/info/?pcode=11231685
GIGABYTE Z490 VISION G / http://prod.danawa.com/info/?pcode=11225379
MSI MEG Z490 유니파이 (좀 비쌉니다.) / http://prod.danawa.com/info/?pcode=11319420

FAN 허브는 DEEPCOOL FH-04 FAN HUB 제품이 적당할 듯 합니다. ARGB 부품이 없는데 굳이 RGB가 지원되는 허브를 구매할 이유가 없습니다.
그리고 어짜피 사이드 패널이 보이는 케이스가 아닌데 굳이 시스템 쿨러를 CHROMAX로 구매 할 필요가 있나 싶습니다. 노멀 제품으로 변경하시는게..

파워는 커세어는 1600W 같은 특정 제품 때문이 아니라면 추천하기 좀 그렇고.. 최근 출시 한 제품 중이 아래 제품이 가격 대비 괜찮다고 하니 추천 드립니다.
ADATA XPG CORE REACTOR 850W GOLD / http://prod.danawa.com/info/?pcode=11576915
     
Linu 2020-11
FAN허브는 사연이 좀 있었는데 다 맞춰놓고 보니 이제 LED뽕에 현타가 와서 정숙한 느낌으로 가자는 느낌으로 급선회를 했는데 깜빡하고 바꾸지 못했었네요.
파워는 해당제품 몇번 들었는데 괜찮은거 같네요, 감사합니다. 커세어는 제가 개인적으로 선호하는 브랜드 이기도 하고 평소 저희 사무실 웍스나 일반 조립PC구성할때 많이써서 별생각 생각없이 골랐네요 ㅋㅋ...
MB는 주로 서버를 다루다 보니 레인 개판인 사실을 망각 하고 있었습니다; 좋은 지적 감사드립니다.
조언 감사합니다!
          
병철 2020-11
긴가민가 하면 매뉴얼 보고 골라야 됩니다 x16 슬롯에 x8이나 x4도 많아서.
               
Linu 2020-11
보니까 일단 저 MB기준 10G랜카드 + GPU까진 OK네요
술이 2020-11
구지 사골을 써야될 이유가...
병철 2020-11
굳이 복어국을 먹어야 할 이유가...
     
Linu 2020-11
DDR5 전환을 기다려 봐야할까요...
          
나나나나나 2020-11
2022년인데요...... 그냥구매하시는게....
박문형 2020-11
이리로 가든 저리로 가든

결정은 본인입니다..

10700K도 생각해보는 것은 좋다라고 봅니다..

국민오버라는 것도 잘 되는 편이니까요..
     
Linu 2020-11
10700K에서 한번 내려봤는데 다시 돌아가야겠군요
박문형 2020-11
저번주 말에 의뢰가 들어와서 10700K 한세트 조립하였습니다..

오버클럭용 시스템은 처음인지라 조립 세팅하는데 대략 이틀 잡아 먹었고요..

케이스와 쿨러는 쿨러마스터로
파워는 델타로
보드는 ASUS Z490 프라임으로
메모리는 삼성메모리 16기가 3200 2개 로
셋팅하였습니다..

오버클럭 점퍼 셋팅 없이 바이오스에서만 오버클럭을 하였습니다..

(진정한 오버클럭은 CPU와 메모리를 태워 먹는일이고 이것을 하려면 오버클럭용 전용 메모리가 필요하다는 것도 깨달았습니다..
  돈이 많이 드는 일이죠..)

내일은 OS셋팅해야 합니다..
     
Linu 2020-11
으아... 귀찮은 작업이 남았군요...
     
병철 2020-11
인텔 코어 시리즈 이후로 점퍼 세팅 해야 하는 보드는 없다고 봐도 됩니다.

BIOS에서 오버클럭 세팅을 하고 OS를 나중에 세팅 하면 테스트는 어떻게 하나요?
Memtestx86이 얼마나 신뢰성 있는진 모르겠지만 메모리 오버클럭이라고 메모리만 테스트 하는게 아니라 CPU 로드도 걸어봐야 합니다.
          
박문형 2020-11
물론 시스템 버닝도 합니다..

CPU-Z 걸어서 5.1기가 뜨는 것도 확인했고요..
박문형 2020-11
메모리 테스트 프로그램(memtestx86)으로 반나절정도 메모리 오버 클럭값 잡으면서 에러 뜨나 안뜨나만 체크 했습니다..
gmltj 2020-11
쿨러 가격만 합쳐도 30이나 되네요.... 사제 쿨러만 크고 좋은 걸로 쓰면 크게 발열 문제는 없을 듯 한데.... 케이스나 파워도 비싼거네요... 어차피 익숙해지면 별로 신경을 안 쓰게 되는거라....
     
Linu 2020-11
소음 줄여볼겸 깔맞춤 하느라 그만... 윗분 조언대로 CHROMAX 아닌 제품으로 변경하긴 했지만ㅠ


QnA
제목Page 2730/5699
2015-12   1638772   백메가
2014-05   5102244   정은준1
2012-12   5289   이지포토
2015-09   5289   푸하히
2019-06   5289   모스월드
2006-06   5289   박경호
2019-05   5289   마패
2008-06   5289   이기육
2017-01   5289   AplPEC
2017-02   5289   서미
2012-03   5289   윤치열
2013-01   5289   블랙
2012-02   5289   신우섭
2015-08   5289   서현석
2014-10   5289   김황중
2006-12   5288   한동훈
2007-12   5288   박문영
2016-05   5288   geniefix
2016-06   5288   차넷컴퓨터
2011-10   5288   꺼부기82
2018-11   5288   늘파란
2005-11   5288   김종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