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 서버 데이터파일 SAN 사용 결정 질문드립니다.

   조회 4284   추천 0    

안녕하세요

현재 DB 구성이 DB서버 1기에 SAN 스토리지로 연결된 구조로 사용중입니다.

이중화 되어있지 않은 단일 서버에 SAN 스토리지도 1T 구성으로 DB서버에서만 사용중입니다.

올해말 SAN 스토리지 단종으로 인해 유지보수가 종료되는 시점이라 SAN을 교체해야 합니다.

고민되는 부분이...

DB 서버 하나에서 SAN 스토리지 1T로 연결되는데...굳이 SAN을 사용해야 하냐 입니다..

디스크 슬롯이 남아있으면 SAS나 SATA, 없으면 슬롯 확장해서 사용해도 될 듯 한데

이런 경우에 보통 어떻게 구성하시나요? 

DB는 오라클 11g, SAN 1T 중 400G 사용중입니다.

SAN은 다른 장비에 연결은 없으며 DB서버에서만 사용중입니다.

SAN 장비를 교체 도입하느니...장비를 하나 더 둬서 이중화 하는 편이 나을 것 같기도 하고...

비용절감 차원에서라도 SAN을 빼는게 나을 것 같은데 인프라쪽은 잘 몰라서 여러분의 의견을 듣고싶습니다...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20-11
SAN 장비 모델명을 알 수 있을까요??
     
아놔이런 2020-11
히타치 AMS200 입니다
박문형 2020-11
구입 염두해 둔 스토리지 장비나 구매처에서 추천하는 장비가 있는지요??
     
아놔이런 2020-11
기존 업체에서 넷앱 제품으로 견적 주시더라구요. NAS도 사용중인데 해당 업체에서도 SAN장비로 넷앱 E2842 장비로 견적 주셨습니다.
박문형 2020-11
히타치도 스토리지 중에서는 유명하고

넷앱도 스토리지 중에서 유명합니다..

옛날 히타치 장비는 아무래도 옛날 장비인지라 FC 2G 혹은 4G 장비일 듯하고 (저는 잘은 모릅니다..)

넷앱 장비는 FC 16G 일 것입니다..

넷앱 장비 도입에 문제가 없다면 서버의 FC HBA카드도 16G로 바꾸어서 도입 하시면 될 듯합니다..


데이터는 다른 독립된 스토리지나 서버에 2차 정도로 잘 백업 하시고 작업 하시면 될 듯합니다..


보통 이정도 이름있는 스토리지 장비들은 시장에서 파는 리테일 하드 같은 것은 사용하지 못하고

자기만의 파츠만 동작하기에 유지 보수 하시면서 문제 생기면 하드를 교환할 수 밖에 없습니다..

도입 하시기 전에 용량 잘 생각하시고요..
     
아놔이런 2020-11
감사합니다.
SAN 구매시 용량은 3T 정도로 구매 예정입니다.
근데 지금 DB서버와 SAN이 1:1 구성인데 굳이 SAN이 필요할까요?
제 돈 나가는게 아니긴 하지만...관리포인트라도 줄여보고자 합니다..
          
박문형 2020-11
SAN 이라고 불릴려면 SAN 스윗치가 있어야 합니다..

SAN은 storage area network 의 약자이며

전용 네트워크 장비가 필요합니다..(물론 공유를 위해 전용 스토리지 소프트웨어도 필요..)

지금 제가 볼 때는 SAN 으로 불리는게 아니고 FC 스토리지로 불려야 할 듯합니다..

저런 스토리지 관리는 관리 전용 프로그램이 있는데 그것을 항상 띄워두고 에러메세지가 로그에 뜨는지 보는 것입니다..

(넷앱 같은 장비는 아마 그 장비 전문 기술자만 만지게 할 수도 있습니다.. 프로그램 요구하면 돈 달라고 할 수도 있고요..)

상황에 따라 장비에서 에러 났다고 비프음도 울리죠..
박문형 2020-11
지금 사용하시는 장비들은

OS 독립 외장형 레이드 장비라 불릴 수 있는데

DAS 형태로 서버와 연결이 되어 있으며

FC 인터페이스로 테이터를 주고 받는 것입니다..

DB에서는 속도가 빠른 그리고 안정된 스토리지가 필요한데 이럴 때는 비싸도 레이드 카드형태보다는  OS독립형 레이드 콘트롤러

혹은 OS독립 외장형 레이드 장비가 더 낫습니다..

왜 OS독립형이냐면 서버에서 스토리지 인터페이스 카드로 보면 그냥 하나의 거대한 디스크로 인식하기 때문입니다..

이론상 서버에서 지원하는 어떤 OS도 받아 드릴 수 있습니다..

이것을 그냥 1개의 디스크에 데이터 넣고 DB로 돌리면 디스크는 부하를 못견디고 계속 빨간 불만 들어오고 속도는 엄청 처지게 될 것입니다..

FC 인터페이스 말고 SAS나 다른 인터페이스도 있지만

전통적인 DB 서버의 스토리지면 NAS 말고 DAS 형태로 그리고 돈에 여유가 되면 FC가 좋습니다..

FC 말고 다른 인터페이스는 속도나 퍼포먼스에 대해서는 BMT를 해야 할 수도 있기에 사용해왔던 FC가 그나마 편할 수 있습니다..
     
아놔이런 2020-11
감사합니다.
SAN 스위칭 장비도 사용중입니다.
FC 통해서 스위칭 장비 거쳐 가는 것이 성능 상 디스크슬롯에 꼽힌 디스크의 I/O보다 좋은가요?
지금은 스위치 포트 하나만 사용중이라 별 의미는 없긴 하지만 jitter나 지연의 변수가 더해지는건 아닌지...
처음 구성하신분이 어떤 계획인지는 모르겠지만...서비스 규모에 비해 너무 오버스펙 같아서요..
교체해도 고민 안해도 고민이네요 ㅜㅜ
          
박문형 2020-11
디스크 1개의 속도는 끽해야 100~200MB/s (매가 바이트 퍼 초) 정도입니다...

16Gb FC 면 16,000Mb(매가 비트) =>2000MB /s 정도의 대역폭입니다..

레이드 장비의 퍼포먼스가 이 대역폭에 절반만 되어도 1000MB/s 인데

단일 디스크 보다는 많이 빠르죠...


그리고 SAN 스윗치가 있으면 거기에 스토리지 여러 개 달고 서버도 여러개 달고 관리소프트웨어 /공유소프트웨어 같은 것 올리고 해서

데이터 백업이나 관리를 좀 더 쉽게 할 수 있습니다..

문제는 돈이죠..
               
아놔이런 2020-11
감사합니다. 단일디스크나 SAN에 동작하는 디스크나 속도가 비슷한 줄 알았네요..
SAN 교체하고 타 장비도 연결해서 활용하는 방안으로 진행해봐야겠습니다.
epowergate 2020-11
정확하게는 SAN도 되는 장비를 가지고 DAS로 사용하는 거죠. (Controller 2중화, HBA 2중화, Multi-path 잘 설정 이라 가정)
서버에 Local HDD 장착하고 RAID로 묶어도 되지 않을까 할 수 있겠지만
Local HDD 구성에서는 RAID Controller 장애나면 서비스 장애죠
그렇기 때문에 SAN 장비를 사용하는건 어째든 잘 한거라 생각합니다.
그런데 신규장비를 NetApp으로 하는건 좀 생각할 부분이 있어보이기는 합니다만 나쁜 선택은 아닙니다.
     
아놔이런 2020-11
레이드도 믿을게 못되긴 하죠 ㅜㅜ
SAN으로 재구매 해봐야겠습니다.
넷앱은 문제가 있을까요? 업체 두군데서 넷앱으로 견적주고 기존에도 넷앱 NAS 사용중이라 별 고민 없었는데...
생각할부분이 있다는 말씀에 타사장비도 고민해봐야 하나 싶네요...
감사합니다.
시도니 2020-11
현대에 와서 아직도 SAN이 존재하는 이유는 SAN이 가진 장점이 internal DISK 보다 우월한 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단일 DISK 용량이 많이 증가한 오늘날에도 말이지요.

SAN 을 쓰는 이유는 단순히 용량에 대한 증가와 DATA I/O 병목을 제거 하기 위함이 아닙니다.

SAN을 사용함으로 시스템과 데이터를 분리하고, 이중화나 서버의 Fault 로 부터 좀 더 자유로워지기 위해서도 있습니다.

지금 1:1 구성인데 굳이 SAN이 필요한가에 대한 것은 좀 논란의 여지가 있을 수는 있겠네요.

하지만, Oracle RDBMS 의 특성상 카탈로그 백업 솔루션 적용 같은 걸 적용하려면 Internal Disk 로는 조금 제약이 있을 수 있겠네요.

SAN 에서라면 볼륨 스냅샷 백업 같은 간단한 것도 Internal Disk 에서는 OS 볼륨에 맡겨야 하니까...

(개인적으로는 OS 자체의 볼륨 관리는 좀 못 미더워서 말이지요. 이건 단순히 RAID 의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H/W 적 문제보다는 S/W 오류에 대한

RPO/RTO 측면에서 본다고 해도 SAN이 더 우월하지 않을까 싶네요.... 문제는 돈이긴 하지만.,.)

또한, DR 복제 솔루션 적용시에도 Internal Disk 의 경우 제약이 있을 수 있습니다.



결정적으로 Oracle RDBMS는 그놈의 가격정책 때문에 HCI 같은 것도 적용하기 쉽지 않습니다.
     
아놔이런 2020-11
감사합니다.추후 혹시라도 있을 이중화나 BCP를 고려하더라도 SAN으로 분리해놓는게 낫겠네요.


QnA
제목Page 1868/5708
2014-05   5139142   정은준1
2015-12   1673640   백메가
2021-09   4213   삐아띠
2014-12   4213   천외천oo노…
2014-05   4213   이원재K
2018-12   4213   나비z
2015-06   4213   PiPPuuP
2018-01   4213   송진현
2015-09   4213   장동건2014
2005-12   4213   박동섭
2020-06   4213   병정개미
2019-05   4213   다나래
2013-12   4213   박민혁A
2018-11   4214   DrJK
2018-04   4214   심바트
2020-11   4214   BusCard
2014-02   4214   씨디공장
2015-12   4214   낭만케이
2018-04   4214   산골농부
2014-03   4214   김황중
2018-02   4214   민채
2018-03   4214   epowerg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