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탭 모터를 손으로 움직일때 생기는 전류가...

isaiah   
   조회 5742   추천 1    

  몇일전에 올린 질문에 연이어서 올리는 질문입니다.

  스탭 모터 + 모터 드라이버를 포함한 기기에 전원이 차단되었을때 모터를 손으로 돌리거나 하면

 모터+드라이버가 발전기로 작동하는 부분에 대한 질문이였는데요.


 실질적으로 위험한 부분은 보드가 12v 를 많이 초과화는 전압을 만들어서 보드를 튀겨버리는 문제 였고..

 심리적으로 좀 짜증나는 부분은 이런 12v 언저리까지만 전압이 올라가도 LED나 각종 부품들에 전원이 들어가서 켜졌다 꺼졌다 하면서 사람을 불안하게 만드는 부분이였습니다.


 12v 를 초과하는 전압에 대한 위험은 제너 다이오드 같은걸 달아서 12v를 초과하는 전압을 모터 드라이버의 그라운드로 바로 순환하도록 만드는 방식으로 해결하면 된다고 하던데요..

 심리적인 부분은 딱히 답을 찾기가 힘드네요. 처음엔 그냥 다이오드(?) 같은걸 직렬로 배치하면 되나? 했었는데 모터 드라이버가 만드는 전류의 방향은 평소랑 같으니.. 어떻게 삽입해야 이것만 구분해서 막아지는지 잘 모르겠더라고요...


 과거에 가전재품이나 CD롬 드라이버 같은 물건들도 다 이런 부분에 영향을 받았을텐데 보통은 어떻게 설계해서 회피 했을까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파렌하잇 2020-12
모스펫과 TR을 이용해서 ideal diode 회로를 추가해보시는건 어떨까요?
다이오드만 추가하기보다는 역극성 + 역전압까지 보호되니까 나쁘지않을것 같습니다
     
isaiah 2020-12
이러한 현상이 생기는걸 '역전압'이 걸린다고 하는 거군요..
 전 '역전압'이라는 말을 '역전압 = 역극성' 이라고 생각하고 이런 상황은 뭐라고 검색하지? 하고 혼란 스러워 했네요.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
AC발전이고 전압이 얼마나 나올지 모르죠. 출력포트를 아이솔레이션을 하면 방지는 됩니다.
다만 가격이 오르겠죠?
     
isaiah 2020-12
음 일단 취미용 작업이라 작은 모터를 써서 한 400ma 아래로 구동할 셈이라 이걸 단절 시키는 것에도 눈에 뛰게 비싼 부품을 사용해야 할것 같은 느낌은 아닌데요.
모터 드라이버 출력과 모터 사이를 단절 시키는건 훨씬 복잡해 보이고 해서 모터 드라이버와 12v 입력 사이를 단절 시키는걸 하려고 합니다.

그런데 이 경우 혹시 모터에서 나오는 전류가 드라이버의 소자가 쓰는 5v 입력으로도 역류 할까요?

드라이버는 tmc2209 https://www.trinamic.com/products/integrated-circuits/details/tmc2209-la/ 이친구 입니다.
무아 2020-12
저게 모터를 순방향으로 돌리냐 역방향으로 돌리냐(DC모터의 경우) +- 또는 -+ 로
스텝 모터 같은 경우는 어느 방향으로 돌리든 +-, -+ 번갈아 가면서 기전력이 나올겁니다.
역기전력의 경우는 병렬로 역방향 다이오우드(Freewheel Diodes)를 걸어주고 순방향기전력일경우 입력측으로 못나가게 직렬로 다이오우드를 걸어주어야겠죠..?
결론은 코일 1개당 다이오우드 2개를 병렬,직렬 셋트로.
     
isaiah 2020-12
드라이버도 +- 를 바꿔 가면서 구동하는데 그런식으로 연결해도 되나요?
          
무아 2020-12
아.. 그렇네요. 드라이버가 그런다면 (바이폴라 구동) 안되겠네요. 아예 다이오우드를 달수 없겠는데요.

드라이버 단에서 출력 포트를 강제로 끊어주는 기능이 없나요? 드라이브 전원이 안들어가면 출력단을 아이솔레이트 시켜 버린다든지.. 특정 핀에 전원을 걸어줘야 출력단이 연결된다던지... 그런게 있다면 그걸로만으로도 문제가 해결될 것 같은데 말이죠.

메뉴얼 보니까 드라이버의 2번 핀이 그런 역할 같은데요. (그런데 전원을 껐는데도 심리적 짜증을 만드는 LED가 켜진다면.. 저 문제도 아닌듯.. 저건 저기에 전원이 걸려야 분리시키는 거니까..)
               
isaiah 2020-12
이전 글에서 SiCMOS 답해 주셨는데요.
 드라이버에 내장된 모스펫에 내장된 기생 다이오드 때문에 드라이버 입장에서의 구동 상태와 상관 없이 역류를 한다고 하더라고요...
무아 2020-12
모터 코일 양단에 릴레이 접점을 (NC : Normal Closed)  로 병렬연결하고 릴레이는 VCC 전원을 걸어주면
전원이 들어오면 릴레이 스위치가 Open 되니까 기존이랑 동일하고
전원이 꺼지면 릴레이 스위치가 Colosed 되어서 모터의 윈치않는 기전력을 소거.
이렇게 릴레이 2개 또는 2회로 릴레이 1개를 써서 해결할 수 있겠는데요.
     
isaiah 2020-12
다른 방식이 효과가 없으면 릴레이를 써 봐야겠네요... 왠만하면 패시브 소자로 어떻게 되는 쪽이 더 상쾌하니까요.. 쩝..
          
무아 2020-12
드라이버에 넣어주는 전원을 다이오우드 통해서 넣어줘보세요. LED들은 드라이버 이전에 있을 거니까 모터에서 드라이버로 넘어온 전기가 다이오드를 통과 못하면 짜증 LED는 켜지지 않을 거 같은데 말이죠.
즉, 다이오우드를 모터-드라이버 사이에 넣는게 아니라
드라이브-전원 사이에 넣는 거죠.
               
isaiah 2020-12
옙 그래 봐야 겠네요. 전기 관련 기초지식이 없으니 이게 해도 되는일인지 아닌지 확신이 없어서 단순한 질문을 반복하게 되네요.. 쩝.


QnA
제목Page 2317/5708
2015-12   1674023   백메가
2014-05   5139474   정은준1
2011-11   5718   권오준
2008-06   5718   방효문
2008-11   5718   김주용
2016-06   5718   김우진
2007-06   5718   김준성
2013-01   5718   하루카
2006-01   5718   김희진
2014-11   5717   태성기김
2007-10   5717   백인학
2008-03   5717   이대범
2008-04   5717   정승모
2013-01   5717   김용대
2006-02   5717   박동섭
2008-05   5717   이병영
2006-05   5717   윤영배
2005-08   5717   노정래
2013-04   5717   하우디자인
2016-04   5717  
2006-02   5717   이재호
2008-01   5717   정은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