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편집컴 문의 드립니다.

song05   
   조회 3974   추천 0    

암녕하세요

당진에 서식하는 송영오 입니다.

현재 재 시스템 P920

XEON 8156 3.6G 4core 1cpu

DDR4 64GB

NVME SSD 1TB

NAS HDD 8TB

AMD GPRO 8200 8GB

WIN10PRO

이정도입니다.

근데 현재 재가 보유중인 부품 

XEON 4116 2.1G 14core / QOADRO P2200 5GB / RTX2070 SUPER 8GB  메모리는 하드  많이 있습니다.

여기서 그래픽 하드 메모리 CPU 

어떤 조합이 영상편집 가징 좋은 조건일까요?

4K까지 고려하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색작업자 2020-12
그래픽카드 2080ti 이상 2개,  nvme raid 4tb 이상이 필요합니다.
     
DarknessAng… 2020-12
그런 VGA 필요없습니다 (단일이면 충분합니다)

일부 필터랑 원본 코덱 디코딩등 GPU로 시키면 유리한 작업이나, 인코더 써서 최종 인코딩등 써먹을때는 많지만 4k를 1개 출력하는 정도로 거기까지 필요 없습니다

2080Ti 1개 더 살돈을 CPU에 투자하는게 랜더링 더 빨리 끝납니다
song05 2020-12
Nvme 1tb 이상은 고려 안하고있습니다.
현재 보유증인 부품업그레이드로 최적 시스템 알고싶습니다.
     
색작업자 2020-12
2070을 렌더용 gpu, p2200을 화면출력용으로 진행해 보세요. 다빈치에서 가능할 것 같기도 하네요. 레이드 전송속도의 문제는 해결될 것 같지 않으니 실시간은 접고 들어가시는 것이 맞고요.
          
song05 2020-12
기업용 10TB 4개 12G 레이드 캐시2기가
레이드 0 번으로도 안될까요?
               
색작업자 2020-12
12g이면, 200정도이고, 4개 레이드 0이면 600~ 800 수준입니다. 4k60p 기준시 prores444가 1200정도 소요됩니다.
                    
song05 2020-12
일단 그부분은 고민좀 해봐야겠네요?
CPU는 8156 4코어  3.6
4116 14코어 2.1 어떤게 좋을까요?
                         
색작업자 2020-12
너무차이나서 판단이 어렵습니다. 보통 2697v3가 기준점입니다. 속도와 코어수의
                         
DarknessAng… 2020-12
보통 영상 처리용 소프트는 멀티스레드로 몇개 (심지어는 64코어 128스레드조차) 있더라도 다 쓸 수 있으므로 멀티코어 성능 높은게 유리합니다
술이 2020-12
12G 해봐야 전용 하드랙이나 백플레인 없으면 6G로 쓸수밖에 없어요.
레이드0보단 메모리 쳐올려서 프리모캐쉬를 사용하는게 나을듯 싶습니다.
DarknessAng… 2020-12
SATA HDD는 커녕 SSD를 RAID도 해봤지만 (심지어는 성능 높인다고 0) 결론은 NVMe의 압승입니다 (4~5개 묶어서 단일조차 못 이김)

일단 디스크 성능은 원본 읽기 + 대상 출력에 충분하면 그 이상 아무리 빨라봤자 아무런 보템이 안 됩니다 (램이 부족해서 스크레치 긁거나하면 차이나는데, 애초에 이런 상황이 되는 시점에서 성능 폭락은 피할 수 없으니 램을 늘릴 문제지 디스크 성능을 높일 문제가 아닙니다)

GPU로 연산 불가능한 부분도 여전히 존재한다는점과 사용할 소프트에 따라 GPU 가속 지원정도의 차이가 있는점, 영상에 넣을 각종 소스를 편집및 작성하는데 필요한 소프트의 작업 효율을 고려하면 여전히 CPU성능은 중요한 요소입니다 (랄까 GPU경우 일정 수준만 달성하면 어차피 충분하니 나머지는 CPU + RAM에 투자하는걸 추천합니다)
박문형 2020-12
4K로 영상 편집을 하게 되면 용량이 상상을 초월합니다..

몇십 TB 급의 스토리지를 SATA SSD로 만들수는 있지만 가격이 넘사벽일 것이고

MVME M.2 /U.2 같은 것은 PCIe를 처묵처묵하기에 시스템에 PCIe 레인도 많아야 하고 그래보았자 한 시스템에 24개 정도의 U.2 NVME

디스크를 박는게 한계입니다.. 그외 NVME는 열이 엄청 나기에 식히는 것도 문제입니다.. 시스템이 많이 시끄러워지겠죠..

물론 가격도 넘사벽급으로 갑니다..


보통 4K를 하려면 4K 작업에 인증 받은 스토리지 시스템에서 작업하는게 맞습니다..

이쪽은 색작업자님의 전문 분야이니 색작업자님에게 도움을 요청하시면  아마 도와 주실 것입니다..
     
DarknessAng… 2020-12
보통 몇~몇십T의 용량을 다 SSD로 때우진 않습니다 (그런짓할려면 대역폭등을 무시해도 테라당 15만정도는 하는걸 고려하면 대체 얼마나 돈지랄(SSD만 500~1000만원치는 사야함)을 해야 구성가능한지?)

작업에 당장에 필요한 소스만 SSD에 올리고, 작업 결과물이나 우선순위 낮은건 HDD RAID나 NAS (5Gbps 이상)으로 때우게 됩니다 (어차피 용량만 큰거지 응답속도는 안 중요)

HDD로 때우면 초당 2~300메가, 5Gbps로 연결하면 4~500메가정도는 나옵니다 (4k 소스 코덱으로 압축된걸 동시에 2~3개정도 읽어올 수 있는 대역폭입니다)
          
색작업자 2020-12
비압축 작업시 몇십TB 용량을 SSD로 작업합니다.  대부분 돈지랄이 기본입니다. 4K를 쾌적하게 작업하려면, 2500~4000정도는 나와야 하고, RED 사의 8K 소스 포함시 8000정도는 나와야 합니다.

4K소스 코덱으로 작업하면, 화질 문제로 거의 쓸모 없는 작업이 됩니다.

영상은 그냥 돈지랄이 기본입니다. 특히 화질데모는 30초 제작시 2~5억선입니다. 이쪽 영역에서 500~1000은 돈도 아닙니다.

물론 저야 돈없는 거지이지만....
               
DarknessAng… 2020-12
요즘 소프트 압축 코덱 몇가지정돈 지원합니다

보통 영상 찍어오면 그걸 포맷 변환해서 저장후 읽어서 씁니다

애초에 무압축으로 하면 디스크 용량 이전에 4k정도 되면 소스 몇개만 가져오면 NVMe or U.2라도 대역폭이 알짤 없습니다

주변에 실재로 영상작업해서 먹고사는분 있기도 하고, 컴 맞추는 견적도 몇번 봤지만 그런 몇십테라씩 단것 본적도 없습니다 (보통 NVMe 1~4T 1~2개)

그리고 전문 광고 회사나 건당 억이지, 보통은 건당 몇백정도입니다 (심하면 건당 수십만)


QnA
제목Page 1483/5708
2014-05   5143831   정은준1
2015-12   1677975   백메가
2018-07   3846   Olorin
2017-03   3846   버디
2019-10   3846   나파이강승훈
2018-05   3846   미우지시언
2017-03   3846   은우마스터
2016-07   3847   호시링
2015-07   3847   센치
2014-04   3847   빠시온
2018-07   3847   comduck
2015-04   3847   안병권
2016-03   3847   캔위드
2014-02   3847   자연인
2018-04   3847   LSSAH
2018-06   3847   쿨쿨쿨
2014-05   3847   황진우
2017-06   3847   큐님
2018-09   3848   norann
2016-03   3848   배고프시죠
2016-10   3848   plqa01
2019-03   3848   삐돌이슬픔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