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편집용 글픽카드 추천요! 웍스입니다.z840

h4cker   
   조회 6335   추천 0    

 간단요약


하드웨어

36코어72쓰레드

128기가nvme

k5200입니다


분석용인데 영상편집 겸합니다.


프리미어

에펙


버벅거립니다. 프리뷰시

글픽카드 갠춘한듯한데


프로그램버전도최신버전은 버벅되고

한단계낮음 그나마 낫습니다.


글픽카드 뭐꽂아야

한글처럼 부드럽게 사용될까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색작업자 2020-12
그래픽카드 바꾸세요. 2080ti면 날라다닙니다.
song05 2020-12
RTX 3070 으로 하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여유되시면 RTX 3080
미니TM 2020-12
한글이 부드러운가요?
뭘 써도 부드럽지 못하던데... ㅠㅠ
시퓨가 뭔지도 알려주시면 좋을 것 같네요.
     
제온프로 2020-12
아마도
E5-2699 V3 x 2CPU 이거나
E5-2696 V3 x 2CPU 일 겁니다.
h4cker 2020-12
ㄴ의견감사합니다. 욕심인지라 3090  기웃거린다는

ㄴ 3080도 충분하겟죠? 분석및영상편집인데 편집도 회사가아닌 개인 유툽용이라..겜도안하구요
의견감사드려요

ㄴ시퓨 제온 2699 x 2
입니다 18c 36t인가 암튼ㅎ
아아 편집이 버벅이니ㅜㅜ
프리미어랑 에펙이 매끄럽지못하니요ㅎ
술이 2020-12
라데온 6800 이상 달면 좋습니다. 일단 메모리가 16G여서 가성비는 최고입니다.
인코딩 속도 빠릅니다.
h4cker 2020-12
술이님 의견 감사드립니다ㅎ
h4cker 2020-12

램128
nvme 1tb
입니다
모바일이라ㅡㅜ
제온프로 2020-12
Z840에는 대부분의 GeForce는 장착이 않되니... 심사숙고하세요...

Founder Edition은 가능합니다...
블로어 타입만 가능합니다..... 심사 숙고 하세요..

쿼드로 M6000 추천합니다...  P5000 이 더 좋다구는 하더군요...
DarknessAng… 2020-12
지포스 계열의 가성비 좋은 모델 쓰시면 됩니다 (쿼드로나 타이탄 필요없음)

본문보고 SSD가 128기가란줄 알고 놀랐습니다 (이런 용량이라면 쥐꼬리만한 SSD부터 업글하는걸 추천합니다)
h4cker 2020-12
제온프로님
호환되는 모델좀 알려주십시요!

다크님ㅋㅋ
모바일이라 써놓고보니ㄷㄷㅎㅎ
의견감사합니당
제온프로 2020-12
호환되는 모델..(300W 이하의 레퍼런스 사이즈만 가능)
일반 PC용 사이즈는 장착은 되지만.. 하부 GPU커버가 닫히지가 않음.....

전원은 6핀 3개 이므로... 8핀으로 바꿔줘야 합니다..
6핀 3개를 ==> 8핀 4개로 변환할 수 있음... 대략 총 600W 까지 쓸 수 있어.. 2개 장착 가능...


쿼드로 M5000, M6000
쿼드로 RTX 5000 ~ RTX6000, RTX 8000
GTX Founder Edition + 일부 블로어 팬 규격
RTX Founder Edition + 일부 블로어 팬 규격
Tesla는 모두 가능..


2CPU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것으로 보자면...

쿼드로 M6000 이 좋아 보이고...
쿼드로 P5000 이 좋아 보이고...***(추천)
http://www.2cpu.co.kr/sell/394866?&sfl=wr_subject&stx=M6000&sop=and
(**여기서 M6000 8개 정도 구입했는데.... 모두 좋았고.. 잘 돌고 있습니다...)

RTX 2080 FE 도 보이네요...
http://www.2cpu.co.kr/sell/394680?&sfl=mb_id%2C1&stx=kmc6309
h4cker 2020-12
ㄴ제온님 감사드립니다.
타이탄 rtx 가 땡기는데 갠춘할까요?
rtx8000하고 램만 차이나는군용
h4cker 2020-12
ㄴ 제온프로님
RTX3080FE도 장착될까요? 확인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당!!
     
제온프로 2020-12
현재 장착 가능한 모델로는 가장 높은 놈이죠...

장착가능합니다...

공식적으로는 NVIDIA 에서 GeForce RTX를 워크나 서버에 설치해서 사용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고 했었습니다...
하지만 연구자들이 1~2개 설치 하여 돌리는 것을 조사하지는 않을 것이다.. 가...
NVIDIA의 공식 입장입니다....

Quadro RTX 8000 48GB 도 좋은 선택입니다...
          
h4cker 2020-12
rtx8000은 넘사벽 같습니다.ㅎㅎ

3080fe는 판매를 안하는지... 매물이 전혀 안보입니다. 새제품도..!!

가능하면 기다렸다고 요놈 구해봐야 겠습니다.

참, 기존 K5200 꽂혀있는데 듀얼로 사용가능할까요?
아니면 바꿔야 하는지...

그리고 글픽카드 듀얼로 쓴다는 개념이
GPU 성능을 활용하는 개념인건가요.
포트가 여러개면 상위기종에다가 출력을 하면 되는지
제가 이해한 부분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그래픽카드를 업그레이드를 하시겠다면 쿼드로보다는 gtx1080급 이상을 생각하시는게 좋습니다. 그래픽이 좋진 않으나 다만 프리뷰시에 버벅임은 없다고 하시니 그래픽보다는 cpu의 클럭이나 메모리 대역폭 문제일 확률이 더 큽니다. 프리미어 에펙등의 영상편집에서 그래픽카드는 이펙트를 주고 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경우에 사용됩니다.(ex 디졸브나 광연효과 주고 이를 cpu렌더링 없이 실시간 확인하는데 gpu힘을 빌립니다) 최종렌더링에는 cpu가 관여합니다.
일단 프리미어 에펙 영상편집에는 적합한 cpu는 아닙니다. 몇가지 제약도 있고요.

1. 메모리가 쿼드채널인지 확인하세요. 영상편집시 타임라인에 파일을 올리거나 할 시, 그리고 렌더링시 메모리 채널에 따른 대역폭이 꽤나 큰 차이를 보입니다. 
  렌더링시 코어를 100% 활용한다면 메모리 싱글보다 듀얼이 30~40%, 듀얼보다 쿼드가 25~30% 빠릅니다.

2.  프리미어/에프터이펙트등을 그냥 사용시 64쓰레드까지만 지원됩니다. 제대로 64쓰레드 이상 지원되는 렌더러는 블렌더를 비롯해 몇개 안됩니다.  지금 쓰시는 cpu인 2696v3 를 듀얼로 장착하고 프리미어등에서  렌더링시 cpu1개가 통째로 놀 겁니다. 이 현상은 64비트 윈도우에서 64쓰레드까지가 한 싸이클로 작동하고 그 이상은 가상화를 통해 돌리는데 이것을 개별 프로그램에서 지원하지 못해서 생기는 현상입니다. 이로 인해 퍼포먼스가 예상보다 저조하게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작업관리자를 켜시고 작업시 모든 쓰레드를 활용하는지를 확인하세요. 만약 프리미어 에펙 작업시 cpu1개가 통으로 논다면 코어를 64쓰레드에 맞추서 줄이시거나(몇개 끄실 수 있어요) HT기능을 off하셔야 합니다.

3. 개별적인 영상편집 프로그램에서도 코덱에 따라 다코어 cpu를 제대로 사용 못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영상편집은 올코어터보가 3.0ghz이상 되는 제품으로 구매하시는게 좋습니다. 흔히 쓰이는 영상편집용 cpu는 e5 2643 e5 2667 e5 2687w 등의 코어클럭과 벨런스가 균형 잡힌 제품입니다.
     
색작업자 2020-12
역시... 가장 정확한 답입니다.
          
광원 오타 수정해야 하는데 답글이 ㅜ.ㅜ
아무튼 프리뷰시 답답함이 있다면 그래픽을 올리시는게 맞겠고 프리뷰시 답답없이 없다고 하시니, 매우 큰 돈이 들어가는 그래픽보다 저렴하게 체크해볼 수 있는 메모리 대역폭이나 cpu사용량등을 먼저 체크해 보시는게 좋지 않을까 싶어요.
h4cker 2020-12
지니컴님 상세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글픽카드를 업글할라고 알아보고 있습니다.
렌더링은 크게 안불편한데 타임라인에 파일 올릴 때 부드럽지가 않고 플레이시 뚝뚝 끊기는 현상(버전에 따라 최신버전은 끊기고 이전버전은 그나마... 그래도 만족스럽지 않음)
타임라인에 파일올리는거랑 플레이시 원활하지 않는거 이 문제가 젤 신경쓰이는 부분입니다.

렌더링은 기다리는게 시간이라 냅두면 된다지만... 해당상황인데 글픽카드를 바꾸려고 합니다.
말씀해주신 지포스 계열로 알아보고 있고, 2080 또는 3080 fe 로 바꿀건데 3080 fe는 지금 판매를 안하는건지..

암튼 상세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지니컴님 답변중 2번은 어떻게 설정을 하는지 알려주시면 좋겠습니다. 많이 배우고 갑니다.

1.3은 하드웨어 부분이라 그냥 써도 괜찮을 거 같습니다!!
     
타임라인에 올릴때 부드럽지가 않다면 메모리 대역폭이 부족하거나 스토리지의 속도가 느리거나 입니다. 램은 1cpu당 동일 용량으로 4개씩 총 8개를 장착해 주시고 스토리지는 nvme라고 하셨는데 저장용 스토리지도 nvme로 해주세요. 요즘 워낙 영상편집이 고용량이라...

2번은 esc키를 누르고 bios셋업으로 들어가셔서 hyper threading 기능을 찾아서 off or disable해 주시거나 맥시멈 코어수를 조절해 주시면 됩니다.
델은  퍼포먼스 탭에서 설정 가능한데 hp는 가물가물합니다 ㅠ.ㅠ
h4cker 2020-12
지니컴님 메모리는 쿼드채널입니다. cpu-z로 보니 128기가
     
동일용량으로 8개이고 Cpuz에 쿼드채널이라고 나온다면 메모리는 신경쓰실 필요 없습니다.
          
h4cker 2020-12
네, 동일 메모리 풀뱅크로 압니다. ddr4 로 나옵니다. 네 메모리는 패스!
h4cker 2020-12
저장도 C로 작업합니다. 클립도 C에저장 불러오는것도 C...
2번은 진행해보겠습니다.

그냥 글픽 업글하면 해결되는부분일까요.ㅎㅎ

참 그리고 기존 K5200 꽂고 있는데 여기다 지포스 올리면 듀얼로 사용가능할까요? 아니면 싱글일까요?
SL 지원되어야 듀얼이 되는건지... 줏어들은 지식이라 실천을 안해봐서.ㅎㅎ

암튼 답변감사드려요 진심..!!ㅜㅜ
     
그냥 다른 그래픽 아무거나 2개 장착한다고 성능이 더 좋아지거나 하지는 않습니다. 특정 기능을 위해 nvidia+amd 그래픽을 장착하는 경우는 있긴 합니다만 이 역시 성능이 2배가 되거나 하는 것과는 거리가 멉니다.
sli는 동일사양의 그래픽을 2개 혹은 그 이상으로 장착해서 성능향상을 도모하는게 맞고 그래픽카드 옆에 sli커넥터로 연결해 주셔야 합니다.
이 경우 1개의 gpu의 그래픽 메모리만 사용하고(11gb vram의 2080 2개 다셔도 sli 하면 11gb 한개로만 사용가능)
sli시 효율은 85%정도일 겁니다.

다만 z840 자체가 850w 1125w 2개의 사양이 존재하고 1125w여도 기본 케이블이 6핀3개라서 6핀-8핀 케이블을 쓰셔도 8핀 3개가 최대입니다.
결국 rtx2080급을 제대로 듀얼로 쓰시려면 케이블을 추가하셔야 하는데, 간단하게는 odd등의 전원을 변환해서 vga 8핀으로 하는 방법이 있는데 썩 추천드리고 싶진 않네요.
안전하게는 z840의 옆판을 까고 추가로 기판에 vga케이블을 추가하는 방법이 있습니다만(제 기억으로 측면 기판에 연결된 3개의 슬롯이 있고 850w는 1개 1125w는 2개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난이도도 낮지는 않고 케이블 구하기가 매~우 힘듭니다.
https://www.serverparts4less.com/463987-001-hp-z800-z820-workstation-graphic-card-power-cable/
840용을 못 찾겠어서 찾은건데 이거 비슷한 놈이고 이걸 하나 더 달아야 실질적으로 2080급 듀얼을 쓰실 수 있어요.
h4cker 2020-12
ㄴ 지니컴님 상세한답변, 가르침 너무 감사드립니다.ㅎㅎ 글픽카드 바꾸는게 그냥 답인거 같습니다. 혹시 지금 rtx3080fe 제품이 안파는 이유가 있는건가요?
 매물이 새거도 없어서... 일단은 좀 버벅대도 그냥 쓰려고 합니다. 크나큰 지식의 가르침에 감탄합니다!! 감사드립니다><!!
h4cker 2020-12
ㄴ지니컴님
하이퍼스레딩 오프하니 시퓨가
2.3기가 이상 작업을 합니다.
그럼 이것이 시퓨 2개가 돌고있단 의미죠?
각 2.3기가였으니요.
테스트해보니 지금껏 작업이 100퍼에도 2.3기가 였었군요..
하이퍼스레딩 오프한다고 해서 효율이 떨어지는건 아니지용?
     
하이퍼쓰레딩을 끄시면 25%정도 성능 하락이 있습니다.
다만 64쓰레드 이상의 cpu가 지원 안되는 경우 1cpu가 통으로 노는(성능이 50%는 하락하는) 경우가 생기기에 프로그램의 쓰레드 지원 여부에 따라 ht를 off거나 64쓰레드가 넘는 코어를 off 해버리는 겁니다. 쓰신다는 프리미어cs의 경우 64쓰레드가 넘으면 아예 cpu가 한개는 로드가 안되는 수준이라 HT를 끄시라고 한 겁니다. 18코어36쓰레드의 cpu2개이시니, 그냥 코어를 2개씩 끄시는 게 성능은 약간 더 나을 겁니다.

클럭은 원래 기본클럭/최대터보클럭/올코어터보클럭이 있고 이 사이를 왔다 갔다 합니다.
cpu풀로드시 전력량이나 온도에 여유가 있으면 모든 코어가 올라가는 터보가 올코어터보이고, 코어를 몇개만 쓸 경우 1~2코어만 올라가는 최대터보가 따로 있습니다.
e5 2699v3는 2코어까지는 최대터보 3.7ghz  올코어시 2.8ghz  기본클럭 2.3ghz이고 사용량/온도 /전력/ 등에 따라 이 사이를 오갑니다.
아마 렌더링시에는 올코어 터보인 2.8ghz로 작동할 겁니다.


QnA
제목Page 881/5727
2015-12   1776483   백메가
2014-05   5251485   정은준1
2017-08   5571   Psychophysi…
2021-04   3496   overflow
2012-02   5751   이창준
2021-04   3537   mimbab
2016-08   4221   2CPU최주희
2020-01   4108   오혜성
2012-03   10221   신관악산
2014-03   8566   장동건2014
2021-05   5068   GPGPU
2015-08   6193   앙몰리
2018-12   3483   Psychophysi…
2014-04   3618   이계성
2020-02   3245   online9
2015-08   4385   전설속의미…
2017-09   3960   메모리님
2012-04   6654   참세상맹글기
2017-09   5383   여수I완스
2018-12   2832   이니이니
2021-05   4351   무쏘뿔처럼
2018-12   2727   사랑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