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675762 |
25 |
2015-12
1675762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5) |
정은준1 |
2014-05 |
5141108 |
0 |
2014-05
5141108
1 정은준1
|
71347 |
10700 3070 배그 프레임이 안나옵니다 (11) |
컴맹1231 |
2021-07 |
4499 |
0 |
2021-07
4499
1 컴맹1231
|
71346 |
가상사설망 포트포워딩... ㅠㅠ (2) |
blacknut |
2015-05 |
4499 |
0 |
2015-05
4499
1 blacknut
|
71345 |
PCMCIA카드 잘 아시는 분께 질문드립니다. (2) |
Psychophysi… |
2017-02 |
4499 |
0 |
2017-02
4499
1 Psychophysi…
|
71344 |
윈도우서버 미러볼륨 질문드립니다 (3) |
기묘한생활 |
2017-06 |
4499 |
1 |
2017-06
4499
1 기묘한생활
|
71343 |
HP SAS To SATA Adapter 파는곳이 있을까요? (7) |
인디고 |
2020-09 |
4499 |
0 |
2020-09
4499
1 인디고
|
71342 |
R620 서버 부팅 문제가 발생합니다. (8) |
Ibory |
2020-10 |
4499 |
0 |
2020-10
4499
1 Ibory
|
71341 |
JAVA SSL의 성능으로 고생하고 있습니다 (6) |
epowergate |
2018-03 |
4499 |
0 |
2018-03
4499
1 epowergate
|
71340 |
사타케이블은 젤싼거 사도 문제없나요? (17) |
행복하세 |
2016-09 |
4499 |
0 |
2016-09
4499
1 행복하세
|
71339 |
hp touch smart 520 터치 스크린드라이버 (3) |
오이꼭지 |
2021-05 |
4499 |
0 |
2021-05
4499
1 오이꼭지
|
71338 |
노트북 쿨러 흡입이 어디로 되나요? (13) |
하정구 |
2019-02 |
4500 |
0 |
2019-02
4500
1 하정구
|
71337 |
DELL PERC 5/i 관련 질문입니다. (4) |
이승준 |
2007-09 |
4500 |
16 |
2007-09
4500
1 이승준
|
71336 |
이런 소프트웨어를 만들려면 어떤 언어를 공부해야 하는지요?? (13) |
블루영상 |
2016-03 |
4500 |
0 |
2016-03
4500
1 블루영상
|
71335 |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잘 아시는분 구글 나우런쳐... 설치건.. (5) |
안형곤 |
2017-01 |
4500 |
0 |
2017-01
4500
1 안형곤
|
71334 |
ZEROtherm Atom 30H 사용해도 될까요? (11) |
테돌아이 |
2015-06 |
4500 |
0 |
2015-06
4500
1 테돌아이
|
71333 |
잘못해서 CPU 소켓의 핀을 말아드실때가 있습니다 수리해주는곳? (6) |
페르세우스 |
2017-09 |
4500 |
0 |
2017-09
4500
1 페르세우스
|
71332 |
[ IRC ] IT (서버, 네트워크, 가상화 및 가젯) 등 국내,해외권 채팅방 추천 부탁 드… (8) |
전설속의미… |
2016-09 |
4500 |
0 |
2016-09
4500
1 전설속의미…
|
71331 |
시스템을 한대로 통합하려 합니다, 선배님들의 고견을 기다립니다. (8) |
나비z |
2015-02 |
4500 |
0 |
2015-02
4500
1 나비z
|
71330 |
6700k vs 6700t 나스용으로 사용할때요 전력소모에 관한 질문좀 드릴게요^^ (5) |
BruceHong |
2017-11 |
4500 |
0 |
2017-11
4500
1 BruceHong
|
71329 |
php.. 세션이 이상합니다 ㅠㅠ (6) |
컴박 |
2017-01 |
4500 |
0 |
2017-01
4500
1 컴박
|
71328 |
핸드폰복구가 안넘어가욤;; (포기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19) |
호시링 |
2016-07 |
4500 |
0 |
2016-07
4500
1 호시링
|
둘 사이의 단위가 같은지 확인해보세요..
NAS는 동시에 여러 PC가 같은 폴더를 공유할 수 있지만, SAN은 어떤 PC가 연결되면 다른 PC에서는 똑같은 폴더를 볼 수 없습니다. (물론 볼륨 공유 솔루션(?)을 이용하면 가능은 하지만 비용과 안정성 문제가....)
같은 속도라면 일반적으로는 SAN이 빠릅니다.
이론적으로는 SAN 4G면 NAS 1G의 4배정도 나올듯 합니다. 하지만, 대역폭 외에도 속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이 더 있어 정확히 '맞다'라고 하기엔 좀 애매합니다.
SAN, NAS, iSCSI는 용도, 예산등을 고려하셔서 선택하셔야 합니다.
사용하시려는 용도와 예산을 알려주시면 여기의 전문가 분들께서 추천을 해 주실듯 합니다.
포멧을 누가하냐 san 서버나 클라이안트에서하고 nas는 스토이지에서 하는 구조입니다
즉 io다운가 다르조 파일io냐 블럭 io냐
작은 io발생하는 환경에서는 대역폭이건 머건 가네 대부분 san 빨르고요 많은 용량에 파일을 보낸다 이건 다르조
둘이 다른 방식으로 접근이 필요합니다
SAN은 SAN 스위치를 통해서 스토리지와 컴퓨터끼리 연결이 되고 전송로의 길이가 한계가 있습니다..
그리고 오래되었기에 어떤 특정 프로그램에서는 SAN을 우선적으로 지원할 때도 있습니다..(일종의 전통적인 방식)
SCSI는 SAN 보다는 늦게 나왔고 이 방식들의 제품을은 초기에는 백업장비 전송로 같은데 사용되었습니다..
이더넷만 되면 연결을 할 수 있기에 전송로가 상당히 길어져도 느리지만 동작합니다.. (도시와 도시 사이에서도 연결되면 동작)
그렇다는전제하여,,
iSCSI는 SAN을 구현하는데 있어 비용, 설비추가 등의 제약조건을 만회하기 위해 나온 방식입니다.
"NAS에서 iSCSI를 셋팅"한다는것은 좀 애매한 말 인것 같습니다.
NAS와 iSCSI는 별개의 개념입니다. NAS(시놀로지 같은...)라 불리는 일부 스토리지에서 iSCSI프로토콜을 지원해 주기는 하지만,
이것은 그 스토리지가 "NAS와 iSCSI를 둘 다 지원한다"라고 해야지 "NAS에서 iSCSI를 지원한다"하고 하면 안될거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속도면에서는 SAN > iSCSI > NAS 이고, 비용면에서는 SAN < iSCSI = NAS 입니다.
SAN은 FC 으로 데이터가 왔다갔다 하는데 블럭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이더넷은 대역폭이 넓어도 실제 데이터 전송 속도는 속도가 오르락 내리락하기에 때에 따라서는 속도로 안나오고 느리다라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