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젠 CPU 외장그래픽카드 없이 사용 가능성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시뮬레이션용도)

Skinnyrin   
   조회 10629   추천 0    


https://images.idgesg.net/images/article/2018/10/mac-mini-stack-10077… (519)

안녕하세요

처음 인사드립니다. skinnyrin 이라고 합니다.

2CPU에 처음 질문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질문이 길고 복잡한데 요약하자면 

라이젠 3600 CPU 시스템을 셋팅후 외장그래픽 카드를 제거하고, 다른 클라이언트PC에서 원격제어로만 사용가능에 관한 질문입니다.

일반 PC처럼 사용하려는 것이 아닌 클라이언트 PC에  컴퓨팅 파워를 제공하는 개인 컴퓨팅 서버처럼 쓰려고합니다.

취미로 하다 보니 저렴한 가격에 구성은 하고싶고 컴퓨팅 파워는 탐이 나서 이런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아래는 질문입니다.


1. 내장그래픽이 없는 라이젠 3600을 외장그래픽 없이 부팅시켜 원격으로 사용할 수 있을까요

처음 시스템 설치시에 PCIe 슬롯 혹은 M.2 to PCIe 변환 라이저 포트를 이용해 그래픽카드를 연결해서 시스템을 설치할 때 GPU를 사용하는 것은 상관없는데, 셋팅이 끝난 다음에는 외장그래픽카드를 제거하고 다른 클라이언트 기기에서 이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해 RDP나(windows 10 의 경우), Terminal 접속을 통해서 (ubuntu 등의 리눅스) 접속하는 방식으로 사용하고 싶습니다. 문제는 외장그래픽을 제거하면 시스템이 애초에 부팅이 되지 않을까 하는 걱정과 부팅이 되더라도 클라이언트 쪽에서 접속을 했을 때 혹 화면이 나오지 않는 하는 문제가 있을까 하는 걱정이 있습니다.

저렴한 GPU를 하나 달면 쉽게 해결된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이 서버는 초미니 ITX 케이스로 구성 (APU용 form factor 사이즈) 해서 만들어볼 예정이라 공간문제로 뚜껑을 닫으려면 결국에는 GPU를 제거해야 하다보니 이상한 해결책을 찾는 중입니다. 혹시 방법이 있을까요?


2. 가상화에 대해서 전혀 모릅니다. ESXi 에 vm 을 잘 이용하면 이런 경우에(외장그래픽 없이 사용) 하나의 해결책이 될 수 있을까요? 혹 키워드를 알려주시면 제가 그 부분은 좀 더 찾아보겠습니다.


3. 계속 검색을 하다보니 TDP 만 허락한다면 ITX시스템을 따로 제작하는 것 보다, AMD mini PC 베어본을 사서 CPU와 RAM만 추가하는 것도 비용적으로 괜찮다는 생각이 듭니다. m.2 포트에 외장그래픽을 달아서 실사용하는 youtube 영상이 있는걸 보니 설치는 가능할 것 같은데, 어떻게 잘 응용하면 셋팅후 gpu를 제거하고 사용이 가능할까요? 혹시 현재 이렇게 사용하시는 분은 없으실까요?


4. 혹시라도 보드에 그래픽 칩셋이 있는 것(라이젠용)을 아시면 알려주세요. 보통 Asrock에서 특이한 것을 많이 시도하던데 말입니다.


5. 이정도에 사용할만한 공랭쿨러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ITX 케이스에 low profile air cooler를 사용해 보신분의 소중한 견해를 구합니다.


6. 라이젠 APU가 있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캐쉬문제로 CPU 성능이 나쁘다고 들어서.. 또한 가성비도 그렇구요. 플랜 B로 i5 10400 이런 것이 있긴 하지만 사골 14 nm 라는 사실과 L3 캐쉬량 차이 때문에 최후의 보루로 생각중입니다. 결국 이런걸 이용해서 제작해야 할까요?


7. 이외에 혹시 이렇게 제작하면 안되는 이유를(제가 놓치고 있는) 말씀해 주셔도 감사합니다. 크게 놓치고 있는 부분이 있을지도 모르겠네요.


아래에는 제가 왜 이러한 시스템을 제작하고 싶은지에 대한 서술입니다. 스킵하셔도 됩니다.


----------------------------------------------------------------------------------------------------------------------------

저의 목표는 ITX 케이스와 SFX파워 혹은 서버파워를 이용한 작은 사이즈의 PC를 여러 대 만들기 위해서입니다.

그중에서도 ITX M/B 와 파워만 딱 들어가는 매우 작고 얇은 케이스에 이 시스템을 제작하고 싶습니다.

공간과 발열을 고려해 타협을 한 것이 Ryzen 3600 CPU + ITX 케이스에 구성해서 가능한 한 작게 만들고 싶습니다.

굳이 GPU를 제거하려는 이유는 itx form factor 급 에서는 아무리 작은 사이즈의GPU를 쓰더라도 시스템의 절반정도의 부피를 차지하기 때문입니다.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은 only 컴퓨터 시뮬레이션 이며, 이 연산은 RAM 클럭이 가장 중요하고, 그 다음이 CPU 성능의 중요합니다.

최적의 조건은 RAM 채널당 2~3개의 물리코어를 사용하고, RAM slot을 채널당 1개씩만 사용하는 경우이고, GPU는 연산에 전혀 관여하지 않습니다.

이 조건에서는 라이젠 6코어 CPU에 2개의 RAM슬롯을 가진 ITX M/B가 최적이라 판단이 되었습니다. (듀얼채널 한계와 공간을 고려하면)

계산 방식을 보면 몇 가지 변량의 값을 parameter sweep 을 통해 전수 조사하여 시스템의 최적해를 찾는 것이며, 각 경우는 많은 양의 RAM 을 요구하지 않습니다. (20 기가 이내)

이 이상의 하드웨어 성능을 요구하는 연산은 기존 Xeon 시스템에서 이용할 것이라 여기서는 추가 확장성은 고려하지 않았습니다.

----------------------------------------------------------------------------------------------------------------------------


결론적으로 Ryzen 3600과 DDR4 3200 16GB*2 으로 구성된 ITX 급 PC 를 여러 대를 만들어 일을 나누어 계산하는 것을 염두하고 있습니다.

유지보수는 제가 직접 할 예정입니다.


이상한 질문이지만 여러분들의 자문과 의견을 구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P.S 아래 링크는 3번의 경우로 사용하는 youtube 링크입니다. 그리고 Mac mini 이미지입니다.

----------------------------------------------------------------------------------------------------------------------------

P.S 2

Xeon 시스템을 고려하지 않은 것은 아닙니다.

RAM 4~6 채널을 지원하는 Xeon 시리즈를 추가로 구매해서 구현을 하면 가장 좋겠지만, 취미로 하기에 너무 비싸다는 생각이 듭니다

중요한 스펙인 RAM clock 도 아쉽단 생각이 듭니다. (중하급 서버급 CPU들이 대부분 그렇더라구요)

더욱이 24코어(12코어*2 CPU)에 쿼드채널(총 8채널) 로 구성된 워크스테이션이 6코어 2채널 PC 4대보다 소요시간이 더 오래 걸립니다.

해결방안을 찾질 못해서 그냥 물리적인 대수를 늘려 양으로 해결하려고 합니다.

데이터 신뢰성을 위한 ECC 기능도 포기했습니다. 고급 연산이 아닌 취미다 보니 그렇게 중요하단 생각이 들지 않습니다.

Skinnyrin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Qsup 2020-12
1. 불가능합니다. 부팅도 안됩니다.
2. 불가능합니다.
3. 애즈락 랙에서 나온 itx m2용 화면표시기가 있긴 합니다.(서버 전용 파츠라서 매우비싸고 구하기도 힘듭니다.) m2용 라이저는 있지만 결국 vga를 달면 마찬가지입니다. 공간을 허비합니다.
4. 4650G, 4750G 같은 APU가 있습니다. 보드에 내장그래픽은 서버용만 겨우 볼 수 있을겁니다.(가격은 먼산)
5. 6코어 기준 녹투아 L9a 정도가 amd, 인텔 6코어를 겨우겨우 버팁니다.(PBO나 터보부스트 성능은 기대하면 안됩니다.)
6. 4650G, 4750G의 성능은 3600x, 3700x와 비교하여 3% 전후의 적은 성능차이를 보입니다.
7. 패스

결론 : 램클럭, 레이턴시가 중요하면, 인텔 10400 + 램오버 가능한 Z보드를 구매하심이 좋을듯 합니다.
그리고 혹시나 맥미니 정도의 사이즈를 원한다면 완제품이 아닌이상 조립으로 6코어급은 좀 무리입니다.
     
Skinnyrin 2020-12
소중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깜빡했는데 램 레이턴시도 생각을 못했네요.
완제품 PC 는 시스템 쿨링을 하기 위한 특별한 기술력이 있는 것이네요.
참고해서 조립하도록 하겠습니다.
김우진 2020-12
보드 바이오스가 headless mode를 지원하면 혹시 모르겠지만, 서버보드도 아닌 일반 보드는 부팅조차 안되고 무한 삐삑거리기만 합니다.
그리고 4350G, 4650G, 4750G 피카소 APU 성능 상당히 좋습니다.
     
Skinnyrin 2020-12
소중한 답변 감사합니다.
headless mode 라고 하는 것이네요. 용어를 몰라 길게 풀어서 서술했는데 배워갑니다.

인터넷 검색을 해보면 피카소 APU가 일반적인 사용(사무용, 게임용, 벤치마크) 에서는 데스크탑 CPU와 거의 비슷한 성능을 낸다고 하던데, 괜히 과학 시뮬레이션 용도로의 비교영상은 없다보니 L3 캐쉬가 1/4 토막이 난 것이 큰 영향을 주지 않을까 마음에 걸렸습니다.

성능을 확인하려면 사서 비교해보는 수 밖에 없겠네요.
agp나 인텔 6코어가 낫겠네요.
     
Skinnyrin 2020-12
소중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DarknessAng… 2020-12
1. 안 되요

일단 부트할때 POST에서 걸려요

아무리 ITX 케이스라도 싱글 + LP인 그래픽정돈 껌으로 들어갑니다 (이게 안 들어가면 케이스 불량)

그리고 AsRock에서 M.2용 그래픽 내놓는다고 하니 그쪽도 기대해보세요

2. 가상자첸 리얼 GPU 할당 안 해줘도 되지만, 1에 적은대로 호스트 부트자체가 안 되요

3. 애초에 저런데 들어가는 CPU는 보드에 땜질되어져 있고, 무조건 내장 포함된 모델 (그래픽 장착 불가니 당연함)입니다

거기 NVMe or WLan등 -> PCIe해서 그래픽 다는건 주로 VM등에 패스하거나 게임용으로 쓸떄 게이밍 성능때문입니다

4. G붙어있는 라이젠은 그래픽 있어요 (4000대 하면 성능도 괜찮음) (아니면 U시리즈가 들어가는 베어본 계열등) (메트록스같은거 들어있는 보드 써도 되긴하는데, 그 보드값이면....그냥 싼 그래픽 박고 다른데 투자하세요)

5. 애매하면 LP용 쿨러중 좀 괜찮은거 찾아보세요 (LP용정도면 기본 쿨러 수준 높이라 들어감) (다만 RAM 슬롯쪽 덮어버릴정도로 넓어서 업글등이 귀찮음)

6. 요즘 잉텔 벤치 점수 보면 한숨밖에 안 나옵니다

7. 그래픽 없으면 안 되요!

굴러다니는 저렴한 LP + 싱글용 그래픽이라도 하나 다세요 (이정도라면 자리도 별로 안 먹어요)

참고로 그런 용도라면 NUC나 베어본 산더미처럼 쌓아두고 원격 관리로 돌리는걸 추천합니다
     
Skinnyrin 2020-12
소중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메트록스나 Asrock M.2 그래픽카드는 완전히 처음 들어본 내용이네요.
열심히 검색해 보겠습니다. 정보 감사드립니다.

NUC이면 인텔 CPU 내장된 일체형 mini PC 를 말씀하시는건가요?
          
DarknessAng… 2020-12


주먹보다 좀 더 큰 베어본입니다

기업용 기준을 충족할 수 있는 수준의 안정성과 내구성, 신뢰성을 가지고 있고, 일반 데탑용 보드에는 잘 없는 (실질적으로 대기업용 아니면 Q계열 칩셋 제품군 거의 없음) AMT가 대부분의 모델에 있어서 관리도 편합니다

사서 디스크랑 램만 꽃으면 준비끝입니다
제온프로 2020-12
개발용으로 원격서버로 사용하시고 싶으신 것 같에요...

24시간 365일 서버로 사용하고자 한다면...

냉각 성능및 안정성이 필요하겠네요...

이런 경우는 추천하는 서버는 HP Z440 + E5-2690 V3 + 64GB 정도면..
SSD까지 다해도 100만원 정도면 구성이 가능하고...
6~7년 편하게 사용합니다.. 12코어 24쓰레드네요...

성능이야.. AMD 쓰레드리퍼 3950 이 좀더 퍼포먼스가 좋겠지만..
안정적으로 수년간 사용하기에는 인텔제온이 경쟁력이 있습니다..

Dell T5810도 좋습니다.. 메모리소켓을 제외한다면.. T5810이 좀더 내구성이 있습니다..

편안한 시스템으로 연구활동에 매진하세요.... 컴퓨터 조립에 스트레스 받지 마세요...
     
Skinnyrin 2020-12
소중한 답변 감사드려요.
스트레스라기 보다는 그냥 이런저런 시도를 해보고 싶은 생각이었습니다.

추천해주신 제품군도 같이 비교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제온프로 2020-12
어짜피... 저런 미니로는 않되요...
배달 2020-12
케이스 크기를 조금 포기하면 itx 케이스 중에 K39 V2, ZS-A4M V2 있습니다. K39 V2는 네이버에 검색하면 직구 대행 스토어 있습니다.
     
Skinnyrin 2020-12
소중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마침 케이스도 비교하던 중이었는데, 답변 감사합니다.
작고 쿨링이 아주 잘 될 것 같은 케이스네요,
gmltj 2020-12
서버용 보드 중에 자체 보드 내장 그래픽이 달린 애들이 있긴 한데...라이젠으로도 그런 보드가 있는지는... itx 사이즈까지 감안하면.....
     
DarknessAng… 2020-12
Asrock등을 뒤지면 어쩌면... (제온 보드를 ITX로도 만드는 회사니 혹시 모름)
          
gmltj 2020-12
있기는 하네요.... 보드에 자체 내장그래픽 ASPEED AST2500 이 내장된 보드인데...

https://www.asrockrack.com/general/productdetail.asp?Model=X570D4I-2T#Specifications

그런데 가격이 뉴에그에서 $400이 넘습니다. ;;;;;;
               
DarknessAng… 2020-12
그게 가장 큰 문제죠

그돈이면 그냥 싼 그래픽 (작은넘) 하나 사서 다는게 횔씬 이득이니까요
     
Skinnyrin 2020-12
두 분 모두 답변 감사드립니다.
서버시장의 세계는 참으로 방대하고 넓네요.
가격만 딱 맞으면 좋으련만 참 아쉽습니다.

좋은 정보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술이 2020-12
알리보드는 VGA 안달아도 부팅되든데...(좀 신기하긴 했습니다.)
아마 바이오스에서 내장그래픽 있는것처럼 옵션을 박아버렸나 보드라구요.
이현석1 2020-12
24시간 돌리는 사양이 아니라면 AWS나 MS 쪽 클라우드서비스를 사용해 보시는건 어떨까요?
초기에 비용이 적게 들꺼고 실패해도 사용한만큼만 비용을 내게 되니.. 한번 해보고 넘어가셔도 좋을듯 합니다.


QnA
제목Page 874/5725
2015-12   1769943   백메가
2014-05   5244536   정은준1
2020-12   6497   장동건2014
2020-12   7802   반성만
2020-12   6357   이천풍
2020-12   6126   집구석
2020-12   2792   2CPUI김세훈
2020-12   3870   h4cker
2020-12   3532   알수없는힘
2020-12   3548   블랙
2020-12   6710   김도형
2020-12   6405   fiento
2020-12   3894   캔위드
2020-12   3305   굴렁쇠
2020-12   2140   프로시아
2020-12   3147   나는곰인뎅
2020-12   5055   Sikieiki
2020-12   5797   지존
2020-12   3779   프링글스
2020-12   3795   퍼싱글
2020-12   4518   슬러그
2020-12   2711   블랙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