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용 4TB HDD -> SSD 단가차이가 얼마나 날까요?

   조회 7101   추천 0    

이번에 서버 구축하면서 기존 느려터진 SATA 4TB HDD를 SSD 4TB로 바꿔 볼까합니다.

단가 차이가 얼마나 날까요?

많이 나면 OS+DB용 SSD + 로그용 HDD 조합으로 갈려고 생각하는데 요즘 어떻게 구성 많이 하는지도 궁굼합니다.

실 사용은 300GB 이하인대요 ㅎㅎㅎㅎ

금액이 알고 싶은데 오픈하기 힘드시면 동일 용량의 몇 배정도 되는지 알려주세요.


감사합니다. 한해 마무리 잘하시고 새해에는 좋은 일만 있으시길 바랍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20-12
벤더냐 리테일이냐에 따라 느끼는 가격 차이가 클 것입니다..

벤더가 정해져도 어느 리셀러가 견적했느냐에 따라 가격이 변합니다..

물론 1개 사는 것과 100개 한번에 사는 가격도 틀리죠..

다나와나 대형 쇼핑몰에서 가격을 비교해보시던지 벤더라면 벤더 리셀러로 부터 견적을 받아보세요..


SSD도 엔터프라이즈 급이 따로 있으며 리테일 엔터프라이즈 급 SSD는 수요가 적어서 잘 안보입니다..

삼성 제품도 있는데 국내에는 판매하지 않는 것과 다름이 없습니다..

https://www.samsung.com/semiconductor/minisite/ssd/product/enterprise/pm863a/

https://www.esus-it.com/product-eng-19772-SSD-disk-Samsung-PM863a-3-84TB-2-5-SATA-6Gb-s-TLC-3D-NAND-MZ7LM3T8HMLP-00005.html
the촌놈 2020-12
1TB 정도의 기업용 SSD는 생각보다 그렇게 비싸지 않습니다. 그게 비싸다면 엔터프라이즈급 10k SAS HDD를 사용해도 되고요. 성능이 7.2k HDD보다 2배쯤 나옵니다. 가격도 그렇게 비싸진 않고요. 물론 성능은 SSD가 넘사벽이긴 합니다만.... 어느정도의 성능이 필요한지를 계산해보는 게 먼저가 아닐까요?
박문형 2020-12
서버용 제품은 편하게 하시려면 AS가 잘되는 제품이 좋습니다..

SSD/HDD등은 보통 RMA 처리하기에 불량 보내 버리면 기다려야 합니다만 (다른 것 구해서 대처해야 함)

직구했다가 AS자체가 안되는 정도가 되면 많이 곤란해집니다..




저는 SSD는 퍼포먼스 좋다는 것은 알지만 그다지 신뢰하지 않고 제 개인 PC에는 사용도 안합니다..

서버용 HDD에서는 SATA 말고 SAS도 있고 용량은 좀 작지만 10K /15K rpm으로 동작하는 고성능 제품도 있습니다..

그리고 캐쉬 달린 레이드 카드는 검토 제외 대상인가요??

케쉬달린 레이드 카드도 HDD의 퍼포먼스를 올려줍니다..
DarknessAng… 2020-12
일반 소비자용 NVMe 테라당 11~12만정도 먹혀요

다만 DB서버 규모가 커서 기록량이 많다면 엔터용 사세요! (아니면 몇년내로 죽음)

실사용량이 300기가정도라면 장터에서 0.6~1테라정도의 엔터 매물 적당한것 집어서 달면 충분하겠네요
제온프로 2020-12
6배 ~ 8배 정도 하는 것 같습니다...
gmltj 2020-12
일반 컨슈머용으로 사면 수명이.... 요즘 것들은 수명이 많이 짧아서 비싸도 엔터프라이즈용으로 가시는게 낫습니다.
박문형 2020-12
http://prod.danawa.com/info/?pcode=6147153

HGST Ultrastar DC SA210

스팩에 비해 가격이 상당히 좋네요..


http://prod.danawa.com/info/?pcode=12233492

Seagate 아이언울프 프로 125 SSD

엔터프라이즈용이라고 보기에는 2% 부족한
제온프로 2020-12
서버에 단일 드라이브로 설치 하는 것은 좀. 무모해 보입니다...
거의
반드시..
레이드 구성으로 데이터 유지..보호를 해야 합니다...  그 전에 백업 정책은 더 중요하죠...

대략
SAS SSD 400GB X 6개 Raid 6 구성 + 1 Spare 로 구성하면.. ( 장터에 있음)
5년 이상은 안심되지 않을까요 ??
더군다나.. 매주 백업을 하신다면..  무서울게 없죠...

- 바이러스 / 렌섬웨어에 대한 대응
- SSD Fail에 대한 대응
- 서버 업데이트 실패로 인한 부팅 불능
- 파워 Fail에 대한 대응
- 컨트롤러 Fail에 대한 대응

요러한 장애 가상 시나리오를 세우셔서 장애 극복 대응책을 가지고 계셔야 합니다.


QnA
제목Page 876/5731
2015-12   1793688   백메가
2014-05   5268677   정은준1
2017-02   9098   Delight
2019-07   3316   김건우
2020-09   7914   장동건2014
2022-03   3186   죠슈아
2023-11   1608   김민철GC
2015-01   3896   지니보이
2022-04   3206   부산대빵
2022-04   3292   cho609495
2018-05   4804   일론머스크
2018-06   5721   DoubleSH
2017-03   3871   김건우
2020-10   7548   KGOON
2011-01   7621   가빠로구나
2013-09   7082   이병한
2020-10   3577   꺄울
2015-02   4163   박위롱
2011-01   9946   김1정2욱
2013-09   20574   user
2015-02   5212   수필처럼
2016-04   4775   쌍cp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