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5) |
정은준1 |
2014-05 |
5139128 |
0 |
2014-05
5139128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673613 |
25 |
2015-12
1673613
1 백메가
|
68401 |
omni-nfs 프로그램 관련 문의드립니다. (4) |
김용수 |
2007-04 |
4625 |
49 |
2007-04
4625
1 김용수
|
68400 |
외부에서 홈피 액세스가 안됩니다. (3) |
미수맨 |
2012-05 |
4625 |
0 |
2012-05
4625
1 미수맨
|
68399 |
장터게시물 끌어올리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2) |
제스퍼즈 |
2014-09 |
4625 |
0 |
2014-09
4625
1 제스퍼즈
|
68398 |
고수님들 이거 사도 될까요 ㅜ? (13) |
윈리 |
2018-03 |
4625 |
0 |
2018-03
4625
1 윈리
|
68397 |
FC카드가 설치된 컴퓨터 끼리 연결하면 어떻게 되는지요?? (4) |
블루영상 |
2017-01 |
4625 |
0 |
2017-01
4625
1 블루영상
|
68396 |
일반 SATA 케이블을 SAS 케이블로 꽂아 쓸수 있나요? (12) |
민사장 |
2015-03 |
4625 |
0 |
2015-03
4625
1 민사장
|
68395 |
델 프리시전 M6800 노트북 분해 수리+개조 가능한 곳 있을까요? (3) |
VSPress |
2017-08 |
4625 |
0 |
2017-08
4625
1 VSPress
|
68394 |
업데이트패치를 (3) |
윤호용 |
2007-05 |
4625 |
9 |
2007-05
4625
1 윤호용
|
68393 |
한국에서 미국으로 가져온 중고 노트북을 다시 한국으로 보내려고 합니다. (10) |
2CPU이창수 |
2014-03 |
4625 |
0 |
2014-03
4625
1 2CPU이창수
|
68392 |
타이안 2466에 새로 USB2.0 카드 어디에 꽂아야할까요 (3) |
한제희 |
2006-10 |
4625 |
20 |
2006-10
4625
1 한제희
|
68391 |
전동드라이버 추가질문....14.4v VS 18v (3) |
김건우 |
2016-06 |
4625 |
0 |
2016-06
4625
1 김건우
|
68390 |
esxi 에서 gnu passthrough 문의 드립니다. OS X |
김제연 |
2016-01 |
4625 |
0 |
2016-01
4625
1 김제연
|
68389 |
아파트 근처에 있는 곳에서 나온 버섯인데요. 나무는 아카시아 나무 잡목이 있는 (9) |
신은왜 |
2021-09 |
4626 |
0 |
2021-09
4626
1 신은왜
|
68388 |
[질문] PCI-X Slot에 레이드 카드를 장착시 이상합니다. |
윤영배 |
2007-01 |
4626 |
32 |
2007-01
4626
1 윤영배
|
68387 |
HP Envy X2 구입 후기 (9) |
아름다운노을 |
2014-02 |
4626 |
0 |
2014-02
4626
1 아름다운노을
|
68386 |
갑작스런 정전이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이 있나요? (9) |
최용섭 |
2015-03 |
4626 |
0 |
2015-03
4626
1 최용섭
|
68385 |
저와 같은 경험 하신분 계십니까? |
김현우 |
2007-10 |
4626 |
4 |
2007-10
4626
1 김현우
|
68384 |
메인보드 바이오스에서 CPU를 지원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23) |
이상윤SY |
2022-04 |
4626 |
0 |
2022-04
4626
1 이상윤SY
|
68383 |
무선랜 (9) |
서울김창희 |
2014-03 |
4626 |
0 |
2014-03
4626
1 서울김창희
|
68382 |
Lenovo p900 nvme flex 설치후 일반하드 인식문제 (2) |
soom |
2018-04 |
4626 |
0 |
2018-04
4626
1 soom
|
전원 포트 안에 접지 단자가 없을 수 있습니다..
전원 포트 안에 접지 단자가 없으면 외부 접지선을 이용해야 합니다..
전원 포트 안에 접지 단자가 있으면 그 접지 단자와 외부접지선을 멀티미터로 저항을 재어 보아 0 옴에 가까이 나와서 전기가 잘 소통 되는 상태면
그냥 전원 포트 안의 접지선만 사용하시면 됩니다..
있는경우 왜 따로 접지라인이 따로 추가로 있느냐 이게 좀 궁금합니다..
왜 에어컨과 세탁기는 접지콘센트를 사용하는데, 따로 외부 접지선을 연결해 놓았을까요?
제가 생각한 답은... "그게 더 접지를 확실히 할 수 있는 방법이고, 더 안전하니까."입니다.
접지플러그로 설계되어있는데 접지단자가 따로있는 이유는 혹시모를 랙내 기기간 전위차로인한 제품 소손이나 오작동을 방지하기위한 설계입니다. 랙이어가 철로되어있어서 랙이어만으로도 전위차가 해결되지않겠느냐싶겠지만 장비를 설계하는사람들 생각은 그렇지 않다고하더라구요.
아무튼 이단자는 본딩의개념이지 연장이나 확장의개념은 아니니 스위치가 설치되는곳이 아주 최첨단...뭐그런시설이아니라면 그냥 두시면됩니다.
정밀장비/ 실험장비 라면.. 꼭 둘다 해 줘야 합니다...
스위치나 라우터라면... 굳이 둘다 해 줄 필요가 있나.. 의심이 드는데..
왜 메뉴얼은 둘다 하라고 할까요.. 물론 이유가 있어서 그러겠지만...
메뉴얼이 하라는 데로 하는 것이 맞기는 합니다....
IDC에서도... 스위치라.. 라우터..방화벽등.. . 별도로 접지를 잡지는 않더군요..
전원 플러그의 접지로 커버 하더군요...
일단은 콘센트 접지에 2개 물려주고 나중에 어스끌어오면 거길로 해줄생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