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666804 |
25 |
2015-12
1666804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4) |
정은준1 |
2014-05 |
5132145 |
0 |
2014-05
5132145
1 정은준1
|
56674 |
[re] 질문 입니다. (2) |
선우균 |
2008-08 |
5210 |
11 |
2008-08
5210
1 선우균
|
56673 |
시게이트 3TB 하드가 35달러라는데 믿을 수 있을까요? (5) |
해피버그 |
2013-09 |
5210 |
0 |
2013-09
5210
1 해피버그
|
56672 |
키폰에 이어셋 사용가능한 방법문의 (3) |
나비z |
2017-07 |
5210 |
1 |
2017-07
5210
1 나비z
|
56671 |
VMWare Workstation에서 USB 장치 에러 해결방법은? (2) |
한두성 |
2008-08 |
5210 |
19 |
2008-08
5210
1 한두성
|
56670 |
ASROCK RMA 해보신분 계신가요? (3) |
luciddream |
2014-07 |
5210 |
0 |
2014-07
5210
1 luciddream
|
56669 |
이런경우는 처음이라 파워문제인지 아니면 쇼트난건지 모르겠습니다. (6) |
홍성호 |
2006-12 |
5210 |
28 |
2006-12
5210
1 홍성호
|
56668 |
비스타에서 리눅스의 su 기능을 하는 방법있나요? (3) |
김건우 |
2008-03 |
5210 |
8 |
2008-03
5210
1 김건우
|
56667 |
폰트가 번져서 보입니다. (4) |
조윤성 |
2008-04 |
5210 |
8 |
2008-04
5210
1 조윤성
|
56666 |
10KVA (8kwatts) UPS의 소음이 어느정도일까요? (9) |
이니이니 |
2016-11 |
5210 |
0 |
2016-11
5210
1 이니이니
|
56665 |
램 양면,단면 질문이욥 (5) |
갈릭푸드 |
2015-04 |
5210 |
0 |
2015-04
5210
1 갈릭푸드
|
56664 |
방등 LED로 교체 하려는데, 가장 이상적인 방법. (6) |
서정욱 |
2016-06 |
5210 |
0 |
2016-06
5210
1 서정욱
|
56663 |
미크로틱 751G-2Hnd에서 AP, CPE, PTP Bridge (2) |
파리대왕 |
2012-10 |
5211 |
0 |
2012-10
5211
1 파리대왕
|
56662 |
델 T7500에서 라이저카드 꽂으면 2 3 4번이 깜빡거리네요..ㅠㅠ (4) |
두cpu |
2017-03 |
5211 |
1 |
2017-03
5211
1 두cpu
|
56661 |
혹시 이거 빛샘 심한편일가요? (5) |
로벨리아 |
2020-08 |
5211 |
0 |
2020-08
5211
1 로벨리아
|
56660 |
옥x같은데서 파는 보드테스트기기 괜찮나요? (7) |
구명서 |
2006-03 |
5211 |
18 |
2006-03
5211
1 구명서
|
56659 |
[추천요망] 파워 추천 하나 주세요~ (7) |
김덕기 |
2006-01 |
5211 |
4 |
2006-01
5211
1 김덕기
|
56658 |
VMWARE AMD시스템에서 NUMA오류 - [해결]자문자답 |
김도헌 |
2006-09 |
5211 |
33 |
2006-09
5211
1 김도헌
|
56657 |
영상신호를 캡쳐하여 레코딩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싶은데 어떻게 접근하면 될까요? (2) |
냐아아아암 |
2016-08 |
5211 |
0 |
2016-08
5211
1 냐아아아암
|
56656 |
Supermicro 메인보드 구매 질문 (7) |
Ansyncic |
2017-04 |
5211 |
0 |
2017-04
5211
1 Ansyncic
|
56655 |
테슬라 섞어찌게 가능한지 ? (3) |
박문형 |
2013-04 |
5211 |
0 |
2013-04
5211
1 박문형
|
문제는 위성안테나가 크고 성능이 좋아야 어느 정도 좋은 화질이 나오고 셋팅하기 어려우며 어느 정도는 날씨의 영향도 받습니다..
아마 지금도 있을텐데 고속버스 보시면 거기 방송을 위성방송으로 받습니다..
터널 들어가버리면 위성하고 연결이 안되서 화면이 끊어지죠..
옛날 기술이지만 아직도 사용하는 것을 보면 산간오지에서는 저것 밖에 방법이 없구나 하는 생각도 드네요..
채널 수가 아마 동일한 것으로 아는데... 저는 아직 재계약 시점이 도래하지 않아서 잘 안봐서 이정도만 아네요.
하늘만 보이면 애지간하면 다 개통이 된다.
단점...
비 많이오고 바람 많이 불면 안나옴...
태양흑점 활동이 심해지면 간간히 끊김...
제일 문제가.태풍때 재난 방송을 못보....
(출동은....늦게 옵니다. ㅜㅡㅜ)
하지만 케이블이 더 좋다
전 아직 100m 가정용 최저 요금제 사용중 이요
몇 년 전 IPTV 출시 초기에는 케이블 TV 쪽과의 경쟁으로 인해서 IPTV 쪽에는 송출하지 않는 방송 채널들이 많이 있었죠.
그 때 KT가 스카이라이프는 자회사라서 별개이고 이건 위성 방송이라서 기존 케이블 TV 채널들과 맺은 계약에 따라서 IPTV에서는 나오지 않는 채널들도 다 나온다...면서 팔아 먹은 겁니다.
그러니까 위성 방송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인터넷망을 백업으로 쓸 수 있게 개발된 기술이지만,
KT는 IPTV의 채널 부족 문제를 우회적으로 회피하는데 사용한거죠.
또한 예전에는 법적으로 위성 방송, 케이블 TV, IPTV를 따로 따로 가입자 수로 잡아서 점유율을 따져서 독과점 제한을 두었기 때문에
KT에서 가입자를 분산시키려는 목적도 있었습니다. 지금에 와서는 법이 바뀌고 시장 상황이 달라져서 다 의미가 없어진거지만요.
지금도 해당 서비스가 계속 제공되는건
1. 위성 방송 자체가 필요한 사람이 있고, 위성 수신 품질에 불만이 있는 경우도 많다
2. IPTV를 메인으로 쓰기에는 통신 품질이나 속도에 한계가 있는 경우도 있다
3. 인터넷 회선도 같이 끼워 팔 수 있다
4. DCS라고 해서 아예 위성 방송을 안테나랑 수신기 없이 백업용 인터넷을 메인으로 쓰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설치비 부담을 줄인다
5. 애초에 KT스카이라이프는 대주주가 KT라서 자회사이기는 하지만 IPTV로 KT가 돈번다고 해서 KT스카이라이프랑은 아무런 상관이 없다
등등의 이유가 있습니다.
이모 농막에 그래서 어쩔수 없이 위성으로 계약 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