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콘텐츠 공유 서버 조언 부탁드려용

skzj   
   조회 3438   추천 0    

 저희가 이번에 서버를 하나 마련하려고 하는데

용도는 팀원들간 영상물 업로드 및 공유 입니다.


기존에는 영상팀에서 영상 파일을 하드디스크로 옮기고 컴퓨터로 다시 저장해서

편집하고, 편집한 영상을 다시 메일이나 하드디스크로 보내는 식으로 작업을 했는데

작업물이 많아지다보니 너무 비효율적이어서 해결책을 찾고 있습니다.


팀원들이 작업할때도 영상을 업로드하면 다 같이 공유할 수 있으며

하드디스크 용량이 차면 교체 및 보관도 편해서 나스 서버를 하나 구비하려고 합니다.


중소기업이다 보니 워크스테이션처럼 큰 규모의 서버는 못하는 것이 아쉽네요


예산은

하드디스크 추가 구매 비용 제외하고

서버 구축 예산은 50만원 정도 생각하고 있습니다.

 

질문 요약

1. 4bay 나스서버 하나 구매하면 4명이서 영상물 편집 및 업로드, 공유가 가능할까요?


+질문

(1)나스 서버가 아니라 SaaS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일까요?


처음 알아보는거다보니... 다른 방안이 있으면 조언부탁드립니다ㅠㅠ

박준홍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skzj 2021-01
예산이 너무 터무니 없으면 말씀해주세요 증액해보겠습니다!!!
예산 = 네이버 쇼핑에서 nas서버 검색해서 본 금액대 입니다
박문형 2021-01
무슨 프로그램으로 무슨 작업을 하는지 모르고 데이터가 어떤 종류인지 모르기에 모라 이야기 할 것이 없습니다..
     
skzj 2021-01
프로그램이라고 하기에는 파이널컷, 프리미어, 다빈치 리졸브로 영상 편집합니다.
데이터는 카메라로 촬영한 촬영물입니다.
박문형 2021-01
사용하시는 컴퓨터들 네트워크가 최소 10G 는 되어야 할 듯합니다..

이것만 재대로 구축해도 최소 몇백만원 들어갈 겁니다..


그리고 영상 편집 전용 스토리지나 네트워크를 꾸미시게 되면 몇천 만원 이상 생각하셔야 합니다..(4K 급이면 더 가격이 올라가겠죠..)
     
skzj 2021-01
SaaS서비스 사용하는 것이 나을까요?
          
박문형 2021-01
사용하시는 프로그램이 SaaS서비스를 지원하나요??

영상물은 보통 유출되면 골치 아프기에 패쇄적인 곳에서 작업하는 것이 일반적 일 텐데요..


그리고 클라우드 서비스 생각하시면 그렇게 작업할 때 1달 사용료가 얼마나 나오는지 견적 내어 보는 것도 좋아 보입니다..
시도니 2021-01
영상물의 사이즈가 어떻게 되시는지요.

일단 50으로 해결하기에는 저장공간을 확보하는데도 버거운 금액입니다.
     
skzj 2021-01
1920x1080입니다

50은 나스서버 구매비용이고 내부에 들어가는 하드디스크는 별도 구매할 생각입니다!
병철 2021-01
50이 하드 제외인듯..
DarknessAng… 2021-01
일단 50으론 택도 없다고 애기하겠습니다 (그정도 할려면 못해도 5기가 + SSD Cache 필수입니다) (여기에 ECC 8G이상 달고, 제온 시퓨랑 보드 중고로 사고, 케이스 사고, 파워도 사야하는데, 이정도 다 사면 저걸론...) (물른 중고 구형 서버 (공간 효율, 소음, 내구성등 고려하면 좀 비추)를 통으로 사서 NIC + SSD*2 달면 아슬하게 가능할 수 도 있습니다)

그리고 애초에 하드*4의 성능으로 영상 편집에 쓰면 여러명 동시 접근 안 하고, 혼자 접근하면 딱 맞는 수준입니다 (거의 교대로 접근하지 않으면 성능 하락 눈에 띄게 보입니다)

제가 혼자서 4k도 아닌걸 다룰떄 쓰던 NAS가 HDD*4 + SSD*2였는데도 쓰는데 답답해져서 나중엔 그냥 대용량 NVMe달고, 결과물이랑 소스 저장하는데밖에 안 썼습니다

그리고 위에도 적혀있지만, 기가따위론 택도 없으니까 제대로된 네트워크 스위치도 한대 사고, 컴마다 이 속도에 맞는 고속 NIC달아야하는데, 네트워크 스위치 1개 50 넘어요
다나와기준 개인용 2bay  빠듯하게 구입하실수 있을거같네요
동시에 입출력하는거아니면 괜찮을거같기도하고 .... 근데 빠르냐 하면 그건또 아니라 ....
     
DarknessAng… 2021-01
영상 편집할때 디스크등 느리면 열받아서 성질 급하면 창밖으로 집어던질지도 모릅니다 (...) (4개 묶고, 케쉬 SSD 2개 달아도 답답했음)
          
네 그러니까 결과물만 올려놓고 다운받아보는거면... 뭐....
한 5분 10분 복사해서 보고 그럴수있는거면 가능은 할거 같은데....
               
DarknessAng… 2021-01
그조차 2개론 답답함

어차피 2개면 RAID1밖에 못하니까 단일 디스크랑 동일하거나 조금 느린 쓰기 나와서 200메가도 안 뜨니 적어도 몇십~몇백기가를 다루는 회사 규모의 작업엔 안 맞아요 (제대로된 영상 관련 회사라면 프로젝트당 몇백기가는 기본이고, 테라도 간단하게 갑니다)

저조차 혼자 쓸때 애기고, 공유되어있으니 여러명이서 접근하면 급격하게 느려져서 1인당 기가랜 속도도 못 채우는 수치 나오고, 여기까지 내려가면 이미 인내심으론 감당 안 됨 (작업 효율자체가 저하)
박문형 2021-01
영상작업은 어짜피 돈이 오가는 것인지라... (그리고 상당한 노가다 입니다..)

시간은 돈입니다..

고객이 원하는대로 하지 못하고 작업기간 못 맞추면 나가리 되는 경우 많습니다..
skzj 2021-01
고수님들께서 말씀하시는 부분들을 종합해보았을 때 예산 증액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혹시 예산을 어느정도 잡아야구축이 가능할까요ㅠㅠ 도통 감이 안잡히네요
     
DarknessAng… 2021-01
일단 프로젝트 전체 용량, 파일 개당 평균 용량, 접속 인원등을 다 산출하세요

그리고 여기에서 여유가 2~30%는 있는 수치가 최저치라 보면 됩니다

참고로 CPU 성능은 별로 안 중요하고, 4~6 디스크정도라면 별도의 컨트롤러보단 온보드로 다 떄우는게 편할껍니다 (아니면 LSI제 컨트롤러 장터에서 집어서 달아도 되지만, 저런 규모면 LVM이랑 비교해서 그닥 나아지는점 없음)

그리고 수치 뽑을때 HDD기반이면 접속 (읽기랑 쓰기 둘 다 동시에 합쳐야함)하는 개수에 정비례해서 급격하게 느려집니다 (혼자 쓸떄 100이라면 2명이면 35+35, 3명이면 15+15+15, 3명이면 7+7+7+7 이런 성능이 되버리기 일수라서 이걸 완화하는 방법으로 디스크 개수를 늘리거나, 케쉬를 달게 됩니다)

ECC는 의견이 분분한데, 기본 회사용이면 데이터가 중요하니 필수라고 생각해주세요
박문형 2021-01
현재 사용하시는 시스템 전체적인 것(편집시스템/스토리지시스템)과 네트웍 망도 같은 것 그리고 작업종류 /용량을 꼼꼼하게 하나로 정리해서

무엇을 보강해야 하는지 물어보시고

판매하는 곳이나 솔류션 가진 곳에 문의하셔서 견적을 받으시면 어느 정도 해결이 될 듯합니다..

이 쪽은 절대적인 답도 없고 경험없이 답을 찾기 힘듭니다..
skzj 2021-01
네 알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을 주셔서!!
제온프로 2021-01
다소.. 어색한 질문 내용이군요..

파일공유와 저장 이 주 목적 같습니다...
외부로 호스팅 할 필요는 없을 것 같고요..
FTP 서버로 하는 것이 좋아보이고...
SAMBA 서버로 하면 더 편할 건데. 사무실 외에서 접근은 않되고요.. 내부에서만..
NAS 서버를 구축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팀원 수가 적어 적정한 금액 예산을 만들어 (100만원 정도) Synology 4Bay 구성이 가장 좋은 솔류션 같구요...
Synology 내부에 좋은 서비스들이 많아 사용 목적에 부합하리라 생각되어 집니다..

좀더 견고하고 내구성강한 스토리지를 구성한다면 FreeNAS 서버가 좋을 것 같습니다..
12개 정도의 하드드라이브 구성하여 Raid 시스템 구축하면 데이터 보존성이 더 강해 집니다..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기에도 좀더 적당하고요...
정의석 2021-01
작업 PC들이 윈도우 PC이고, 사용자관리(계정별 권한등..)가 복잡하지 않고, 내부에서만 쓰는거라면 그냥 노는 윈도우 PC에 FTP나 공유폴더 설정하는게 나을수도 있습니다. 빈번한 읽기, 쓰기가 되는 폴더는 SSD달고, 완성 파일 보관용은 HDD달고 하면 될듯 합니다.
시놀로지같은것들은 이런저런 잡다한 기능이 있어서 비싸지만 하지 단순 파일공유용으로 쓰기엔 부적합한듯 합니다.
일반 윈도우 PC를 쓸 경우 안정성이 문제라고 할 수 있는데, 어짜피 시놀로지 같은 NAS들도 다 OS에서 동작하는 sw방식의 RAID입니다. 더구나 요즘은 이런저런 새로운 파일시스템(Btrfs)에 좀 특이한 레이드(RAID와 LVM을 섞은듯한...)를 쓰고 있는데, 이것이 윈도우 자체의 sw RAID보다 얼마나 나을지 모르겠습니다.


QnA
제목Page 847/5725
2015-12   1769013   백메가
2014-05   5243674   정은준1
2021-01   189   임두환
2021-01   11082   뉴자
2021-01   4044   라천민
2021-01   2856   별들의속삭임
2021-01   4603   송주환
2021-01   8209   inquisitive
2021-01   7035   장동건2014
2021-01   2428   skzj
2021-01   4612   아마카시
2021-01   4934   바람곰돌
2021-01   5894   indigo325
2021-01   4708   정의석
2021-01   5932   이희주
2021-01   7133   라나미비
2021-01   4699   h4cker
2021-01   3614   머리감자
2021-01   2171   VSPress
2021-01   2828   파리대왕
2021-01   2151   깜박깜박가
2021-01   507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