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5785 |
0 |
2014-05
5265785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90755 |
25 |
2015-12
1790755
1 백메가
|
97523 |
DELL T5820에 잘 맞는 10기가랜 카드 뭐가 있을까요? (7) |
VSPress |
2021-06 |
3514 |
0 |
2021-06
3514
1 VSPress
|
97522 |
엔토피아가 아닌 전용선에 대해 잘 아시는분 답변 바랍니다 (7) |
김대성 |
2009-01 |
5291 |
0 |
2009-01
5291
1 김대성
|
97521 |
기가바이트 메인보드에 sur_cen 커넥터 연결부분에서 aux_l, aux_r이라는건 스테레오… (2) |
김건우 |
2015-08 |
4536 |
0 |
2015-08
4536
1 김건우
|
97520 |
인텔 2세대 제품이면 현역으로 볼 수 있을까요? (13) |
나비z |
2020-02 |
5279 |
0 |
2020-02
5279
1 나비z
|
97519 |
인텔 서버보드... s5000vsa.. 팬 없이는 사용 불가? (7) |
김황중 |
2015-08 |
5222 |
0 |
2015-08
5222
1 김황중
|
97518 |
hp Z420 윈도 암호를 해제할 방법이 있는지요? (13) |
메가날백 |
2017-09 |
5203 |
0 |
2017-09
5203
1 메가날백
|
97517 |
사진첨부용 (3) |
삐돌이슬픔이 |
2024-10 |
756 |
0 |
2024-10
756
1 삐돌이슬픔이
|
97516 |
SAS 하드 드라이버 설치 (3) |
오홍학 |
2009-02 |
10704 |
0 |
2009-02
10704
1 오홍학
|
97515 |
퇴직금 세금... (5) |
Rich |
2024-10 |
1132 |
0 |
2024-10
1132
1 Rich
|
97514 |
75*75*15mm 저소음 팬 (5) |
푸이잉잉 |
2019-01 |
3104 |
0 |
2019-01
3104
1 푸이잉잉
|
97513 |
lg 일체형 컴퓨터 부팅 불가입니다 (6) |
부산초보 |
2024-10 |
1340 |
0 |
2024-10
1340
1 부산초보
|
97512 |
알리에서 결재한 금액은 언제 인출되나요? (2) |
장동건2014 |
2016-09 |
4381 |
0 |
2016-09
4381
1 장동건2014
|
97511 |
레이드 구성 질문입니다 (9) |
Commander |
2023-02 |
1613 |
0 |
2023-02
1613
1 Commander
|
97510 |
레이드0 콘트롤러에서 파티션 나누기 (8) |
로그아웃 |
2009-03 |
8148 |
0 |
2009-03
8148
1 로그아웃
|
97509 |
DVD/BD 레코딩 프로그램을 추천부탁드립니다. (7) |
심바트 |
2017-10 |
4954 |
0 |
2017-10
4954
1 심바트
|
97508 |
마우스 사용해보고 구매할 수 있는 방법 없나요? (4) |
고양시 |
2021-06 |
2969 |
0 |
2021-06
2969
1 고양시
|
97507 |
Sata 데이터 포트를 늘릴 수 있는지요? (9) |
Win31 |
2015-09 |
4842 |
0 |
2015-09
4842
1 Win31
|
97506 |
HP서버 fan failed 메시지가 나옵니다. (4) |
권희석 |
2014-05 |
5361 |
0 |
2014-05
5361
1 권희석
|
97505 |
우분투에서 하드디스크 SATA포트 번호(위치) 정확하게 알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1) |
zestyus |
2021-06 |
2253 |
0 |
2021-06
2253
1 zestyus
|
97504 |
하드 용량이 이상합니다. (5) |
이종원 |
2009-03 |
6123 |
0 |
2009-03
6123
1 이종원
|
예산 = 네이버 쇼핑에서 nas서버 검색해서 본 금액대 입니다
데이터는 카메라로 촬영한 촬영물입니다.
이것만 재대로 구축해도 최소 몇백만원 들어갈 겁니다..
그리고 영상 편집 전용 스토리지나 네트워크를 꾸미시게 되면 몇천 만원 이상 생각하셔야 합니다..(4K 급이면 더 가격이 올라가겠죠..)
영상물은 보통 유출되면 골치 아프기에 패쇄적인 곳에서 작업하는 것이 일반적 일 텐데요..
그리고 클라우드 서비스 생각하시면 그렇게 작업할 때 1달 사용료가 얼마나 나오는지 견적 내어 보는 것도 좋아 보입니다..
일단 50으로 해결하기에는 저장공간을 확보하는데도 버거운 금액입니다.
50은 나스서버 구매비용이고 내부에 들어가는 하드디스크는 별도 구매할 생각입니다!
그리고 애초에 하드*4의 성능으로 영상 편집에 쓰면 여러명 동시 접근 안 하고, 혼자 접근하면 딱 맞는 수준입니다 (거의 교대로 접근하지 않으면 성능 하락 눈에 띄게 보입니다)
제가 혼자서 4k도 아닌걸 다룰떄 쓰던 NAS가 HDD*4 + SSD*2였는데도 쓰는데 답답해져서 나중엔 그냥 대용량 NVMe달고, 결과물이랑 소스 저장하는데밖에 안 썼습니다
그리고 위에도 적혀있지만, 기가따위론 택도 없으니까 제대로된 네트워크 스위치도 한대 사고, 컴마다 이 속도에 맞는 고속 NIC달아야하는데, 네트워크 스위치 1개 50 넘어요
동시에 입출력하는거아니면 괜찮을거같기도하고 .... 근데 빠르냐 하면 그건또 아니라 ....
한 5분 10분 복사해서 보고 그럴수있는거면 가능은 할거 같은데....
어차피 2개면 RAID1밖에 못하니까 단일 디스크랑 동일하거나 조금 느린 쓰기 나와서 200메가도 안 뜨니 적어도 몇십~몇백기가를 다루는 회사 규모의 작업엔 안 맞아요 (제대로된 영상 관련 회사라면 프로젝트당 몇백기가는 기본이고, 테라도 간단하게 갑니다)
저조차 혼자 쓸때 애기고, 공유되어있으니 여러명이서 접근하면 급격하게 느려져서 1인당 기가랜 속도도 못 채우는 수치 나오고, 여기까지 내려가면 이미 인내심으론 감당 안 됨 (작업 효율자체가 저하)
시간은 돈입니다..
고객이 원하는대로 하지 못하고 작업기간 못 맞추면 나가리 되는 경우 많습니다..
혹시 예산을 어느정도 잡아야구축이 가능할까요ㅠㅠ 도통 감이 안잡히네요
그리고 여기에서 여유가 2~30%는 있는 수치가 최저치라 보면 됩니다
참고로 CPU 성능은 별로 안 중요하고, 4~6 디스크정도라면 별도의 컨트롤러보단 온보드로 다 떄우는게 편할껍니다 (아니면 LSI제 컨트롤러 장터에서 집어서 달아도 되지만, 저런 규모면 LVM이랑 비교해서 그닥 나아지는점 없음)
그리고 수치 뽑을때 HDD기반이면 접속 (읽기랑 쓰기 둘 다 동시에 합쳐야함)하는 개수에 정비례해서 급격하게 느려집니다 (혼자 쓸떄 100이라면 2명이면 35+35, 3명이면 15+15+15, 3명이면 7+7+7+7 이런 성능이 되버리기 일수라서 이걸 완화하는 방법으로 디스크 개수를 늘리거나, 케쉬를 달게 됩니다)
ECC는 의견이 분분한데, 기본 회사용이면 데이터가 중요하니 필수라고 생각해주세요
무엇을 보강해야 하는지 물어보시고
판매하는 곳이나 솔류션 가진 곳에 문의하셔서 견적을 받으시면 어느 정도 해결이 될 듯합니다..
이 쪽은 절대적인 답도 없고 경험없이 답을 찾기 힘듭니다..
파일공유와 저장 이 주 목적 같습니다...
외부로 호스팅 할 필요는 없을 것 같고요..
FTP 서버로 하는 것이 좋아보이고...
SAMBA 서버로 하면 더 편할 건데. 사무실 외에서 접근은 않되고요.. 내부에서만..
NAS 서버를 구축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팀원 수가 적어 적정한 금액 예산을 만들어 (100만원 정도) Synology 4Bay 구성이 가장 좋은 솔류션 같구요...
Synology 내부에 좋은 서비스들이 많아 사용 목적에 부합하리라 생각되어 집니다..
좀더 견고하고 내구성강한 스토리지를 구성한다면 FreeNAS 서버가 좋을 것 같습니다..
12개 정도의 하드드라이브 구성하여 Raid 시스템 구축하면 데이터 보존성이 더 강해 집니다..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기에도 좀더 적당하고요...
시놀로지같은것들은 이런저런 잡다한 기능이 있어서 비싸지만 하지 단순 파일공유용으로 쓰기엔 부적합한듯 합니다.
일반 윈도우 PC를 쓸 경우 안정성이 문제라고 할 수 있는데, 어짜피 시놀로지 같은 NAS들도 다 OS에서 동작하는 sw방식의 RAID입니다. 더구나 요즘은 이런저런 새로운 파일시스템(Btrfs)에 좀 특이한 레이드(RAID와 LVM을 섞은듯한...)를 쓰고 있는데, 이것이 윈도우 자체의 sw RAID보다 얼마나 나을지 모르겠습니다.